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984camcc2200313 c 4500 | |
001 | 000045702327 | |
005 | 20120920110813 | |
007 | ta | |
008 | 120327s2012 ulka 000c kor | |
020 | ▼a 9788966800193 ▼g 03300 | |
035 | ▼a (KERIS)BIB000012735623 | |
040 | ▼a 211048 ▼c 211048 ▼d 244002 ▼d 211009 | |
082 | 0 4 | ▼a 791.450233 ▼2 22 |
085 | ▼a 791.450233 ▼2 DDCK | |
090 | ▼a 791.450233 ▼b 2012 | |
245 | 0 0 | ▼a PD, who & how / ▼d 홍경수 외 36인의 PD 지음 |
246 | 3 | ▼a PD, who and how |
246 | 3 | ▼a 피디 후앤하우 |
250 | ▼a 개정4판 | |
260 | ▼a 서울 : ▼b 커뮤니케이션북스, ▼c 2012 | |
300 | ▼a xv, 513 p. : ▼b 천연색삽화 ; ▼c 25 cm | |
500 | ▼a 공저자: 고민구, 고찬수, 곽정환 외 32인 | |
500 | ▼a 37명의 PD가 알려주는 PD의 모든 것 | |
500 | ▼a 부록: 1. 2011 신입 PD 합격기, 2. PD가 되기 위해 알아두면 좋은 방송용어 | |
700 | 1 | ▼a 홍경수, ▼e 저 ▼0 AUTH(211009)79779 |
700 | 1 | ▼a 고민구, ▼e 저 |
700 | 1 | ▼a 고찬수, ▼e 저 ▼0 AUTH(211009)95364 |
700 | 1 | ▼a 곽정환, ▼e 저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791.450233 2012 | Accession No. 11167531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 Call Number 791.450233 2012 | Accession No. 15130722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791.450233 2012 | Accession No. 11167531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 Call Number 791.450233 2012 | Accession No. 15130722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PD가 되겠다고 꿈꾸는 모든 사람들을 위해 쓰여진 책. 우리가 PD에 대해 알고 싶은 모든 것을 27명의 현직 PD가 직접 말해준다. 화려한 스포트라이트를 좇아 무작정 들어서기에는 결코 만만치 않은 길이기 때문이다. 다양한 PD의 삶을 솔직한 직업인의 모습으로 보여주며, PD의 세계를 담백하게 바라보는 시선을 유도한다.
PD가 되기 위한 현실적인 조건과 스터디 방법론, 방송 3사 신입 PD의 유쾌하고 눈물겨운 합격기 등 PD가 누구이고 어떻게 하면 PD가 될 수 있는지에 대한 모든 것이 담겨있다. 이번 개정판에는 피디 13명의 새로운 체험기가 실려 있다. 2011년 신입 PD들의 MBC, KBS, SBS 합격기와 <아마존의 눈물>, <차마고도> 등 다큐멘터리 PD들의 열정과 고민을 생생하게 담았다.
2012 개정4판에는 다음 내용이 추가되었습니다.
- 피디 13명의 새로운 체험
- 2011년 신입 PD들의 MBC, KBS, SBS 합격기
- 토크쇼 <강심장>, 드라마 <추노>, 다큐멘터리 <지식채널e>, 라디오 <심야 식당>, <컬투쇼> 제작기
- 예능 조연출, 드라마 PD, 교양 PD에서 드라마 PD로, 시사 PD 등 전문 분야 PD의 세계
- <아마존의 눈물>, <차마고도> 등 다큐멘터리 PD들의 열정과 고민
‘PD’라는 이름의 직업, 그렇게 대단해 보입니까?
