목차
머리말 = 3
제1장 인간공학 개론 = 11
제1절 인간공학이란? = 13
1. 정의 = 13
2. 목적 및 필요성 = 15
3. 역사적 배경 = 16
제2절 인간공학의 연구방법 = 17
1. 연구 및 연구변수의 유형 = 17
2. 실험연구의 절차 = 20
3. 실험계획법 = 21
4. 기술적인 방법 = 22
제3절 인간-기계 시스템 = 24
제4절 인간의 감각기능 = 25
1. 시각 = 25
2. 청각 = 29
3. 피부감각, 후각, 미각 = 32
제5절 인간의 정보처리 = 33
1. 정보처리과정 = 33
2. 신호검출이론 = 37
3.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 40
제6절 표시장치와 조종장치 = 42
1. 표시장치 = 42
2. 조종장치 = 45
제7절 인체측정학 = 48
1. 개요 = 48
2. 인체치수 데이터의 적용원칙 = 51
3. 인체치수의 응용 = 53
제2장 작업생리학 및 생체역학 = 55
제1절 인체의 구성 = 57
1. 화학적 구성 = 57
2. 인체구성 체계 = 58
제2절 골격계 = 58
1. 척주 = 59
2. 체지골격 = 60
3. 관절 = 60
제3절 근육계 = 61
제4절 인체의 면과 움직임 = 62
1. 인체의 여러 면 = 62
2. 움직임을 나타내는 용어 = 63
제5절 작업생리학 = 64
1. 작업의 에너지 소모 = 64
2. 작업부하의 측정 = 65
3. 육체적 작업능력 = 68
4. 전신피로의 관리 = 69
5. 정적인 작업과 국소 근육피로 = 70
제6절 생체역학 = 71
1. 1개 신체부위 2차원 정적인 모형 = 72
2. 들기 모형 = 74
제7절 작업환경 평가 및 관리 = 76
1. 소음 = 76
2. 국소진동 = 80
3. 전신진동 = 85
4. 고열 = 89
5. 조명 = 92
제3장 작업관리 = 95
제1절 개요 = 97
1. 작업관리란? = 97
2. 역사 = 98
3. 문제해결 절차 = 102
4. 데이터수집 및 분석 도구 = 105
5. 개선안의 도출과 개선원리 = 107
제2절 공정분석 = 109
1. 작업공정도 = 109
2. 공정도 = 110
3. 흐름공정도 = 113
4. 다중활동분석표 = 114
제3절 동작분석 = 118
1. 서어블릭 = 118
2. 동작경제의 원칙 = 120
제4절 작업측정 = 123
1. 직접측정법 = 123
2. 여유시간 = 127
제5절 PTS법 = 130
1. Work Factor = 131
2. MTM = 133
제6절 워크샘플링 = 135
1. 개요 = 135
2. 관측횟수의 결정 = 136
제4장 근골격계질환 개요 = 139
제1절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이란? = 141
1. 정의 = 141
2. 근골격계질환의 종류 및 증상 = 143
3. 근골격계질환의 특징 = 144
제2절 발생현황 = 146
1. 우리나라 = 146
2. 외국 = 149
3. 경제적 손실 = 153
제3절 근골격계질환의 발생요인 = 155
1. 물리적 요인 = 156
2. 심리사회적 요인 = 158
3. 인적 요인 = 159
제4절 규제 및 사업주 의무사항 = 160
1. 우리나라 = 160
2. 외국의 규제 현황 = 170
제5장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 175
제1절 인간공학적 요인 = 177
1. 목 = 177
2. 어깨 = 179
3. 팔/팔꿈치 = 180
4. 손/손목 = 182
5. 허리 = 184
6. 무릎 = 189
제2절 심리사회적 요인 = 191
제3절 인적 요인 = 193
제6장 유해요인 조사기법 1 - 전신작업 = 195
제1절 OWAS = 197
1. 평가방법 = 198
2. 사례연구 = 200
제2절 RULA = 202
1. 평가방법 = 203
2. 사례연구 = 209
제3절 REBA = 211
