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알기쉬운) 미생물학 개정판

(알기쉬운) 미생물학 개정판 (6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小熊惠二 堀田博, 저 조남혁, 감수
단체저자명
전국미생물학교수, 편역
서명 / 저자사항
(알기쉬운) 미생물학 = Medical microbiology / [小熊惠二; 堀田博 지음]; 전국 미생물학 교수 편역
판사항
개정판
발행사항
파주 :   의학서원,   2012  
형태사항
xvi, 294 p. : 삽도,도표 ; 26 cm
총서사항
BM(기초의학) 시리즈 ;1
원표제
コンパクト微生物學 (改訂第3版)
ISBN
9788993153347
일반주기
편역자: 김영화, 김인숙, 김현아, 김희선, 박영례, 박필남, 윤현, 이동석, 이순희, 이연태, 이영미, 이웅희, 정석희, 정운숙  
감수자: 조남혁  
권말부록으로 "대표적인 항균제의 화학구조", "주요 항균제의 항균스펙트럼", "대표적인 소독제 일람" 수록  
서지주기
색인 수록: p. 278-294
비통제주제어
미생물학 , 기초의학 , 감염병 ,,
000 01633camcc2200469 k 4500
001 000045702482
005 20120423155832
007 ta
008 120322s2012 ggkad 001c kor
020 ▼a 9788993153347 ▼g 93510 : ▼c \20000
035 ▼a (KERIS)BIB000012345701
040 ▼d 245017 ▼a 245017 ▼c 245017 ▼d 211009
041 1 ▼a kor ▼h jpn
056 ▼a 511.5 ▼2 4
082 0 4 ▼a 616.9041 ▼2 22
085 ▼a 616.9041 ▼2 DDCK
090 ▼a 616.9041 ▼b 2012z3
100 1 ▼a 小熊惠二
245 2 0 ▼a (알기쉬운) 미생물학 = ▼x Medical microbiology / ▼d [小熊惠二; ▼e 堀田博 지음]; ▼e 전국 미생물학 교수 편역
246 1 9 ▼a コンパクト微生物學 ▼g (改訂第3版)
246 3 ▼a コンパクト ビセイブツガク
250 ▼a 개정판
260 ▼a 파주 : ▼b 의학서원, ▼c 2012
300 ▼a xvi, 294 p. : ▼b 삽도,도표 ; ▼c 26 cm
440 0 0 ▼a BM(기초의학) 시리즈 ; ▼v 1
500 ▼a 편역자: 김영화, 김인숙, 김현아, 김희선, 박영례, 박필남, 윤현, 이동석, 이순희, 이연태, 이영미, 이웅희, 정석희, 정운숙
500 ▼a 감수자: 조남혁
500 ▼a 권말부록으로 "대표적인 항균제의 화학구조", "주요 항균제의 항균스펙트럼", "대표적인 소독제 일람" 수록
504 ▼a 색인 수록: p. 278-294
653 ▼a 미생물학 ▼a 기초의학 ▼a 감염병
700 1 ▼a 堀田博, ▼e
700 1 ▼a 조남혁, ▼e 감수
710 ▼a 전국미생물학교수, ▼e 편역
900 1 1 ▼a 오구마 게지, ▼e
900 1 1 ▼a 홋타 하쿠, ▼e
900 1 1 ▼a Oguma, Keiji, ▼e
900 1 1 ▼a Hotta, Haku, ▼e
940 ▼a Konpakuto biseibutsugaku
949 ▼a 비엠 기초의학 시리즈 ; ▼v 1
949 ▼a 기초의학 시리즈 ; ▼v 1
949 ▼a BM 시리즈 ; ▼v 1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의학도서관/자료실(3층)/ 청구기호 616.9041 2012z3 등록번호 13104318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BM(기초의학)시리즈 제1권. 세균과 바이러스의 성상을 설명한 후 장기별로 주요 감염 미생물의 종류와 그 질병에 대해 세균과 바이러스 각각의 전문가에게 수록하게 했다. 나아가 질환의 발병 기전을 이해하기 위해 미생물의 특징뿐만 아니라 숙주의 조건, 각 장기의 해부와 생리도 간결하게 수록했다.

또한, 즐겁고 유익한 정보를 담은 많은 칼럼도 추가하였다. 이러한 체계는 의료인을 지망하는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교과서로는 지금까지 없었던 새로운 시도가 될 것으로 생각되며, 이러한 형식이 '미생물에 의한 질환과 그 대책'을 이해하는 데에 유용하기를 바란다.

