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질적 연구와 자문화기술지

질적 연구와 자문화기술지 (20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이동성 李東成, 1974-
서명 / 저자사항
질적 연구와 자문화기술지 = Autoethnography & qualitative research / 이동성 지음
발행사항
파주 :   아카데미프레스,   2012  
형태사항
xii, 365 p. : 삽화 ; 23 cm
ISBN
9788997544097
서지주기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000 00744camcc2200241 c 4500
001 000045702205
005 20120423193737
007 ta
008 120419s2012 ggka b 001c kor
020 ▼a 9788997544097 ▼g 93370
035 ▼a (KERIS)BIB000012731353
040 ▼a 211040 ▼c 211040 ▼d 211009
082 0 4 ▼a 370.72 ▼2 22
085 ▼a 370.72 ▼2 DDCK
090 ▼a 370.72 ▼b 2012
100 1 ▼a 이동성 ▼g 李東成, ▼d 1974- ▼0 AUTH(211009)46315
245 1 0 ▼a 질적 연구와 자문화기술지 = ▼x Autoethnography & qualitative research / ▼d 이동성 지음
246 3 1 ▼a Autoethnography and qualitative research
260 ▼a 파주 : ▼b 아카데미프레스, ▼c 2012
300 ▼a xii, 365 p. : ▼b 삽화 ; ▼c 23 cm
504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0.72 2012 등록번호 11166387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목차

목차
서문 = ⅲ
추천의 글 = ⅸ
제1부 자문화기술지의 이론적 배경과 방법
 제1장 질적 연구방법으로서 자문화기술지 = 6
  Ⅰ. 왜 자문화기술지인가? = 6
  Ⅱ. 자문화기술지의 이론적 관점은 무엇인가? = 8
  Ⅲ. 외국의 자문화기술지 작품들 = 21
  Ⅳ. 나가며 = 28
 제2장 자문화기술지의 연구방법 = 36
  Ⅰ. 들어가며 = 36
  Ⅱ. 주제선정은 어떻게 하는가? = 38
  Ⅲ. 자료의 수집과 관리는 어떻게 하는가? = 39
  Ⅳ. 자료의 분석과 해석은 어떻게 하는가? = 44
  Ⅴ. 자문화 기술적 글쓰기 = 57
 제3장 자문화기술지의 방법론적 딜레마와 이슈들 = 64
  Ⅰ. 들어가며 = 64
  Ⅱ. 현장 들어가기에서의 딜레마와 이슈들 = 66
  Ⅲ. 심층면담에서의 딜레마와 이슈들 = 72
  Ⅳ. 타당도 작업에서의 딜레마와 이슈들 = 74
  Ⅴ. 나가며 = 79
 제4장 자문화기술적 글쓰기 전략 = 82
  Ⅰ. 들어가며 = 82
  Ⅱ. 연구방법 = 85
  Ⅲ. 자문화기술적 글쓰기 경험: '익명의 문지기들을 설득하기' = 88
  Ⅳ. 나가며 = 95
제2부 자문화기술지의 적용 Ⅰ: 교사의 정체성과 관점
 제5장 한 교사 연구자의 변환적인 역할과 관점 = 104
  Ⅰ. 들어가며 = 104
  Ⅱ. 연구방법 = 106
  Ⅲ. 교사 연구자의 변환적인 역할과 관점 = 111
  Ⅳ. 나가며 = 126
 제6장 한 교사 교육자의 교수경험 = 132
  Ⅰ. 들어가며 = 132
  Ⅱ. 이야기 속으로 걸어 들어가기: 개인적인 교수경험들 = 134
  Ⅲ. 나가며 = 150
제3부 자문화기술지의 적용 Ⅱ: 교수와 학습
 제7장 초등 교과교육연구회 참여경험 = 158
  Ⅰ. 들어가며 = 158
  Ⅱ. 초등 교과교육연구회의 개념과 발전 = 160
  Ⅲ. 교사연구회에서의 미시-정치적 갈등과 딜레마 = 163
  Ⅳ. 나가며 = 175
 제8장 초등학교 운동부 지도경험 = 182
  Ⅰ. 들어가며 = 182
  Ⅱ. 학교운동부 지도를 둘러싼 교육적 이슈와 딜레마 = 184
  Ⅲ. 나가며 = 197
 제9장 초등학교 부진학생 지도경험 = 202
  Ⅰ. 들어가며 = 202
  Ⅱ. 기초학습 부진학생 지도경험과 사회적 문제 현상들 = 204
  Ⅲ. 가르침을 되돌아보기: '정말로 잘 가르친 걸까?' = 214
  Ⅳ. 나가며 = 218
 제10장 초등학교 체육전담교사의 교수경험 = 222
  Ⅰ. 들어가며 = 222
  Ⅱ. 한 체육전담교사의 수업이야기: '기억 속으로 입장하기' = 225
  Ⅲ. 나가며 = 238
제4부 우리나라에서의 자문화기술지 작업들
 제11장 (이희용, 2007) 한 고등학교 국어 교사의 성장 체험: 자기 이야기(self-narrative) = 246
  Ⅰ. 서론 = 246
  Ⅱ. 연구 방법 = 248
  Ⅲ. 내가 겪은 딜레마 = 259
  Ⅳ. 변화와 발달 = 269
  Ⅴ. 결론 = 274
 제12장 (주형일, 2010) 지방대에 대한 타자화 담론의 주관적 수용의 문제: 자기민속지학 방법의 적용 = 278
  Ⅰ. 문제 제기 = 278
  Ⅱ. 연구 방법 = 279
  Ⅲ. 지방대 문제와 관련된 나의 이중적 위치 = 286
  Ⅳ. 민주의 이야기에서 나타나는 양가성 = 293
  Ⅴ. 결론을 대신해서 = 302
 제13장 (김외솔, 2010) 한 초등교사의 자문화기술지를 통한 수업 성찰 = 308
  Ⅰ. 연구 목적 = 309
  Ⅱ. 반성적 성찰 1 = 310
  Ⅲ. 반성적 성찰 2 = 328
 제14장 자문화기술지에 대한 평가와 전망 = 346
  Ⅰ. 저자의 자문화기술지 작품에 대한 부정적 입장 = 347
  Ⅱ. 저자의 자문화기술지 작품에 대한 유보적 입장 = 348
  Ⅲ. 저자의 자문화기술지 작품에 대한 긍정적 입장 = 350
에필로그 = 357
찾아보기 = 359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