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706camcc2200229 c 4500 | |
001 | 000045704588 | |
005 | 20120510172246 | |
007 | ta | |
008 | 120508s2012 ggka b 001c kor | |
020 | ▼a 9788926832028 ▼g 93370 | |
035 | ▼a (KERIS)BIB000012764478 | |
040 | ▼a 241002 ▼c 241002 ▼d 241002 ▼d 211009 | |
082 | 0 4 | ▼a 302 ▼2 22 |
085 | ▼a 302 ▼2 DDCK | |
090 | ▼a 302 ▼b 2012z6 | |
100 | 1 | ▼a 박은종 ▼0 AUTH(211009)137539 |
245 | 2 0 | ▼a (21세기 세계화 시대ㆍ지식정보화 시대의) 인간관계론 탐구 = ▼x Study of human relation : ▼b 이론과 실제 / ▼d 박은종 지음 |
260 | ▼a 파주 : ▼b 한국학술정보, ▼c 2012 | |
300 | ▼a 508 p. : ▼b 삽화 ; ▼c 27 cm | |
504 | ▼a 참고문헌(p. 495-501)과 색인수록 |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02 2012z6 | 등록번호 11166514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세계화ㆍ정보화 시대인 현대 사회에서의 인간관계는 관심과 배려, 공감과 소통이 핵심이다. 아울러, 인간관계론은 이론과 실제가 통합되어야 한다. 즉 인간의 사회적ㆍ심리적 이론과 함께 실제 사회 생활의 실천적 측면이 함께 조망되어야 하는 것이다. 현대의 인간관계론이 단선적인 면보다는 통합적ㆍ복합적ㆍ다방향적 특성을 규명하고 이를 해결하는 면에 초점을 맞추어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결국 인간관계와 인간관계론의 연구 대상과 실행 대상은 교원, 학생, 학부모, 교육전문가, 학자 등만이 아니다. 지구상의 동서고금, 남녀노소 모두가 인간관계를 원만하게 유지하고 인간관계론을 탐구하여야 하는 것이다. 지구촌 모든 사람들이 원만하게 인간관계를 유지할 때, 우리 사회가 맑고 밝아지며 청렴하고 아름다운 사회가 유지될 것이기 때문이다.
인간관계의 본질 추구
일반적으로 인간과 인간이 상호작용을 하며 모여 사는 공간이 곧 사회이다. 자고로 만물의 영장인 인간은 혼자서는 살 수 없고 다른 사람과 어울려서 살아간다. 곧 인간은 사회생활을 하면서 삶을 영위해 간다. 인간을 ‘사회적 동물’이라고 부르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인간과 인간 간의 원만한 상호 관계 유지가 곧 인간관계이고 이를 탐구하는 이론적ㆍ학문적 접근이 곧 인간관계론이다.
인간의 삶은 곧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이다. 가정생활, 직장생활, 사회생활 등이 모두 타인과의 교호 작용에 바탕을 두고 영위되는 것이다. 인간과 인간이 서로에게 도움을 주고 배려하며, 대화를 통해 타협하는 일련의 과정이 곧 인간관계이다. 이렇듯이 인간관계란 일면 쉽고도 가벼운 일처럼 생각되기도 하지만, 사실은 인간의 삶에서 가장 중요하고도 어려운 과제인 것이다. 한 마디로 인간관계가 원만한 데서 인간의 사회생활 관계가 출발하는 것이다.
인간관계론의 중요성 제고
우리가 함께 살고 있는 세계화ㆍ정보화 시대인 현대 사회를 흔히 ‘군중 속의 고독의 시대’, ‘인간 상실의 시대’라고 일컫는다. 현재 우리가 사는 지구촌에는 약 65억여 명의 인구가 생활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외, 우울증, 자살 등이 큰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최근에는 청소년의 학교 폭력이 큰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곧 세상에 정량적인 사람 수는 엄청나게 많은데, 진정으로 자기와 마음을 열고 대화를 할 사람들은 많지 않다는 반증인 것이다. 마음과 마음을 교감할 수 있는 사람들은 한정되어 있는 것이다. 이는 나아가 정과 사랑과 믿음으로 연계된 우리의 전통적 인간관계의 정서가 물질적 면과 타산적인 면에 매몰되어 점점 삭막해져 가고 있는 것이 오늘날 사회의 자화상이기도 하다. 진정 우리 모두는 군중 속의 고독한 존재, 인간 상실의 시대의 소외인으로서 외롭게 살아가고 있는 것이다.