1. 평가방법 = 212
2. 사례연구 = 217
제4절 QEC = 219
1. 평가방법 = 219
2. 사례연구 = 224
제7장 유해요인 조사기법 2 - 들기 작업과 손/손목 작업 = 229
제1절 NIOSH의 중량물 적정하중 공식 = 231
1. 개요 = 231
2. 적정하중 = 232
3. 들기 지수 = 242
4. 사례연구 = 243
제2절 MAC = 246
1. 개요 = 246
2. 위험수준 구분 = 247
3. 평가항목 = 248
제3절 JSI = 253
1. 개요 = 253
2. 평가방법 = 253
3. 사례연구 = 256
제4절 토의 = 258
제8장 작업개선 = 261
제1절 개요 = 263
제2절 작업장 설계원칙 = 264
1. 정상작업영역과 최대작업영역 = 264
2. 다리 공간 = 264
3. 시야와 시각 = 265
4. 작업대 높이 = 266
제3절 수공구 설계원칙 = 267
1. 손목을 꺾지 말고 손잡이를 꺾을 것 = 268
2. 접촉에 의한 압박스트레스를 최소화할 것 = 269
3. 적정한 손잡이 두께와 길이를 유지할 것 = 270
4. 무게를 최소화하고 무게를 지지하는 장치를 사용할 것 = 270
5. 진동을 최소화할 것 = 271
6. 반복적인 방아쇠 당기기 동작을 피할 것 = 271
7. 손에 맞는 장갑을 착용할 것 = 272
8. 손잡이 재질을 고려할 것 = 272
제4절 중량물 취급 작업 = 273
1. 취급방법 = 273
2. 운반도구를 사용한다 = 274
3. 자동화 = 274
제5절 공학적 개선 = 275
제6절 컴퓨터 작업 = 279
1. 좌식 작업의 특성 = 280
2. 인간공학적 설계원칙 = 281
3. 인간공학적 의자의 조건 = 284
4. 컴퓨터 작업 관리지침 = 285
제9장 업무상 질병 처리절차와 질환자 관리 = 287
제1절 주요 질환 = 289
제2절 요통 = 295
1. 요통의 종류 = 296
2. 요통의 치료 = 298
제3절 업무상 질병 인정기준 = 300
1. 산업재해보상보험법 = 300
2.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시행령 = 301
3.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시행령 [별표 3]〈개정 2010. 7. 12.〉 = 301
4. 노동부 고시 제2008-43호 = 302
제4절 업무상 질병 판단절차 = 304
1. 상병상태 확인 = 304
2. 재해상황과 상병상태 비교 = 305
3. 업무상 질병 여부 결정 = 306
4. 기존질환 악화에 대한 판단 = 306
5. 퇴행성 변화에 대한 판단 = 307
제5절 조기발견 = 307
1. 면담 = 308
2. 의무기록 분석 = 308
3. 설문조사 = 309
제6절 재활 프로그램 = 311
1. 교육 프로그램 = 311
2. 운동 프로그램 = 312
3. 작업적응 프로그램 = 313
제7절 스트레칭 체조 = 314
1. 머리와 목 주변의 통증 완화 = 315
2. 어깨 주변 통증 완화 = 316
3. 허리 통증 완화 = 317
4. 허리 강화 = 318
5. 무릎 통증 완화 = 319
제10장 예방관리 프로그램 = 321
제1절 예방관리 프로그램이란? = 323
제2절 예방관리 프로그램의 운영원칙 = 325
제3절 예방관리 프로그램의 단계 = 327
1.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기본원칙 수립 = 328
2. 참여체계 구성 = 331
3. 교육 및 훈련 = 334
4. 위험요인 평가와 작업개선 = 335
5. 의학적 관리 = 337
6. 문서화 및 사후평가 = 340
제4절 예방관리 프로그램의 효과 = 341
1. 국외 사례 = 341
2. 국내 사례 = 342
3. 결론 = 345
참고문헌 = 347
찾아보기 = 3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