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기독교의 탄생 : 예수 운동에서 종교로

기독교의 탄생 : 예수 운동에서 종교로 (5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Theissen, Gerd 박찬웅, 역 민경식, 역
서명 / 저자사항
기독교의 탄생 : 예수 운동에서 종교로 / 게르트 타이쎈 지음 ; 박찬웅, 민경식 옮김
발행사항
서울 :   대한기독교서회,   2009  
형태사항
588 p. ; 24 cm
원표제
(Die) Religion der ersten Christen : eine Theorie des Urchristentums
ISBN
9788951111136
서지주기
참고문헌(p. 551-576)과 색인수록
일반주제명
Christianity -- Origin Church history -- Primitive and early church, ca. 30-600
000 01089camcc2200337 c 4500
001 000045703957
005 20120508091205
007 ta
008 120504s2009 ulk b 001c kor
020 ▼a 9788951111136 ▼g 93230
035 ▼a (KERIS)BIB000011580201
040 ▼a 211029 ▼c 211029 ▼d 211029 ▼d 211009
041 1 ▼a kor ▼h ger
082 0 4 ▼a 270.1 ▼2 22
085 ▼a 270.1 ▼2 DDCK
090 ▼a 270.1 ▼b 2009z1
100 1 ▼a Theissen, Gerd ▼0 AUTH(211009)111783
245 1 0 ▼a 기독교의 탄생 : ▼b 예수 운동에서 종교로 / ▼d 게르트 타이쎈 지음 ; ▼e 박찬웅, ▼e 민경식 옮김
246 1 9 ▼a (Die) Religion der ersten Christen : ▼b eine Theorie des Urchristentums
260 ▼a 서울 : ▼b 대한기독교서회, ▼c 2009
300 ▼a 588 p. ; ▼c 24 cm
504 ▼a 참고문헌(p. 551-576)과 색인수록
650 0 ▼a Christianity ▼x Origin
650 0 ▼a Church history ▼y Primitive and early church, ca. 30-600
700 1 ▼a 박찬웅, ▼e
700 1 ▼a 민경식, ▼e▼0 AUTH(211009)11807
900 1 0 ▼a 타이쎈, 게르트, ▼e
900 1 0 ▼a Park, Chan-Woong, ▼e
900 1 0 ▼a Min, Kyoung-Shik, ▼e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270.1 2009z1 등록번호 11166492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타이쎈의 30여 년의 연구에서는 예수 운동의 사회사적 위치와 의미를 요약하는 '카리스마적 방랑주의'와 '정착 공동체의 조직화'라는 개념의 대조가 강조된다. 이러한 착상이 발전하여 종교학적 관점으로 정리한 것이 이 책이다. 그의 초기 연구가 사회학적 범주들을 이용하여 위 두 개념을 기초로 논의를 전개했다면, 이 책은 과거의 논의들을 바탕으로 예수 운동이 어떻게 하나의 신흥 종교로 발전하게 되었는가를 보여 주고 있다.
이 책은 '역사적 예수'를 논의하면서 시작된다. 기독교라는 새로운 종교는 유대교와 이방 종교들이 뒤섞여 우연히 발생한 것이 아니라, 그 기원에 '예수'라는 특정 인물이 있었음을 강조한다. 독자들은 이 책을 통해 원시기독교가 놀라운 역동성을 발전시켜 나간 과정을 뚜렷하게 볼 것이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게르트 타이센(지은이)

1943년생. 신약학자. 1968년 독일 본 대학교에서 히브리서 연구로 박사 학위Dr.theol를 받고 1972년 원시 그리스도교의 기적 이야기에 관한 연구로 하빌리타치온을 취득했다. 덴마크 코펜하겐 대학교 교수를 거쳐 독일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에서 신약학 교수로 활동했으며 현재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명예교수다. 글래스고 대학교, 세인트 앤드류스 대학교, 스트라스부르 대학교 등 7개 대학교에서 명예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영국 학술원에서 성서 연구 분야에서 커다란 공헌을 남긴 이에게 수여하는 버킷 메달을 받았다. 복음서 연구에 사회-수사학적 방법으로 접근한 대표적 신약학자로 꼽힌다. 저서로는 『예수 운동의 사회학』Soziologie der Jesusbewegung(1977, 종로서적), 『원시그리스도교에 대한 사회학적 연구』Studien zur Soziologie des Urchristentums(1979, 대한기독교출판사), 『역사적 예수』Der historische Jesus(공저, 1996, 다산글방), 『복음서의 교회정치학: 복음서에 대한 사회-수사학적 접근』Gospel Writing and Church Politics(2001, 대한기독교서회), 『기독교의 탄생 : 예수 운동에서 종교로』Die Religion der ersten Christen(2000, 대한기독교서회), 『그리스도인 교양을 위한 신약성서』Das Neue Testament(2002, 다산글방) 등이 있다.