머 리 말

최근 출혈성 대장균, SARS, 조류독감, 신종독감, 사람면역결핍바이러스, 에볼라 바이러스처럼 새로 발견된 미생물에 의한 감염병(신종 감염병)이나 결핵으로 대표되는 그동안 잊혔던 감염병이 재출현(재출현 감염병)하여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다. 원인균과 사회환경의 변화, 환자의 인권 문제 등에 따라 새로운 감염병 예방법이 시행되었는데, 이러한 내용도 포함해서 감염병을 일으키는 미생물의 기초지식을 습득하는 일이 보건.의료 종사자에게는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미생물학에 관한 방대한 지식을 강의 시간수가 적은 보건.의료인 지망 학생들이 이해하려면 미생물학의 최소 필요량이 담긴 간결하고 이해하기 쉬운 교과서가 필요한데, 이러한 면에서 이 책은 매우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 책의 기본방침은 어떤 미생물이 어떤 질환을 일으키는지, 그 예방과 대책은 무엇인지를 간결하게 설명하는 것이다. 그래서 우선 세균과 바이러스의 성상을 설명한 후 장기별로 주요 감염 미생물의 종류와 그 질병에 대해 세균과 바이러스 각각의 전문가에게 수록하게 했다. 나아가 질환의 발병 기전을 이해하기 위해 미생물의 특징뿐만 아니라 숙주의 조건, 각 장기의 해부와 생리도 간결하게 수록했다.
또한, 즐겁고 유익한 정보를 담은 많은 칼럼도 추가하였다. 이러한 체계는 의료인을 지망하는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교과서로는 지금까지 없었던 새로운 시도가 될 것으로 생각되며, 이러한 형식이 '미생물에 의한 질환과 그 대책'을 이해하는 데에 유용하기를 바란다. 또한, 이 책을 이용하는 독자들이 기탄없는 의견과 비판을 개진해주길 바라며 이를 통해 앞으로도 계속해서 개선해 나가고자 한다. 의학서원 출판부 여러분의 수고와 정성으로 출판이 가능하였다고 생각하며 마음 깊이 감사를 표한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 조 남 혁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장 미생물학이란? 
 1 미생물학의 역사 = 1
 2 미생물의 분류 = 4
제2장 
 1 형태와 분류 
  A. 형태와 구조 = 7 
  B. 분류 = 12
  C. 세균의 관찰방법 = 13
 2 배양과 증식 
  A. 증식  = 14
  B. 배양 = 15
  C. 대사 = 16
  D. 대사, 증식 조절, 제어 = 19
 3 돌연변이와 유전 
  A. 돌연변이의 종류 = 21 
  B. 돌연변이원 = 22
  C. 유전자 형성의 전달과 발현 = 22
 4. 감염과 발병 
  A. 정의 = 25
  B. 감염 성립의 원인과 감염경로 = 27
  C. 감염 성립에 관여하는 미생물의 인자 = 29 
  D. 숙주의 방어인자 = 33
 5 감염과 면역 
  A. 면역이란 무엇인가? = 36 
  B. 항원 = 36
  C. 면역담당세포 = 37 
  D. 면역반응 = 38
  E. 체액면역 = 39
  F. 세포면역 = 46
  G. 감염방어면역 = 47
  H. 알레르기(과민반응) = 48
  I. 면역결핍질환 = 50
  J. 자가면역질환 = 50
 6 각 균의 성상과 병원성 
  A. 그람양성 조건무산소성 알균 = 52
  B. 그람음성 조건무산소성 막대균 = 56
  C. 미세산소성 그람음성 나선균무리 = 63
  D. 그람음성 산소성 막대균 및 알균 = 65
  E. 그람양성의 산소성 및 조건무산소성 막대균 = 70
  F. 절대무산소성균 = 72
  G. 미코박테륨 = 77
  H. 악티노미세스와 노카르디아 = 80 
  I. 스피로헤타 = 81
  J. 미코플라스마 = 83
  K. 리케차 = 84
  L. 클라미디아 = 87
 7 진단 
  A. 임상검체의 채취 = 89 
  B. 균의 분리와 동정 = 89
  C. 혈청진단 = 89
  D. 유전자진단 = 90
 8 치료 
  A. 화학요법제 = 92
  B. 내성균 = 94
제3장 바이러스
 1 바이러스의 형태와 구조 및 분류 = 99
 2 바이러스의 증식과 배양
  A. 바이러스의 증식 = 101
  B. 바이러스의 배양 = 102
 3 바이러스의 유전과 돌연변이 
  A. 바이러스의 유전자 = 104
  B. 바이러스의 돌연변이 = 104