동경과 선망의 대상으로 수많은 지망생들이 등용의 문을 두드리는 곳, 방송 PD의 세계. 손짓 하나로 큐 사인을 던지면, 촬영 현장의 수많은 스탭들이 그의 말대로 움직이고, 잘 나가는 스타들이 무대 위에서 노래를 부르고, 눈물연기를 보이고, 얼토당토않은 코믹연기로 스타일을 구긴다. 그가 생산한 프로그램을 보고 전국의 시청자들이 TV 앞에서 동시에 울고 웃는다. 영상문화의 실질적인 리더인 방송 PD에게 대중매체의 막강한 권력이 집중되어 있기에, 그 좁은 문을 비집고 들여다보는 세계는 화려하고 근사하기만 하다. 그러나 브라운관 안쪽으로 뛰어들어간 PD의 세계는…….
방송국 PD, 되고 봤더니
PD는 고함지르고, 어깨에 힘주는 직업이 아니라, 참고 또 참아야 하는 약자라고 말한다. 고생고생해서 PD되면 전화만 해도 연예인이 줄줄 따를 줄 알았는데, 웬 걸! PD가 스타를 섭외하는 것이 ‘하늘에서 별 따기’처럼 어려워질 줄은 몰랐단다. PD가 되고 싶어하는 이들에게 한마디! “새벽 3시, 한 평 감옥에 자신을 가두고 분초를 다투며 피를 말리고 있는 편집실의 현장을 보여주겠다!” 그러나 쉬는 날도 없이 편집실과 촬영현장을 뒹구는 PD들은 대부분, 즐거운 일을 하고 행복한 삶을 산다고 자부한다.
“PD공부 절대 하지 마라”
이 책은 PD가 되겠다고 꿈꾸는 모든 사람들을 위해 쓰여진 책이다. 우리가 PD에 대해 알고 싶은 모든 것을 27명의 현직 PD가 직접 말해준다. 화려한 스포트라이트를 좇아 무작정 들어서기에는 결코 만만치 않은 길이기 때문이다. 다양한 PD의 삶을 솔직한 직업인의 모습으로 보여주며, PD의 세계를 담백하게 바라보는 시선을 유도한다. PD가 되기 위한 현실적인 조건과 스터디 방법론, 방송 3사 신입 PD의 유쾌하고 눈물겨운 합격기 등 PD가 누구이고 어떻게 하면 PD가 될 수 있는지에 대한 모든 것이 담겨있다. ‘PD공부 절대 하지마라’는 한 PD의 선정적인 발언은 급속히 바뀌어가고 있는 방송사 입사시험의 경향을 대변한다. PD가 되겠다고 PD의 홈페이지에 들르는 수많은 네티즌들에게 PD들은 우선, PD가 되고자 하는 의지가 진정한 것인지 되묻는다.
PD라고 다 같은 PD가 아니다.
열린 음악회, 낭독의 발견, 강심장, 추노, PD수첩 등 걸쭉한 프로그램을 연출하는 PD들의 우여곡절 방송국 입문기가 있다. 초년병 시절의 실수담, 경력이 말해주는 그만의 방송 철학이 모두 이 책 속에 있다. 토크쇼, 드라마, 시트콤, 다큐멘터리, 스포츠, 라디오, 교육방송. 장르에 따라 PD들은 모두 다른 철학과 경험을 가지고 프로그램을 만든다. 신변잡기, 간접광고, 선정성 등의 비판이 늘 따라다니지만 가장 즐겁고 가장 웃긴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이 궁극적인 역할이라고 말하는 오락PD. 그리고 ‘사물에 대한 인식의 지평을 넓히고 시대를 기록하는 저널리스트’로서 사회의 편견과 부조리에 도전하는 시사다큐멘터리 PD. 그들이 브라운관에서 펼쳐 보이는 세상은 어떻게 다를까?
지금 막 PD가 되려고 마음먹은 이들에게
‘이 책이 PD에 대한 거품이 빠지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는 충고는 냉정하지만 애정 어린 말이다. ‘예술과 상식, 메시지와 시청률 사이에서 고통스러워하는 PD들’이 많기 때문이다. 자유롭고 화려해 보이는 직업이지만, 하나의 프로그램을 생산하기까지는 예산에서부터 시청률까지 많은 장애와 스트레스, 강도 높은 육체적 노동을 감당해내야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PD가 되기 위해서 실제로 필요한 지식과 경험을 쌓는 것보다 시험을 통과하기 위한 ‘스터디’를 해야 하는 현실에 대한 언급도 가볍지 않다. 아직 능력을 재는 잣대가 성적과 학벌일 수밖에 없는 현실에서 학생 시절, 최선을 다해 공부하라는 당부 역시 단순하지만 가장 솔직한 충고일 것이다.
