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 ⅲ
추천의 글 = ⅸ
제1부 자문화기술지의 이론적 배경과 방법
제1장 질적 연구방법으로서 자문화기술지 = 6
Ⅰ. 왜 자문화기술지인가? = 6
Ⅱ. 자문화기술지의 이론적 관점은 무엇인가? = 8
Ⅲ. 외국의 자문화기술지 작품들 = 21
Ⅳ. 나가며 = 28
제2장 자문화기술지의 연구방법 = 36
Ⅰ. 들어가며 = 36
Ⅱ. 주제선정은 어떻게 하는가? = 38
Ⅲ. 자료의 수집과 관리는 어떻게 하는가? = 39
Ⅳ. 자료의 분석과 해석은 어떻게 하는가? = 44
Ⅴ. 자문화 기술적 글쓰기 = 57
제3장 자문화기술지의 방법론적 딜레마와 이슈들 = 64
Ⅰ. 들어가며 = 64
Ⅱ. 현장 들어가기에서의 딜레마와 이슈들 = 66
Ⅲ. 심층면담에서의 딜레마와 이슈들 = 72
Ⅳ. 타당도 작업에서의 딜레마와 이슈들 = 74
Ⅴ. 나가며 = 79
제4장 자문화기술적 글쓰기 전략 = 82
Ⅰ. 들어가며 = 82
Ⅱ. 연구방법 = 85
Ⅲ. 자문화기술적 글쓰기 경험: '익명의 문지기들을 설득하기' = 88
Ⅳ. 나가며 = 95
제2부 자문화기술지의 적용 Ⅰ: 교사의 정체성과 관점
제5장 한 교사 연구자의 변환적인 역할과 관점 = 104
Ⅰ. 들어가며 = 104
Ⅱ. 연구방법 = 106
Ⅲ. 교사 연구자의 변환적인 역할과 관점 = 111
Ⅳ. 나가며 = 126
제6장 한 교사 교육자의 교수경험 = 132
Ⅰ. 들어가며 = 132
Ⅱ. 이야기 속으로 걸어 들어가기: 개인적인 교수경험들 = 134
Ⅲ. 나가며 = 150
제3부 자문화기술지의 적용 Ⅱ: 교수와 학습
제7장 초등 교과교육연구회 참여경험 = 158
Ⅰ. 들어가며 = 158
Ⅱ. 초등 교과교육연구회의 개념과 발전 = 160
Ⅲ. 교사연구회에서의 미시-정치적 갈등과 딜레마 = 163
Ⅳ. 나가며 = 175
제8장 초등학교 운동부 지도경험 = 182
Ⅰ. 들어가며 = 182
Ⅱ. 학교운동부 지도를 둘러싼 교육적 이슈와 딜레마 = 184
Ⅲ. 나가며 = 197
제9장 초등학교 부진학생 지도경험 = 202
Ⅰ. 들어가며 = 202
Ⅱ. 기초학습 부진학생 지도경험과 사회적 문제 현상들 = 204
Ⅲ. 가르침을 되돌아보기: '정말로 잘 가르친 걸까?' = 214
Ⅳ. 나가며 = 218
제10장 초등학교 체육전담교사의 교수경험 = 222
Ⅰ. 들어가며 = 222
Ⅱ. 한 체육전담교사의 수업이야기: '기억 속으로 입장하기' = 225
Ⅲ. 나가며 = 238
제4부 우리나라에서의 자문화기술지 작업들
제11장 (이희용, 2007) 한 고등학교 국어 교사의 성장 체험: 자기 이야기(self-narrative) = 246
Ⅰ. 서론 = 246
Ⅱ. 연구 방법 = 248
Ⅲ. 내가 겪은 딜레마 = 259
Ⅳ. 변화와 발달 = 269
Ⅴ. 결론 = 274
제12장 (주형일, 2010) 지방대에 대한 타자화 담론의 주관적 수용의 문제: 자기민속지학 방법의 적용 = 278
Ⅰ. 문제 제기 = 278
Ⅱ. 연구 방법 = 279
Ⅲ. 지방대 문제와 관련된 나의 이중적 위치 = 286
Ⅳ. 민주의 이야기에서 나타나는 양가성 = 293
Ⅴ. 결론을 대신해서 = 302
제13장 (김외솔, 2010) 한 초등교사의 자문화기술지를 통한 수업 성찰 = 308
Ⅰ. 연구 목적 = 309
Ⅱ. 반성적 성찰 1 = 310
Ⅲ. 반성적 성찰 2 = 328
제14장 자문화기술지에 대한 평가와 전망 = 346
Ⅰ. 저자의 자문화기술지 작품에 대한 부정적 입장 = 347
Ⅱ. 저자의 자문화기술지 작품에 대한 유보적 입장 = 348
Ⅲ. 저자의 자문화기술지 작품에 대한 긍정적 입장 = 350
에필로그 = 357
찾아보기 = 3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