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703947 | |
005 | 20160318154953 | |
007 | ta | |
008 | 120504s2012 ggk b 001c kor | |
020 | ▼a 9788918023847 ▼g 93350 | |
035 | ▼a (KERIS)BIB000012735883 | |
040 | ▼a 241044 ▼c 241044 ▼d 211009 | |
082 | 0 4 | ▼a 352.4 ▼2 23 |
085 | ▼a 352.4 ▼2 DDCK | |
090 | ▼a 352.4 ▼b 2012z3 | |
100 | 1 | ▼a 주기완 ▼0 AUTH(211009)117943 |
245 | 1 0 | ▼a 재무행정학 / ▼d 주기완, ▼e 윤성식 공저 |
246 | 1 1 | ▼a Budgeting and financial management |
260 | ▼a 파주 : ▼b 法文社, ▼c 2012 ▼g (2014 2쇄) | |
300 | ▼a viii, 820 p. ; ▼c 27 cm | |
504 |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 |
700 | 1 | ▼a 윤성식, ▼e 저 ▼0 AUTH(211009)22262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도서실(법학도서관 지하1층)/ | 청구기호 352.4 2012z3 | 등록번호 11175322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52.4 2012z3 | 등록번호 111733905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12-19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52.4 2012z3 | 등록번호 11175454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공공부문의 예산과 회계에 대한 입문서이다. 노무현 정부는 공공부문의 예산과 회계에 관하여 획기적인 개혁을 시도하였다. 수십 년 된 예산회계법을 국가재정법과 국가회계법으로 분리하여 제정하였다. 일제시대의 잔재인 장, 관, 항, 목으로 구성된 예산체계를 분야, 부문, 프로그램, 단위사업, 세부사업으로 바꾸었으며 프로그램 예산체계 도입을 위한 기초를 닦았다. 복식부기와 발생주의회계를 도입하고 정부회계기준을 제정하였으며 공공부문의 재무제표를 작성하기 위한 기틀을 닦았고 성과주의 예산을 본격화하였다. 정부의 예산회계정보시스템은 디지털예산회계시스템이라고 명명되었으며 현재는 dBrain이라는 멋진 이름으로 바뀌었다. 이 책은 그 간의 이러한 변화를 모두 담기 위해 최선을 다했다.
이 책은 공공부문의 예산과 회계에 대한 입문서이다. 노무현 정부는 공공부문의 예산과 회계에 관하여 획기적인 개혁을 시도하였다. 수십 년 된 예산회계법을 국가재정법과 국가회계법으로 분리하여 제정하였다. 일제시대의 잔재인 장, 관, 항, 목으로 구성된 예산체계를 분야, 부문, 프로그램, 단위사업, 세부사업으로 바꾸었으며 프로그램 예산체계 도입을 위한 기초를 닦았다. 복식부기와 발생주의회계를 도입하고 정부회계기준을 제정하였으며 공공부문의 재무제표를 작성하기 위한 기틀을 닦았고 성과주의 예산을 본격화하였다. 정부의 예산회계정보시스템은 디지털예산회계시스템이라고 명명되었으며 현재는 dBrain이라는 멋진 이름으로 바뀌었다. 이 책은 그 간의 이러한 변화를 모두 담기 위해 최선을 다했다.
재무행정의 발전을 위하여 좋은 논문을 쓰는 것도 중요하지만 좋은 교과서가 무엇보다도 급선무라는 것을 실감한다. 학문의 발전이란, 다른 사람의 비판에서 출발할 수도 있지만, 다른 사람의 주장(좋은 내용)을 소개하고 인용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 책은 재무행정이 학문적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하는데 기여했으면 한다. 또한 좋은 책이 되기 위해서 정체되어 있지 않고, 꾸준히 새로운 학자들이 주장하는 지식과 내용을 소개?전달하고, 정부의 재정관리를 유익하고 발전시키는 매개체가 되기를 소망한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윤성식(지은이)