독자의 반응
나의 꿈은 PD
PD라는 검색어로 책을 찾아보았다. 그런데 이 책이 나의 눈에 띄었다. 나는 곧바로 이 책을 구입했고, 책이 도착하자마자 단숨에 읽어 내려갔다. 정말 재미있는 책이었다. 내가 PD가 되기 위해서 어떤 과정을 밟아야 하는지, PD가 되기 위한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정말 멋있게 가르쳐 준, 좋은 책이다. PD가 멋있다고 생각해본 사람, PD가 되고 싶은 사람들은 꼭 한 번 이 책을 읽어볼 것을 권한다.
이 시대 젊은 PD들의 진실한 초상!
이 책은 이 시대 젊은 PD들의 진실하고 생생한 목소리를 들을 수 있어서 좋다. 왜 PD가 되었는지, 고민은 무엇인지. 평소 궁금했던 PD의 세계가 잘 드러나 있어서 아주 재미있다. PD가 되고 싶어하거나 막연히 방송을 동경하는 사람들에게 딱이다. 강추.
저자 소개
37명의 PD(가나다순)
대표 필자 / 홍경수 KBS PD
고려대학교 신문방송학과와 서울대학교 대학원 언론정보학과 석사 과정과 박사 과정을 마쳤다. 1995년 KBS에 TV PD로 입사, 예능국에서 <열린음악회>, <이소라의 프로포즈>, <가요무대>, <연예가중계>, <도올의 논어이야기> 등을 거쳤다.
2003년 가을, TV문화지대 <낭독의 발견>과 <미술관 가는 길>을 기획, <낭독의 발견>으로 2004 한국방송대상 우수작품상을 받았다. 2010년부터 순천향대학교 미디어콘텐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고민구
<연예가중계>, <슈퍼TV 일요일은 즐거워> 조연출을 거쳐 <자유선언 토요일-불후의 명곡 2> 연출.
고찬수
<연예가 중계>, <슈퍼TV 일요일은 즐거워>, <남희석·이휘재의 한국이 보인다>, <시사터치 코미디 파일>, <야! 한밤에>, <전국노래자랑>, 시트콤 <선녀가 필요해> 연출.
곽정환
<한성별곡-正>, <추노>, <도망자 플랜 B> 연출. CJ E&M 드라마사업본부 PD.
김도훈
<영웅반란>, <햇빛 속으로>, <전원일기>,
김민식
<뉴논스톱>, <아직도 결혼하고 싶은 여자>, <글로리아> 연출. 드라마 기획 중.
김신일
<스포츠 쇼>, <가로수를 누비며>, <생방송 오늘> 연출. 글로벌센터 온라인사업팀에서 근무를 거쳐 드라마국에서 아침드라마 <두근두근 달콤> 조연출.
김영선
<생방송 시사투나잇>, <추적 60분> 연출, <단박인터뷰> 진행, 연출.
김일중
KBS 사내기업 굿모닝 코리아에서 <국악 한마당>(KBS 1TV)을 연출하고 2003년 공사 창립 30주년 HDTV 특별기획 시리즈 <소리>로 방송위원회 대상 수상. 한국콘텐츠진흥원 근무.
김일훈
<연예가중계>, <수요기획> 제작. 외주제작국 근무.
김진만
김진혁
<지식채널e> 연출. 편성기획부 근무.
김진호
<패밀리가 떴다>, <야심만만2>, <강심장>, <스타킹>, <정글의 법칙> 조연출.
김찬웅
<이현우의 뮤직라이브>, <두시탈출 컬투쇼>, <안선영의 라디오가 좋다> 연출.