박찬웅(옮긴이)

은혜복음교회 목사(서울 홍은동), 연세대학교 신학과(B. A.), 연세대학교 대학원 신학과(Th. M), 독일 하이델베르크 대학교(Dr. theol) 역서로는 『IVP성경신학사전』(서울: IVP, 2004), 『요세푸스의 유대전쟁사』한국학술진흥재단 학술명저변역총서(파주: 나남출판, 2008) 등이 있다.

민경식(옮긴이)

연세대학교 학부대학 조교수, 세계성서공회연합회(UBS) 아시아-태평양 지역 명예 번역자문, 연세대학교 신학과(B. A.), 연세대학교 대학원 신학과(Th. M), 독일 뮌스터 대학교(Dr. theol) 저서로는 『신약성서, 우리에게 오기까지』(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8), 역서로는 『성서왜곡의 역사』(서울: 청림, 2006), 『중소형 교회 성공 리더십』(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6), 『땅콩박사』(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8), 『연세신학백주년기념 성경주석?마태복음』 등이 있다. 역서로는 『성경 왜곡의 역사』, 『젤롯』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한국어판 서문 = 5
역자 서문 = 9
서언 = 21
제1장 서론 원시기독교에 대한 종교학적 분석 = 25
 1. 종교의 '본질': 문화적 기호체계로서의 종교 = 29
 2. 종교의 기능: 삶의 실현을 약속하는 것 = 40
 3. 원시기독교 이론의 기본 문제들 = 50
1부 원시기독교의 신화와 역사
 제2장 역사적 예수 : 원시기독교의 기원 인물이며 유대교 부흥의 중심인물 = 63
  1. 역사적 예수의 선포에 나타난 신화 = 67
   1) '역사화'된 신화 = 69
   2) '시문학'으로 발전된 신화 = 70
   3) '정치적'으로 발전된 신화 = 71
  2. 유대교의 에토스와 예수의 선포 = 74
  3. 유대교 제의와 예수의 선포 = 79
  4. 유대교의 정치적 정황과 역사적 예수 = 84
  5. 신화와 예수의 자기 이해 = 90
 제3장 예수의 신격화: 부활 이후 기독교 신앙을 통한 유대교의 변형 = 95
  1 예수의 승화: 모순의 극복 = 101
  2. 예수의 승화: 유일신 신앙 강화 = 108
  3. 예수의 승화 경쟁 상황에 대한 예비 = 111
   1) 승화를 통한 세속 권세의 극복 = 112
   2) 친밀성을 통한 구원 개념의 발전 = 120
    (1) 원시기독교의 구원자 이해 : 거리감의 극복(1) = 121
    (2) 원시기독교의 성례전 이해 : 거리감의 극복(2) = 125
2부 원시기독교의 에토스
 제4장 원시기독교 에토스의 이중적 근본원리 : 이웃 사랑과 지위 포기 = 135
  1. 원시기독교의 첫 번째 기본 가치인 '이웃 사랑' = 138
   1) 원시기독교에 나타난 확장의 경향 = 141
   2) 원시기독교에 나타난 제한의 경향 = 144
  2. 원시기독교의 두 번째 기본 가치인 '지위 포기' = 149
   1) 공관복음서 전승에 나타난 지위 포기 주제 = 155
   2) 서신 문학에 나타난 상호적 겸비의 주제 = 156
  3. 원시기독교의 '신화'와 두 가지 기본 가치 = 160
 제5장 이중적 기본 가치와 윤리적 의무(1) : 원시기독교의 권력과 소유 이해 = 165
  1. 권력과 지배 개념에 관한 가치전환 = 171
  2. 소유와 부(富) 개념에 관한 가치전환 = 179
 제6장 이중적 기본 가치와 윤리적 의무(2) : 원시기독교의 지혜와 성화 = 197
  1. 지혜 이해에서의 가치전환 = 199
  2. 성화와 정결 주제에 관한 가치전환 = 209
3부 원시기독교의 제의적 기호언어
 제7장 상징적 행동들에서 비롯된 원시기독교의 성례전 = 227
  1. 원시기독교의 제의적 기호언어의 전체적 의미 = 231
  2. 성례전 형성의 예비 단계로서의 상징적 행위들 = 236
   1) 역사성 = 237
   2) 예언자적 상징 행동 = 237
   3) 새로운 시대의 구현 = 238
   4) 일상적 상징성 = 239
  3. 원시기독교 성례전 가운데 변형된 예언자적 상징 행위들 = 241
   1) 예수의 죽음과의 관련성 = 241