인간관계론의 핵심과 이상(理想) 추구
세계화ㆍ정보화 시대인 현대 사회에서의 인간관계는 관심과 배려, 공감과 소통이 핵심이다. 아울러, 인간관계론은 이론과 실제가 통합되어야 한다. 즉 인간의 사회적ㆍ심리적 이론과 함께 실제 사회 생활의 실천적 측면이 함께 조망되어야 하는 것이다. 현대의 인간관계론이 단선적인 면보다는 통합적ㆍ복합적ㆍ다방향적 특성을 규명하고 이를 해결하는 면에 초점을 맞추어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결국 인간관계와 인간관계론의 연구 대상과 실행 대상은 교원, 학생, 학부모, 교육전문가, 학자 등만이 아니다. 지구상의 동서고금, 남녀노소 모두가 인간관계를 원만하게 유지하고 인간관계론을 탐구하여야 하는 것이다. 지구촌 모든 사람들이 원만하게 인간관계를 유지할 때, 우리 사회가 맑고 밝아지며 청렴하고 아름다운 사회가 유지될 것이기 때문이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박은종(지은이)
진주교육대학교 사회과교육과, 충남대학교 대학원 사회교육학과(석사) 및 교육학과(교육과정 및 교육심리학 전공ㆍ교육학 박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사회과교육학과, 공주대학교 대학원 사회교육학과(박사) 등을 졸업한 사회교육학 박사이다.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객원연구원,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객원연구원, 한국교총 교육정책연구소 객원연구원 등으로 교육학 일반, 사회과 교육학과 사회과 교육론 등에 대한 연구에 종사하여 왔다. 또한 한국산업연수원 청주능력개발원 첨삭교수,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시간 강사, 공주교육대학교 사회과교육과 시간 강사, 동신대학교 교양교직학부 외래 교수, 홍익대학교 교양교직학부 외래 교수, 성신여자대학교 사범대학 외래 교수, 청운대학교 교양교직학부 외래 교수, 호서대학교 교양교직학부 외래 교수 등을 역임하면서 인간관계론, 교육학 개론, 교육과정과 교육심리학, 교육행정과 교육경영, 교직실무, 사회과 교육학과 사회과 교육론, 사회과 교재연구 및 교수법 등의 교과목을 강의하였다. 전국의 지방자치단체, 지방의회, 학교, 기업체, 단체 등의 구성원들에게 학부모의 역할, 21세계 세계화 시대 리더십, 공직자의 역할, 소통과 인간관계, 기업윤리와 리더십, 통일과 통일교육, 환경ㆍ지속가능발전교육(ESD) 등의 외부 강의도 수행하고 있다. 아울러, 교육부 중앙교육연수원 강사, 충남교육연수원 강사, 전북교육연수원 강사, 한국교총교육연수원 강사, 공주교육대학교초등교육연수원 강사, 진주교육대학교초등교육연수원 강사, 공주대학교중등교육연수원 강사 등을 역임하면서 교육과정, 수업분석과 수업장학, 교수ㆍ학습법, 사회과 교육학, 세계화 시대 리더십 등에 관한 강의를 수행하여 왔다. 또 충청남도교육청 장학사, 충남교육연수원 교육연구사 등을 역임하면서 사회과 교육학(론) 관련 교육행정과 교육연구를 수행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교육부 교육정책자문위원, 한국교총 교육정책전문위원, 국정교과서편찬위원 등을 역임하였다. 현재 공주대학교 겸임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전국 단위 연구 학회인 한국사회과교육연구회 회장으로 재임하고 있다. 한국사회과교육학회,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회원이며, 연구의 주 관심 영역은 교육학 일반, 교육과정, 사회과 교육과정과 교수법, 사회과 교육학, 사회과 교재연구 및 교수ㆍ학습 방법 등이다. 최근에는 사회과 통합 교육, 사회과 세계시민교육, 사회과 교육 국제 비교 연구, 다문화 이해 교육 등에도 깊은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 학회지인 교육평론, 교육연구, 교육연구논총, 사회과 교육연구논총, 사회과학연구, 충남교육 등에 논문을 게재하고 있으며, 주요 저서로는 「으뜸 수업 탐구의 정석」, 「한국 사회과 교육과정 탐구: 분석 및 모형 개발 탐색」, 「사회과 교육학 핸드북: Key Point」, 「현대 사회과 교육학ㆍ사회과 교육론 신강」, 「한국 교육의 지평과 미래 비전 탐구」 등 여러 권이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는 학회지에 발표한 「세계화ㆍ정보화 시대의 바람직한 세계시민교육 방향 모색에 관한 연구」, 「세계화 시대, 제4차 산업혁명 시대사회과 교육의 트렌드(Trend) 연구」 등 여러 편이 있다. 한편, <새교실>지(誌)와 <교육자료>지(誌)에 사회과 수업안을 다년간 집필한 바 있으며, 대전일보ㆍ중도일보 등의 교육칼럼위원, 백제신문ㆍ공주신문ㆍ한국교육신문 등의 논설위원, 월간 ‘새교육’지(誌) 편집위원, 교육평론지(誌) 편집위원, ‘교육과 사색’지(誌) 전문위원 등도 역임하였다.