김창회
<안녕하십니까? 봉두완입니다>, <서세원의 2시가 좋아>, <홍경민의 라디오가 좋아요>, <박수홍·박경림의 FM 인기가요> 연출. 콘텐츠본부 근무.
김환균
<인간시대>, <신인간시대>,
김현철
1995년 KBS 공채 22기 스포츠 PD로 입사. 스포츠국 소속으로 다양한 스포츠 방송 제작.
나영석
<슈퍼TV 일요일은 즐거워> 조연출을 거쳐 <해피선데이-1박 2일> 연출.
노상훈
<상두야 학교가자> 등 조연출을 거쳐 단막극 <그 남자가 거기 있다> 연출. <오작교 형제들> 공동 연출.
모완일
단막극 <동일범> 연출, <웃어라 동해야> 공동 연출.
박상혁
<웃찾사>, <이경규 김용만의 라인업>, <일요일이 좋다>, <강심장> 연출.
박인석
<사랑의 리퀘스트>, <자유선언 토요일-시크릿> 조연출.
박정언
2010년 12월 MBC시사교양국에 입사.
서용하
<차마고도>, <박중훈쇼 대한민국 일요일밤> 연출. 편성기획팀 근무.
송주미
KBS 국제방송 PD. 스페인어 방송 연출.
유규오
<딩동댕 유치원>, <논리와 논술>, <도올 김용옥 노자와 21세기>, <초등2학년 방학생활> 연출. 기획 다큐 <아기성장 보고서> 연출.
윤병준
2002년 KBS 28기 라디오 PD로 입사. 라디오 2국 소속으로 활동. <강원래 노현희의 뮤직토크>, <출발 FM과 함께> 연출.
윤성현
<메이비의 볼륨을 높여요>, <윤도현의 뮤직쇼>, <홍진경의 가요광장>, <슈퍼주니어의 키스 더 라디오>, <윌슨의 올댓차트>, <유희열의 라디오천국> 연출, <심야식당> 연출, 진행.
이예지
2001년 MBC <음악캠프> 구성작가로 잠시 일하며 방송의 매력에 빠져 2004년 KBS 공채 30기로 입사. 대국민 토크쇼 <안녕하세요> 연출.
이동규
<서세원의 좋은 세상 만들기>,
이정환
<6시 내 고향>,
이형일
2004년 KBS에 지역PD로 입사. KBS 대구총국에서 <생방송 금시초문(金時初文)>연출. 다큐멘터리 <소리>로 24회 한국 PD 대상 수상.
임완호
KBS 일요스페셜 <지리산 반달곰은 살아 있는가>, SBS 자연 다큐멘터리 <까치의 반란>, SBS 창사특집 <늑대, 야생을 향한 새로운 외침>, SBS 4부작 다큐 <남겨진 미래, 남극> 연출.
장경주
2010년 SBS 제작본부에 입사해 <출발! 모닝와이드 3부>, <한밤의 TV연예> 조연출.
장기하
KBS
정혜경
1997년 KBS에 입사.
한학수 <다큐멘터리 이야기 속으로>, <다큐멘터리 성공시대>,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홍경수(지은이)
아주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고려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 언론정보학과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5년 KBS에 PD로 입사하여 〈낭독의 발견〉, 〈단박 인터뷰〉를 처음 기획했고, 2004년 한국방송대상 우수작품상을 수상했다. 백상예술대상, 한국방송대상, 미국 국제에미상 심사를 맡았고, TBS 시청자위원장, KBS 경영평가위원, 한국방송학회 연구이사, 한국언론정보학회 기획이사 등을 역임했다. 지은 책으로 『기획의 인문학』, 『확장하는 PD와의 대화』, 『예능PD와의 대화』 등이, 옮긴 책으로 『어원은 인문학이다』가 있다.

