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암의 생물학 (296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Weinberg, Robert A. (Robert Allan), 1942- 이한웅, 역 권영근, 역 김인후, 역 박범준, 역 서유석, 역 윤홍덕, 역 이현숙, 역
서명 / 저자사항
암의 생물학 / Robert A. Weinberg ; 이한웅 [외]역
발행사항
서울 :   월드사이언스,   2012  
형태사항
1책(쪽수복잡) : 삽화(일부천연색), 도표 ; 28 cm
원표제
The biology of cancer
ISBN
9788958811664
일반주기
색인수록  
공역자: 권영근, 김인후, 박범준, 서유석, 윤홍덕, 이현숙  
일반주제명
Cancer --Molecular aspects Cancer --Genetic aspects Cancer cells
비통제주제어
암 , 생물학,,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5701699
005 20190426135347
007 ta
008 120131s2012 ulkad 001c kor
020 ▼a 9788958811664 ▼g 93470
035 ▼a (KERIS)BIB000012667484
040 ▼a 211052 ▼c 211052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0 ▼a 616.99/4071 ▼2 23
085 ▼a 616.994071 ▼2 DDCK
090 ▼a 616.994071 ▼b 2012
100 1 ▼a Weinberg, Robert A. ▼q (Robert Allan), ▼d 1942-
245 1 0 ▼a 암의 생물학 / ▼d Robert A. Weinberg ; ▼e 이한웅 [외]역
246 1 9 ▼a The biology of cancer
246 3 9 ▼a Biology of cancer
260 ▼a 서울 : ▼b 월드사이언스, ▼c 2012
300 ▼a 1책(쪽수복잡) : ▼b 삽화(일부천연색), 도표 ; ▼c 28 cm
500 ▼a 색인수록
500 ▼a 공역자: 권영근, 김인후, 박범준, 서유석, 윤홍덕, 이현숙
650 0 ▼a Cancer ▼x Molecular aspects
650 0 ▼a Cancer ▼x Genetic aspects
650 0 ▼a Cancer cells
653 ▼a▼a 생물학
700 1 ▼a 이한웅, ▼e
700 1 ▼a 권영근, ▼e
700 1 ▼a 김인후, ▼e
700 1 ▼a 박범준, ▼e
700 1 ▼a 서유석, ▼e
700 1 ▼a 윤홍덕, ▼e
700 1 ▼a 이현숙, ▼e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616.994071 2012 등록번호 12122104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616.994071 2012 등록번호 121223967 도서상태 파오손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No. 3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616.994071 2012 등록번호 12122396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616.994071 2012 등록번호 121248756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10-04 예약 서비스 M
No. 5 소장처 의학도서관/자료실(3층)/ 청구기호 616.994071 2012 등록번호 13104321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6 소장처 의학도서관/자료실(3층)/ 청구기호 616.994071 2012 등록번호 141081247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10-27 예약 서비스 M
No. 7 소장처 의학도서관/자료실(3층)/ 청구기호 616.994071 2012 등록번호 14108124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8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과학기술실(5층)/ 청구기호 616.994071 2012 등록번호 15133423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616.994071 2012 등록번호 12122104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616.994071 2012 등록번호 121223967 도서상태 파오손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No. 3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616.994071 2012 등록번호 12122396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616.994071 2012 등록번호 121248756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10-04 예약 서비스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의학도서관/자료실(3층)/ 청구기호 616.994071 2012 등록번호 13104321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의학도서관/자료실(3층)/ 청구기호 616.994071 2012 등록번호 141081247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10-27 예약 서비스 M
No. 3 소장처 의학도서관/자료실(3층)/ 청구기호 616.994071 2012 등록번호 14108124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과학기술실(5층)/ 청구기호 616.994071 2012 등록번호 15133423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로버트 와인버그(지은이)

매사추세츠 공과 대학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5년 현재 매사추세츠 공과 대학 부설 화이트헤드 연구소 생물의학 교실 교수로 재직 중이다. 미국 국가 과학 훈장 등 여러 과학상을 받았다.