 4.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 
  A. 바이러스의 전파 = 105
  B. 바이러스의 감염양식 = 107
 5 바이러스의 병원성 
  A. 폭스바이러스과  = 111 
  B. 헤르페스바이러스과 = 112
  C. 아데노바이러스과 = 114
  D. 파필로마바이러스과 = 114
  E. 폴리오마바이러스과 = 115
  F. 파보바이러스과 = 115
  G. 헤파드나바이러스과 = 115
  H. 오소믹소바이러스과 = 116
  I. 파라믹소바이러스과 = 117
  J. 랍도바이러스과 = 120
  K. 토가바이러스과 = 121
  L. 플라비바이러스과 = 121
  M. 코로나바이러스과 = 123
  N. 아레나바이러스과 = 124
  O. 필로바이러스과 = 126
  P. 버냐바이러스과 = 127
  Q. 피코르나바이러스과 = 127
  R. 레오바이러스과 = 131
  S. 칼리시바이러스과 = 132
  T. 헤페바이러스과 = 134
  U. 레트로바이러스과 = 132
  V. 간염바이러스 = 134
  W. 지발 바이러스 감염병 = 137
 6 바이러스 감염병의 진단 
  A. 병인학적 진단 = 139 
  B. 혈청학적 진단 = 140
 7 바이러스 감염병의 치료 
  A. 항바이러스제 = 141
  B. 인터페론 = 141
제4장 진균 
 1 진균이란? = 145
 2 형태와 증식 
  A. 균사형 진균과 효모형 진균 = 145 
  B. 포자 형성에 의한 증식과 생활환 = 147
 3 분류 = 148
 4 병원성 = 148
 5 검사법 = 149
 6 치료와 예방 = 151
 7 질환
  A. 심부 진균증 = 151 
  B. 피하 진균증 = 154
  C. 표재성 진균증 = 154
제5장 기생충 
 1 기생충이란? 
  A. 분류학적 위치와 질환 = 154 
  B. 사회적 배경 = 158
  C. 감염경로 = 158 
  D. 진단검사 = 158
 2 원충증 각론 
  A. 곤충 매개 원충증 = 159
  B. 수계 원충증, 식품 매개 원충증, 성행위 원충증, 애완동물 유래 원충증 = 161
 3 연충증 각론 
  A. 경구ㆍ식품 매개 연충증 = 163
  B. 토양 매개 연충증 = 167 
  C. 곤충 매개 연충증 = 168
  D. 수계 감염 연충증 = 169
제6장 멸균과 소독 
 1 멸균법 
  A. 가열멸균 = 171
  B. 가스멸균 = 172
  C. 방사선멸균 = 172
  D. 여과멸균(여과제거법) = 173
 2 소독 
  A. 물리적 방법 = 173 
  B. 소독제 = 174
제7장 감염병의 예방과 대책 
 1 감염병 예방법 = 179
 2 백신 = 182
 3 원내감염과 그 예방대책 
  A. 원내감염이란? = 184 
  B. 원내감염의 발생요인 = 185
  C. 원내감염의 예방대책 = 186
제8장 장기 감염병 
 8-1 피부ㆍ점막계
  해부ㆍ생리와 감염병 = 192
  감염병 = 193
   A. 세균 = 193
   B. 바이러스 = 196
  감염병 환자의 간호(옴 환자의 간호) = 201
   A. 정보수집과 평가 = 202
   B. 치료제의 적정한 사용과 가려움 경감 = 202
   C. 신체 청결 = 202
   D. 감염 예방 = 202
 8-2 호흡기계 
  해부ㆍ생리와 감염병 = 204
   A. 상기도ㆍ중기도 감염병 = 205 
   B. 하기도 감염병 = 206
  감염병 = 207
   A. 세균 = 207
   B. 바이러스 = 211
  감염병 환자의 간호(결핵의 감염예방) = 216
   A. 정기검진과 조기발견 = 217
   B. 적절한 격리 = 217
   C. 확실한 치료와 재발 예방 = 217
   D. 의료ㆍ복지시설 등직원의 감염예방 = 218
 8-3 소화계 
  해부ㆍ생리와 감염병 = 219
   A. 해부ㆍ생리 = 219
   B. 감염병 = 220
  감염병 = 220
   A. 세균 = 220
   B. 바이러스 = 226
  감염병 환자의 간호(급성 바이러스성 간염 환자의 간호) = 229
   A. 정보수집과 평가 = 230
   B. 중증화, 전격화 예방과 안정을 위한 간호 = 230
   C. 가려움을 줄이기 위한 간호 = 230
   D. 영양관리 = 231
   E. 감염예방 = 231
 8-4 비뇨생식기계 
  해부ㆍ생리와 감염병 = 232
   A. 개요 = 232
   B. 요로감염 = 232
   C. 성병 = 233