Table of Contents
목차 개정 4판 서문 : PD 정신을 가진 PD를 위하여 = ⅴ 개정 3판 서문 : 젊은 '그대'에게 = ⅶ 개정 2판 서문 : PD가 말하는 PD를 위하여 = ⅸ 초판 서문 : PD를 꿈꾸는 이들에게 = xi 1부 PD와 방송 01 PD는 누구인가? / 홍경수 = 3 예술가 = 6 기술자 = 8 저널리스트 = 9 작가주의 PD = 10 PD 혹은 CEO = 13 02 PD는 어떤 일을 하는가? / 홍경수 = 15 사전 제작 = 16 제작 = 23 사후 제작 = 27 03 프로그램 제작의 원칙 / 홍경수 = 31 선택 혹은 호명(呼名) = 32 배열, 의미의 발생학 = 32 텔레비전 제작 문법 = 34 04 PD와 스태프 / 홍경수 = 37 연출 스태프 = 39 제작 스태프 = 40 05 기(氣)로 풀어본 방송 / 홍경수 = 47 무대 - 기가 경합하는 기의 전장(戰場) = 48 스타 - 우리의 기(氣)가 소통하는 매개체 = 50 방송 일 - 그 참을 수 없는 밀도의 무거움 = 52 브라운관 - 확대경처럼 환하다 = 52 2부 PD가 되는 방법 06 스터디, 이렇게 하라 / 모완일 = 57 입사 시험, 언론 고시? = 58 사전 지식을 습득하라 = 59 무엇을 준비해야 할까? = 60 스터디, 어떻게 할까? = 66 07 필독 도서란 없다 / 윤병준 = 79 개론 수업, 영화, TV… = 81 방송 관련 잡지 필독 = 83 그래도 부족하신 분들을 위한 조언 = 86 08 상식 시험에 대한 어떤 것 / 노상훈 = 89 PD와 상식, 그 미묘한 관계 = 91 상대적 비중 줄어든 상식 = 93 국어 = 95 일반 교양 혹은 상식 = 97 시사 상식 = 98 나가는 길에 = 99 09 논술 3법칙 / 이예지 = 101 작심, 언론고시! 후(後), 원서접수 전(前) = 102 원서접수 후(後), 필기시험 전(前) = 104 시험 후(後), 내일을 준비하며 = 106 에필로그 = 110 10 창의력 계발 훈련 / 홍경수 = 117 창의력을 키우는 두 가지 방법 = 119 아이디어를 만드는 훈련방법 = 120 관념의 함정 = 123 속성을 나눠라 = 125 SCAMPER = 126 세력권 분석 = 126 직관력을 사용하는 법 = 127 부화시키는 것은 어떤가? = 127 11 예고 아이디에이션 연습 / 홍경수 = 129 예고 프로그램이란? = 133 예고 케이스 스터디 = 137 예고 스폿 어떻게 만드나? = 140 예고 스폿 제작 연습 = 140 왜 스토리텔링인가? = 144 12 프로그램 기획안, 어떻게 준비할까? / 나영석 = 143 기획안이란? = 144 기획안의 형식 = 144 기획안의 내용 = 146 좋은 기획의 예 = 146 기획안 준비 방법 = 150 13 면접과 자기소개서 / 김일훈 = 163 자기소개서, 면접의 시작 = 164 실제 기출 문제 = 166 답변의 방법 = 172 유의 사항 = 173 면접을 위한 제언 = 174 3부 다양한 PD의 세계 14 슈퍼맨 조연출에 얽힌 신화와 애환 / 김환균 = 181 조연출은 사람이 아니고 슈퍼맨이다? = 182 조연출은 배고프고 춥다 = 183 조연출의 옷에는 호주머니가 여러 개 있다 = 184 조연출은 프로그램을 빛나게 한다 = 185 15 예능 조연출로 사는 법 / 김진호 = 187 회의하지 않으면 PD가 아니다! - 회의부터 촬영 전까지 = 189 화려함은 짧고 구질구질함은 길다 - 촬영부터 방송까지 = 190 돈돈돈 돈이 뭔데 - 방송이 나간 후 = 193 나는 조연출이 되기 위해 입사한 게 아니다! = 194 16 새로운 토크쇼〈강심장〉제작기 / 박상혁 = 197 신설 프로그램 제작 특명 = 198 성장 가능한 MC를 찾아서 = 199 의외로 단순한 섭외 전략 = 202 17 드라마 PD의 길 / 김민식 = 203 "어떤 드라마를 연출하고 싶냐?" = 205 코미디는 대본의 틀 안에서 = 207 시트콤은 캐릭터, 드라마는 서사 = 209 18 텔레비전 드라마 PD의 겉과 속 / 김도훈 = 211 드라마 PD는 어떤 일을 하는 사람인가? = 212 프레임(Frame)의 안과 밖 = 213 PD와 AD = 216 나의 소질은 무엇인가? = 218 19 교양 PD에서 드라마 PD로 거듭나기 / 곽정환 = 221 비주얼 콘셉트 - 노비 = 222 미술 - 관행에서 벗어나기 = 224 질감과 색감 - 디테일 = 226 RED ONE 카메라 - 아시아 최초의 모험 = 227 액션 - 스케일이 아닌 감정 = 228 고속촬영 - 비용과 효과 = 229 스태프 - 연출의 모든 것 = 231 20 공개 코미디〈웃찾사〉탄생기 / 이동규 = 232 〈웃찾사〉성공 비결은? = 234 〈웃찾사〉, 어떻게 태어나게 되었을까요? = 238 먼저 어떻게 기획되었을까요? = 238 〈웃찾사〉준비 과정은? = 242 첫 녹화장에서 생긴 일 = 245 〈웃찾사〉는 웃기 때문에 재미있습니다. = 246 코미디 PD의 자질은? = 248 시청자에게 = 251 21 교양 PD, 두 마리를 쫓는 황금박쥐 / 이정환 = 253 교양의 정체? = 255 PD는 선택하는 사람, 그렇다면 교양 PD는? = 257 교양 PD는 감각적이다 = 260 감각의 논리에서는 액션보다 리액션이다 = 261 미래의 교양 PD는 '그냥 박쥐'가 아닌 '황금박쥐'여야 한다 = 262 22 다큐멘터리를 한다는 것 / 한학수 = 265 모든 것을 의심하라 - '양심적 병역 거부' = 266 다른 시각으로 바라보라 - '커밍아웃한 홍석천 컴백시키기' = 267 거기에 사람이 있다 - '사형 제도를 사형시켜라' = 269 23 아마존, 1년의 기록 / 김진만 = 271 해야 하는 기획과 하고 싶은 기획 = 272 아마존을 몸으로 만나다 = 273 조에족에게서 천국을 보다 = 275 사람과 다큐멘터리 = 276 24〈차마고도〉이렇게 만들었다 / 서용하 = 279 기획의 시작, '아시아를 넘어라' = 280 차마고도와의 잔인한 만남 = 281 다른 다큐멘터리를 위하여 = 282 잊을 수 없는 순간들 = 286 새로운 꿈을 꾸기 위하여 = 289 25 지식으로 만든 다큐멘터리〈지식채널e〉 / 김진혁 = 291 쿨하고 계몽적이지 않은 = 292 자기의 삶과〈지식채널e〉를 구분하지 않았던 제작진 = 294 절박했던 그때가 그립다 = 295 26 스포츠, 각본 없는 드라마 / 김현철 = 297 스포츠 PD란 직업도 있나? = 298 그 사람들이 도대체 뭘 하길래? = 298 Q&A = 302 27 시사 PD를 꿈꾸는 후배들에게 / 김영선 = 305 화면 밖의 PD와 화면 안의 PD = 306 처음 출연했을 때의 느낌 = 308 출연과 연출의 차이 = 308 왜 PD가 직접 출연해야 하나? = 310 출연자와 진행자 = 312 시사 PD를 꿈꾸는 후배들에게 = 314 28 라디오 PD라구요? / 김창회 = 317 라디오 PD, 환상 깨기 = 318 라디오는 PD는 어떤 일을 할까요? = 319 미래의 라디오, 그리고 라디오 PD = 324 라디오 PD, 이런 