   2) 외형적 형식과 종교적 의미 사이의 긴장 = 245
   3) 금기를 초월하는 원시기독교 성례전 = 247
 제8장 예수 죽음의 희생적 의미와 희생제의의 종결 = 258
  1. 원시기독교의 희생제의 철폐 = 259
  2. 희생적 죽음으로 해석 된 예수의 죽음 = 265
   1) 예수의 삶과 가르침에 나타난 자발적 치욕의 주제 = 266
   2) 예수의 죽음에 대한 원시기독교의 해석 = 268
    (1) 예수의 죽음: 하나님의 행위와 인간의 행위를 위한 모범 = 269
    (2) 예수의 죽음: 속죄와 화해를 위한 성례 = 271
   3) 예수의 죽음 해석에서 부활의 의미 = 273
  3. 전통적 희생제의의 기능들 = 281
   1) 방법론 고찰 = 281
   2) 희생제의의 기능 = 284
  4. 전통적 희생제의와 기능적으로 동등한 원시기독교의 기호언어 = 289
4부 독자적 기호세계로서의 원시기독교
 제9장 원시기독교가 독자적 기호세계로 발전한 과정 : 바울에서 공관 복음으로 = 299
  1. 원시기독교 독립의 시작: 사도회의와 바울 = 302
  2. 원시기독교가 독립하는 과정과 공관복음 = 310
   1) 마가복음 : 유대교와의 제의적 단절 = 313
   2) 마태복음 : 유대교(와 이방 종교)로부터의 윤리적 단절 = 321
   3) 누가복음 : 유대교에 대한 설화 - 역사적 단절 = 329
 제10장 요한복음 : 원시기독교 상징세계의 내적인 독자성에 대한 인식 = 339
  1. 요한복음 서문에 나타나는 요한의 단계해석학 프로그램 = 342
  2. 요한의 단계해석학의 전개 = 347
   1) 요한복음에서의 신화적 기호체계의 변화 = 349
   2) 요한복음에서의 제의적 기호언어의 변화 = 352
   3) 요한복음에서의 윤리적 기호언어의 변화 = 357
  3. 요한복음에서의 원시기독교 기호체계의 자기조직 = 364
   1) 전통적인 기호요소들과 표현양식들의 재구성 = 365
   2) 요한복음에서의 미래의 기호언어 선구성 = 370
5부 원시기독교의 위기와 통합
 제11장 원시기독교의 위기 = 377
  1. 1세기의 유대파 위기 = 381
   1) 유대교의 기초 원리 : 유일신 신앙과 언약적 율법주의 - 유대교의 아포리아 = 383
   2) 바울 생애에서의 칭의론 = 393
   3) 1세기 위기의 역사적 · 정치적 요인들 = 401
   4) 유대파 위기와 이에 대한 바울의 대응 = 406
  2. 2세기의 영지주의 위기 = 419
   1) 영지란 무엇인가? 영지에 대한 정의 = 420
   2) 보편적 운동으로서의 영지(주의)의 역사적 맥락 = 422
   3) 기독교 영지주의 = 428
  3. 1세기와 2세기의 예언 운동 위기 = 436
   1) 예수 운동과 어록집 = 436
   2) 요한계시록 = 440
   3) 헤르마스의 목자 = 445
   4) 몬타누스주의의 새로운 예언 = 446
 제12장 원시기독교의 다양성과 통일성, 그리고 정경의 성립 = 451
  1. 정경화까지의 원시기독교 내의 다양성 = 458
   1) 첫 세대에서의 갈등과 집단화 = 459
   2) 2세기의 네 가지 주요 분파들 = 463
   3) 초기공교회 회중기독교와 회중기독교의 '이단'과의 논쟁 = 471
  2. 다원화에 대한 고백으로서의 정경화 = 473
   1) 두 부분으로 된 전체 정경 확정 : 신약과 구약 = 473
   2) 두 부분으로 된 신약성서 확정 : 복음서와 사도문서 = 477
   3) 사복음서 확정 = 478
   4) 바울서신과 공동서신 확정 = 485
  3. 정경 안의 정경: 원시기독교 신앙의 원리 = 490
 제13장 결론적 언급: 원시기독교 상징세계의 건축과 그 개연성 = 515
  1. 원시기독교라는 건축물: 요약 = 515
  2. 원시기독교의 개연성 = 524
   1) (첫 번째 증거) 세계 경험 : 역동적 세계관을 가능하게 하는 원시기독교의 원리들 = 529
   2) (두 번째 증거) 자아와의 일치 : 원시기독교의 원리들과 종교적 선험 = 535
   3) (세 번째 증거) 다른 사람들과의 일치 : 공동사회를 만드는 원시기독교 원리의 힘 = 542
참고문헌 = 551
성구 색인 = 577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