  감염병 = 234
   A. 세균 = 234
   B. 바이러스 = 237
  감염병 환자의 간호(카테터 유치 요로감염의 예방) = 238
   A. 카테터 유치의 필요성 평가와 정확한 카테터 삽입 = 239
   B. 폐쇄식 도뇨시스템의 사용 = 239
   C. 채뇨주머니의 관리 = 240
 8-5 신경계 
  해부ㆍ생리와 감염병 = 241
   A. 개요 = 241 
   B. 혈행성 감염 = 241
   C. 신경행성 감염 = 241
   D. 숙주의 반응과 병리변화 = 242
  감염병 = 243
   A. 세균 = 243
   B. 바이러스 = 245
  감염병 환자의 간호 
   A. 증세 관찰과 생명 유지 = 248
   B. 고통 완화 = 248
   C. 이차장애의 예방 = 248
   D. 검사와 치료에 수반하는 간호 = 249
 8-6 혈액ㆍ림프 및 전신 감염병 
  해부ㆍ생리와 감염병 = 250
  감염병 = 250
   A. 세균 = 250
   B. 바이러스 = 256
  감염병 환자의 간호(패혈증 환자의 간호) = 261
   A. 증세 관찰과 생명 유지 = 262
   B. 고통 완화 = 261
   C. 이차장애의 예방 = 262 
   D. 검사와 치료에 수반되는 간호 = 262
 8-7 그 밖의 감염병 
  A. 선천성 감염병 = 263
  B. 산도감염 = 264
  C. 인수 공통 감염병 = 265
  D. 수입 감염병 = 267
  감염병 환자의 간호(수입 감염병 환자의 간호) = 269
   A. 정보수집과 평가 = 269
   B. 감염병 예방법에 의거한 대응과 조치 = 269
   C. 원내감염 예방 = 270
   D. 대증간호 = 270
부록 
 대표적인 항균제의 화학구조 = 274
 주요 항균제의 항균스펙트럼 = 275
 대표적인 소독제 일람 = 276
찾아보기 
 영문 = 278
 한글 = 287
칼럼 
 파스퇴르와 코흐 = 3
 세균으로부터 진화 = 5
 최초로 발견된 담배모자이크바이러스 = 6
 아포는 장수한다 = 11
 아포를 형성하는 대표적인 세균 = 13
 세균과 사람의 유전자 = 18
 방사능에도 견디는 디노코커스 래디오듀련스 = 19
 움직이는 유전자(mobile gene) = 24
 신종 감염병과 재출현 감염병의 확대 = 28
 SARS: 비말감염과 비말핵감염 = 29
 외독소와 내독소 = 31
 복어독은 세균 유래 = 32
 장내균무리에 관한 토픽 = 35
 신종 MRSA의 출현: 지역감염형 MRSA = 53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VRE)과 반코마이신 내성 황색포도알균(VRSA)의 공포가 다가오고 있다 = 55
 장출혈성 대장균(EHEC) = 58
 식인 박테리아는 적어도 3종류가 있다 = 62
 헬리코박터균의 발견과 노벨상 수상 = 64
 균막은 세균의 방어막이다 = 66
 레지오넬라는 배양하기 어렵지만, 자연계에 널리 분포한다 = 68
 포도당 미발효 그람음성막대균 = 69
 탄저균의 공포 = 71
 독으로 독을 제어한다 = 76
 결핵균은 재출현 감염병의 대표적인 예 = 78
 재출현한 결핵균의 특징 = 79
 Q열과 고양이할큄병 = 86
 세포 내 조건기생세균과 세포 내 절대기생세균 = 88
 그람양성균과 그람음성균의 차이 = 98
 신종 바이러스와 재출현 바이러스 = 110
 성인 홍역 = 119
 프리온 = 138
 바이오테러리즘 = 144
 비둘기와 땅콩은 위험? = 152
 주요 항진균제와 작용점 = 156
 애완동물 야생동물 유래 연충증 = 169
 대표적인 동물 유래 감염병 ① = 170
 대표적인 동물 유래 감염병 ② = 178
 대표적인 동물 유래 감염병 ③ = 203
 폐렴 외 = 210
 중증급성호흡증후군(SARS) = 212
 계절인플루엔자, H5N1 조류인플루엔자, 신종인플루엔자 = 215
 대표적인 동물 유래 감염병 ④ = 218
 노로바이러스 감염병의 역학상과 감염경로 = 228
 대표적인 동물 유래 감염병 ⑤ = 231
 대표적인 동물 유래 감염병 ⑥ = 240
 대표적인 동물 유래 감염병 ⑦ = 249
 웨스트나일열 웨스트나일뇌염 = 260
 신종인플루엔자 A(H1N1) 바이러스 = 271

관련분야 신착자료

Comer, Ronald J (2023)
Liu, Jie (2022)
Vasquez, Melba Jean Trinidad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