고려대학교에서 행정학사, 오하이오주립대학교에서 경제학사, 일리노이대학교에서 회계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버클리대학교에서 경영학 박사를 취득한 뒤 텍사스대학교(오스틴 캠퍼스) 경영대학원 교수와 미국 공인회계사로 활동했으며, 현재 고려대학교 행정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학생들이 뽑은 최고의 강의에 주는 ‘석탑강의상’을 받았으며, ‘믿고 듣는 교수’로 통한다. 성공적인 학자의 길을 걷던 그는 진정한 행복의 답을 찾고자 위파사나 명상을 실천하며 동국대학교 불교학과에 진학해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경제·경영·회계·행정에 이어 마음공부까지 자타가 인정하는 전방위 스페셜리스트 학자인 그는 잘 결정하고 잘 행동하기 위해 인생에 관한 거짓말에 속지 않는 법을 알리고자 이 책을 집필했다. 지은 책으로는 《예측 불가능한 시대에 행복하게 사는 법》 《부처님의 정치 수업》 《부처님의 부자 수업》 《사막을 건너야 서른이 온다》 등이 있다. 블로그 blog.naver.com/worldzen 페이스북 facebook.com/trustyoon
주기완(지은이)
<학력> 건국대학교 행정학과 졸업 고려대학교 행정학석사 고려대학교 행정학박사 <경력> 고려대학교 정부학연구소 선임연구원 창원시보조금심의위원회 위원 경상남도교육청 재정계획심의위원회 위원 경상남도 지방재정계획심의위원회 위원 경상남도 지방노동위원회 공익위원 경상남도 출자?출연기관운영심의위원회 위원 경상남도 양성평등위원회 위원 경상남도 도정자문위원회 위원 현재 창원대학교 행정학과 부교수 (사)한국평가감사연구원 감사

목차
목차 제1장 공공부문의 예산 1.1 공공부문의 자원배분 = 2 1.2 예산과 회계의 개념 = 7 1.3 공공부문 예산과 회계의 학문적 배경 = 14 1.4 예산의 기능 = 17 1.5 예산의 일반적인 문제점 = 42 제2장 예산이론과 법체계 2.1 예산모델과 예산이론 = 56 2.2 점증주의 예산이론 = 60 2.3 총체주의적 예산이론 = 67 2.4 최근의 주요 예산이론 = 69 2.5 예산시스템 = 89 2.6 정부의 적정규모와 정부팽창 = 97 2.7 예산관련 법체계 = 113 제3장 예산기관과 예산제도 3.1 예산과정의 설계 = 122 3.2 단년도 예산과 다년도 예산 = 125 3.3 중앙예산기관 = 128 3.4 입법부와 예산과정 = 147 3.5 사법부와 예산과정 = 152 3.6 미국 연방정부의 예산제도 = 157 3.7 한국의 예산제도 = 184 제4장 정책분석: 예산편성과 예산심의 4.1 예산편성의 이해 = 216 4.2 세입 ㆍ세출예측 = 238 4.3 예산심의의 기본개념 = 247 4.4 예산심의제도와 주요쟁점 = 253 4.5 선셋검토(Sunset Review) = 259 4.6 한국의 예산심의 = 261 4.7 한국의 지방자치단체 예산편성에서의 주민참여 = 269 제5장 정책집행: 예산집행 5.1 예산집행의 이해 = 286 5.2 예산집행과 보고에 관한 규정 = 292 5.3 예산의 이용과 전용 = 295 5.4 예산의 이월 = 299 5.5 추가경정예산 = 301 5.6 국민, 입법부, 사법부와 예산집행기관과의 관계 = 302 제6장 정책평가: 결산과 감사 6.1 결산 = 310 6.2 감사의 개념 = 318 6.3 감사의 가치 = 320 6.4 감사의 종류: 감사의 내용을 기준으로 = 321 6.5 내부감사 = 329 6.6 감사와 평가 = 334 6.7 성과감사 = 339 6.8 감사기준 = 345 6.9 감사과정 = 347 6.10 감사의 변화와 최근동향 = 349 6.11 재무상태평가 = 351 6.12 성과관리와 성과주의예산 = 353 제7장 예산개혁 7.1 초기의 예산개혁 = 380 7.2 성과주의예산 = 388 7.3 계획예산(PPBS) = 391 7.4 목표에 의한 관리(MBO) = 394 7.5 영기준예산(ZBB) 혹은 영본위예산 = 397 7.6 최근 선진국의 예산개혁 = 402 7.7 예산개혁의 내용 = 480 7.8 예산개혁의 공통적 교훈 = 492 7.9 우리나라 예산개혁 변화의 흐름 = 510 제8장 투자: 비용편인분석과 자본예산 8.1 투자의 이해 = 522 8.2 비용편익분석 = 526 8.3 비용편익분석의 장 ㆍ단점 = 532 8.4 비용과 편익의 계산 = 537 8.5 비용편익분석의 사례 = 546 8.6 비용효과분석 = 552 8.7 자본예산 = 556 제9장 현금관리 9.1 현금관리의 이해 = 568 9.2 현금관리시스템 = 579 9.3 여유현금의 투자원칙 = 589 9.4 부채관리, 위기관리, 연금관리 = 592 9.5 적정현금보유량결정모델 = 601 9.6 투자금융상품: 주식, 채권, 옵션, 선물 = 604 9.7 재정위기 = 619 제10장 구매관리 10.1 구매관리의 이해 = 626 10.2 집중구매와 분산구매 = 630 10.3 공급자와 가격의 결정 = 633 10.4 아웃소싱 = 639 10.5 구매와 리스 = 642 10.6 구매관리의 내용과 구매관리기법 = 645 10.7 구매관리의 변화와 개혁 = 652 10.8 바람직한 구매관리를 위한 조건 = 656 제11장 정부회계 11.1 정부회계의 기본개념 = 666 11.2 정부회계기준 = 690 11.3 발생주의회계 = 701 11.4 내부통제시스템 = 711 11.5 예산회계정보시스템 = 736 11.6 재무보고 = 746 11.7 한국의 정부회계 = 756 11.8 정부회계의 현재와 미래 = 7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