이한웅(옮긴이)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1장 Cell과 Organism의 생물학과 유전학 = 1
 1.1 Mendel은 유전학의 기본 법칙들을 확립했다 = 2
 1.2 Mendelian genetics는 Darwinian evolution을 뒷받침한다 = 4
 1.3 Mendelian genetics는 gene과 chromosome 모두의 행동을 결정한다 = 7
 1.4 Chromosome은 대부분의 cancer cell에서 변해 있다 = 10
 1.5 Cancer를 유발하는 mutation은 germ line(생식세포)과 Soma(체세포) 두 곳 전부에서 발생한다 = 11
 1.6 DNA 속에 있는 genotype은 protein을 통해 phenotype을 만든다 = 15
 1.7 Gene expression pattern은 phenotype도 조절한다 = 19
 1.8 Transcription factor는 gene expression을 조절한다 = 21
 1.9 Metazoa(후구동물)는 오랜 진화 기간 동안 구성 성분들이 보존되어 형성되었다 = 22
 1.10 Gene cloning 기술은 normal cell과 malignant cell의 연구에 대변혁을 가져왔다 = 23
2장 Cancer의 본질 = 25
 2.1 Tumor는 정상세포로부터 발생한다 = 26
 2.2 Tumor는 다양한 유형의 분화세포로부터 발생한다 = 28
 2.3 몇몇 유형의 tumor는 주요 분류법을 적용하기 적합치 않다 = 34
 2.4 Cancer는 점진적으로 형성된다 = 34
 2.5 Tumor는 monoclonal growth이다 = 39
 2.6 Tumor는 서로 다른 집단에서 매우 다른 빈도로 발생한다 = 43
 2.7 Cancer의 위험은 생활양식을 포함한 특정 인자에 의해 증가할 수 있다 = 45
 2.8 Chemical(화학물질)은 cancer를 유발할 수 있다 = 46
 2.9 물리적 및 화학적 carcinogen(발암물질) 모두 mutagen(돌연변이원)으로 작용한다 = 48
 2.10 Mutagen은 일부의 human cancer를 유발할 수 있다 = 52
 2.11 개요 및 전망 = 54
 Key concept = 55
 Thought question = 56
 Additional reading = 56
3장 Tumor Virus = 57
 3.1 Peyton Rous의 chicken sarcoma(육종) virus 발견 = 58
 3.2 Rous Sarcoma virus는 infected cell을 transformation 시킨다 = 61
 3.3 Transformation이 유지되기 위해서는 RSV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 63
 3.4 DNA 분자를 가지고 있는 virus는 cancer를 일으킬 수 있다 = 65
 3.5 Tumor virus는 tumorigenecity의 획득과 같은 cell phenoytpe change를 일으킨다 = 69
 3.6 Tumor virus genome은 transform 된 host cell DNA의 일부가 되어 존속한다 = 71
 3.7 Retroviral genome은 감염된 세포의 chromosome에 삽입된다 = 73
 3.8 RSV에 있는 src gene의 또 다른 형태는 감염되지 않은 세포 내에도 존재한다 = 75
 3.9 RSV는 가져온 cellular gene을 이용하여 cell을 transform 시킨다 = 77
 3.10 척추동물의 genome은 많은 종류의 proto-oncogene을 가지고 있다 = 80
 3.11 느리게 transformation 하는 retrovirus들은 그들의 genome을 cellular gene 옆에 끼워 넣음으로써 proto-oncogene을 활성화한다 = 82
 3.12 어떤 retrovirus들은 태생적으로 oncogene을 가지고 있다 = 84
 3.13 개요 및 전망 = 86
 Key concept = 88
 Thought question = 90
 Additional reading = 90
4장 Cellular Oncogene = 91
 4.1 Endogenous retrovirus의 활성화에 의해 종양은 촉진될 수 있는가? = 92
 4.2 DNA transfection은 nonviral oncogene을 찾는 전략을 제공한다 = 93
 4.3 인간 tumor 세포주에서 발견된 oncogene은 transforming retrovirus에 의해 운반되는 것과 어떠한 연관성이 있을까? = 98