사람이면 딱 좋아 = 326 라디오 PD되기 = 327 글을 마치며 = 330 29〈심야식당〉라디오 제작기 / 윤성현 = 333 세상에서 가장 일 같지도 않은 일 = 334 분열된 자아, 윌슨과〈올 댓 차트〉 = 336 심야식당 창업기 = 338 30 매일 두 시에 웃겨 주겠다! / 김찬웅 = 341 패밀리 모집 = 342 첫 방송, 가능할까? = 344 〈두시탈출 컬투쇼〉시작! = 345 DJ 컬투 = 347 〈두시탈출 컬투쇼〉의 대표 코너들 = 348 라디오 피디를 꿈꾸는 사람들에게 = 350 31 PD 외교관, 국제 방송 PD / 송주미 = 353 24시를 25시로 = 354 해외 연수의 특전까지 = 355 국내파들이 더 많은 국제 방송 PD = 358 국제 방송 PD가 되려면 = 359 4부 뉴미디어 시대 PD되기 32 외주 PD의 길 / 장기하 = 361 외주 PD라도 될 수 없을까? = 362 외주 PD는 어떻게 되나? = 36 나는 어떻게 이 길을 걷게 됐나? = 364 외주 제작은 어떻게 되나? = 366 외주 PD는 인 하우스(방송사) PD보다 실력이 못하다? = 367 외주 PD, 앞으로 이보다 더 나쁠 수는 없다? = 369 33 인디 PD로 살아남기 / 임완호 = 371 느티나무 둥지에 대한 기억 = 373 나 홀로 PD의 제작 방식 = 375 척박한 제작 환경 = 377 정확한 현실 인식 앞서야 = 382 34 '그냥' PD와 '여자' PD / 정혜경 = 385 "이번엔 여자 PD 안 뽑을 줄 알았는데" = 386 여자 PD의 명과 암 = 387 여자 PD에 대한 차별, 있다 vs 없다 = 390 여자 PD가 해야 할 귀찮은 일 몇 가지 = 392 참을 수 없는 PD의 고단함 = 393 35 교육방송 PD로 일한다는 것 / 유규오 = 395 EBS에 대한 고정관념 = 396 쇼 오락 PD만 없다 = 399 EBS의 목표는 고급방송 = 402 36 지역 PD가 말하는 지역PD / 이형일 = 407 지역 PD 되기 = 409 지역 PD는 누구? = 411 지역 PD 이것이 궁금하다 = 412 지역 PD에 대한 오해 = 414 지역 PD여서 좋을 때, 나쁠 때 = 415 지역 PD에 도전해 보자 = 416 37 PD와 기자, 어느 길을 선택할 것인가? / 고민구 = 423 사직서를 제출하며 = 424 멀고 먼 길을 돌아서 = 426 차이점을 알면 길이 보인다 = 427 38 엔터테이너로서의 PD / 고찬수 = 431 고진감래라 더 단 것일까? = 432 "너무 재미있어 죽겠다" = 434 "왜 그렇게 재미있냐고?" = 437 39 디지털 시대의 뉴미디어 PD / 김신일 = 443 PD 사표 내다 = 444 방송사의 수익 모델 찾기와 드라마〈겨울연가〉 = 446 방송과 PD의 미래 = 448 40 그대 아직 꿈꾸고 있는가? / 김일중 = 451 방송을 씹는 사내 = 452 사내, 방송을 떠나다 = 454 사내, 방송 현장으로 돌아오다 = 455 그는 왜 PD가 되었나? = 457 PD, 아무나 할 수 없고 아무나 해서도 안 된다 = 458 PD, 무엇이 필요한가? = 460 PD 전설이 되다 = 461 그대 아직 꿈꾸고 있는가? = 466 부록 : 2011 신입 PD 합격기 百秀의 꿈 / 박인석 = 476 PD를 향한 도전 / 박정언 = 492 강철은 따로 없다 / 장경주 = 501 PD가 되기 위해 알아두면 좋은 방송 용어 = 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