목차
목차 머리말 = 5 제1부 인간관계론 서설(序說) = 15 제1장 인간관계론의 기초 = 17 제1절 인간관계의 의미 = 17 제2절 인간관계론의 개념 = 18 제3절 인간관계론의 특징 = 19 제4절 인간관계론의 형성 과정 = 20 제5절 인간관계론과 자아의 관계 = 28 제2장 인간관계론의 개관 = 30 제1절 인간과 인간관계 = 30 제2절 인간관계의 기저(基底) = 30 제3절 인간관계의 유형 = 31 제4절 인간관계의 기본 원리(원칙) = 37 제3장 인간관계의 유형 = 42 제1절 인간관계의 유형(모형) = 42 제2절 인간관계 유형(모형)의 특징 = 42 제3절 인간관계의 욕구 차이 = 44 제4장 인간관계와 자아(自我) 탐구 = 46 제1절 자아정체성(自我正體性) = 46 제2절 자아 분석 = 49 제3절 자아개념의 특성과 자아실현 = 54 제4절 자아 존중감(自我尊重感) = 58 제5장 타인의 이해와 인간관계 = 69 제1절 타인에 대한 이해 = 69 제2절 인간관계의 형성 = 69 제3절 바람직한 인간관계 = 76 탐구 문제 = 80 제2부 인간관계와 사회생활 = 81 제1장 인간의 성격과 발달 = 83 제1절 인간의 성격 = 83 제2절 인간의 발달 = 88 제3절 인간 발달 단계와 생애 발달 = 103 제4절 인간 발달과 환경 = 104 제2장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108 제1절 인간의 행동 = 108 제2절 인간의 발달 = 109 제3절 사회환경의 탐구 = 112 제4절 인간행동과 사회환경의 관계 = 114 제5절 사회복지와 인구 고령화 = 115 제3장 집단(集團)과 조직생활 = 121 제1절 집단(集團)에 대한 이해 = 121 제2절 조직(組織)과 인간관계의 의의 = 126 제3절 조직의 원리 = 134 제4절 조직구조와 인간관계 = 137 제4장 리더십(Leadership) 탐구 = 144 제1절 리더십(Leadership)의 개념과 의의 = 144 제2절 리더십의 과제 = 145 제3절 리더의 자질 = 148 제4절 리더십의 유형 = 150 제5절 리더십의 배양 = 151 제5장 우정(友情)과 사랑의 이해 = 156 제1절 우정(友情)의 이해와 탐구 = 156 제2절 사랑의 이해와 탐구 = 167 탐구 문제 = 183 제3부 소통(疏通)과 공감의 이해 = 185 제1장 대화(對話)와 설득(說得) = 187 제1절 대화(對話)의 이해 = 187 제2절 대화의 기술 = 199 제3절 설득(說得)의 이해 = 200 제4절 설득의 방법 = 206 제2장 의사결정(意思決定)의 이해 = 207 제1절 의사결정(意思決定)의 개념과 유형 = 207 제2절 의사결정의 과정 = 209 제3절 의사결정의 모형 = 213 제4절 의사결정에의 참여 = 215 제5절 의사결정의 제약 요소 = 223 제6절 의사결정의 유용성 = 225 제3장 의사소통(意思疏通)의 이해 = 227 제1절 인간행동과 의사소통(意思疏通) = 227 제2절 의사소통의 방법 = 230 제3절 의사소통의 유형 = 230 제4절 의사소통의 원칙과 네트워크(Network) = 232 제5절 의사소통의 장애요인과 효과 = 234 제6절 의사소통의 전달자 = 238 제7절 의사소통 전략 = 244 제8절 의사소통의 실제 = 247 제4장 갈등(葛藤)과 해결 방안 = 248 제1절 갈등(葛藤)의 개념과 의의 = 248 제2절 갈등의 기능 = 251 제3절 갈등의 해소 전략 = 262 제4절 갈등의 관리 방안 = 266 제5장 인간존중과 행복 = 270 제1절 인간과 행복 = 270 제2절 인간존중과 행복 = 270 제3절 인간관계와 행복한 삶 = 273 탐구 문제 = 274 제4부 윤리와 공공 생활 = 275 제1장 가족(家族) 및 부자간의 인간관계 = 277 제1절 가족(家族)에 대한 이해 = 277 제2절 부모와 자식 간의 인간관계 = 283 제3절 부모와 자녀 관계의 갈등 = 289 제4절 부모와 자녀 간의 갈등 해소 방안 = 290 제5절 미래의 부모와 자녀 관계 준비 = 293 제2장 직장생활과 인간관계 = 296 제1절 바람직한 직장생활 = 296 제2절 직장(직업) 선택의 기준 = 301 제3절 직장생활의 적응 = 303 제4절 보람 있는 직장생활 = 306 제5절 직장에서의 상ㆍ하ㆍ동료 간 화목(和睦) = 309 제6절 직장 부적응 문제(사례) = 311 제3장 사회생활과 법(法) = 313 제1절 기초적인 법의 이해 = 313 제2절 법적 개념(法的 槪念) = 318 제3절 법 관련 기관 = 320 제4절 법과 생활 관련 사례 = 323 제5절 법의 기본 원리와 가치 = 327 제4장 공공 덕목으로서의 법교육 = 340 제1절 법교육의 기저 = 340 제2절 법교육의 개념과 목표 = 343 제3절 법교육의 실태와 체제 = 350 제4절 법교육의 내용 일반 = 352 제5절 세계화 시대의 법의식 확립 = 357 제5장 정보통신윤리 교육 = 359 제1절 정보통신기술의 이해 = 359 제2절 정보통신윤리의 중요성 = 364 제3절 미래 정보통신윤리 교육의 방향 = 368 제4절 가상교육의 형태 = 383 탐구 문제 = 391 제5부 세계화ㆍ정보화 시대와 인간관계 = 393 제1장 세계화와 세계시민사회 = 395 제1절 세계화의 메커니즘 = 395 제2절 세계화의 개념 = 397 제3절 세계화와 지구촌의 미래 = 402 제4절 세계화의 차원 = 406 제5절 세계화의 명제 = 407 제6절 세계화와 민주화 = 409 제7절 세계화와 지구촌의 과제 = 411 제8절 세계화와 교육의 관계 = 414 제9절 세계화와 21세기 키워드(Key word) = 418 제2장 세계화ㆍ정보화 시대의 민주 시민 교육의 방향 = 420 제1절 민주 시민 교육의 중요성 = 420 제2절 민주 시민 교육의 목표 = 421 제3절 민주 시민의 개념과 기능 = 422 제4절 한국의 민주 시민 교육 현실과 발전 = 424 제5절 민주 시민 교육의 교육과정과 접근법 = 427 제6절 민주 시민 교육의 종합적 고찰과 분석 = 433 제7절 세계화ㆍ정보화 시대의 민주 시민 교육의 방향 = 435 제8절 민주 시민 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Paradigm) 지향 = 440 제3장 다문화 교육의 이해와 방향 = 443 제1절 한국 사회와 다문화 교육 = 443 제2절 한국의 다문화 사회 동향(Trend) = 444 제3절 다문화 교육의 목표와 내용 = 449 제4절 외국의 다문화 교육 동향 탐색 = 455 제5절 한국 다문화 교육의 실제 = 458 제6절 세계화 시대 한국 다문화 교육의 방향 탐색 = 462 제7절 다문화의 이해와 다문화 교육의 미래 지향점 = 466 제4장 세계화 시대의 환경과 녹색성장 = 468 제1절 녹색성장(Green growth) 등장 배경 = 468 제2절 녹색성장의 개념: 녹색성장의 시대 = 468 제3절 신재생에너지 = 471 제4절 글로벌(Global) 시대의 환경 문제 = 472 제5장 세계화 시대의 영재 및 영재교육 = 475 제1절 영재교육의 개관 = 475 제2절 영재교육의 이해 = 475 제3절 영재교육의 실제 = 479 제4절 영재교육의 방법: 교원ㆍ학부모 입장 = 483 제5절 미래 영재교육의 방향 = 493 탐구 문제 = 494 참고문헌 = 495 찾아보기 = 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