 4.4 Proto-oncogene은 단백질의 발현이나 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적 변화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다 = 103
 4.5 Myc 주제에 대한 변주곡 : Myc oncogene은 적어도 3 개의 부가적인 독특한 메커니즘을 통해 생길 수 있다 = 107
 4.6 protein의 다양한 구조적 변화는 oncogene 활성화로 이어질 수 있다 = 111
 4.7 개요 및 전망 = 112
 Key concept = 115
 Thought question = 117
 Additional reading = 117
5장 Growth Factor와 Receptor, 그리고 Cancer = 119
 5.1 정상적인 metazoan cell(후생동물세포)들은 서로의 생명현상을 조절한다 = 121
 5.2 Tyrosine kinase로서의 Src 단백질의 기능 = 123
 5.3 EGF receptor는 tyrosine kinase로 작용한다 = 126
 5.4 변형된 growth factor receptor는 oncoprotein(종양단백질)으로 기능 할 수 있다 = 129
 5.5 Growth factor 유전자는 oncogene이 될 수 있다 : sis의 사례 = 132
 5.6 Transphosphorylation(인산전이작용)은 receptor tyrosine kinase 작용의 기초가 된다 = 135
 5.7 포유류 세포는 여러 가지 형태의 receptor를 통해 주변 환경과 소통할 수 있다 = 141
 5.8 Integrin receptor는 세포와 extracellular matrix의 결합을 인지한다 = 147
 5.9 Downstream signaling cascade의 요소인 Ras protein은 G protein으로서 작용한다 = 150
 5.10 개요 및 전망 = 153
 Key concept = 157
 Thought question = 158
 Additional reading = 158
6장 세포질의 신호전달 회로는 Cancer의  다양한 특징을 프로그램한다 = 159
 6.1 세포 표면에서 핵으로 전달되는 신호 경로 = 161
 6.2 Ras protein은 복잡한 signaling cascade의 중심에 있다 = 164
 6.3 Tyrosine phosphorylation은 위치 제어를 통하여 많은 cytoplasmic signaling protein들의 활동을 제어한다 = 166
 6.4 Growth factor receptor가 Ras를 활성화하고, signaling specificity를 획득하는 데에는 SH2 group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 171
 6.5 Ras로 부터 시작되는 3개의 주요 downstream signaling pathway에 kinase cascade가 포함된다 = 173
 6.6 Ras의 두 번째 downstream pathway는 inositol lipid와 Akt/PKB kinase를 조절한다 = 176
 6.7 세 번째 Ras 조절 경로는 Ras의 먼 친척인, Ral을 통하여 작용한다 = 183
 6.8 Jak-STAT pathway는 plasma membrane에서 핵으로 신호를 전달한다 = 185
 6.9 Cell adhesion receptor에서 방출된 signal은 growth factor receptor로부터의 signal과 합쳐진다 = 186
 6.10 Wnt?β-catenin pathway가 cell proliferation에 기여한다 = 189
 6.11 G-protein-coupled receptor는 정상적인 proliferation과 neplastic proliferation 모두를 유도할 수 있다 = 191
 6.12 네 개의 signaling pathway가 정상과 종양 proliferation에 여러 방법으로 기여한다 = 193
 6.13 개요 및 전망 = 197
 Key concept = 204
 Thought question = 207
 Additional reading = 207
7장 Tumor Suppressor Gene = 209
 7.1 Cell fusion experiment(세포융합 실험)는 암의 형질이recessive(열성)임을 보여준다 = 210
 7.2 Cancer cell phenotype의 열성적 특징을 알기 위하여 유전학적 이해가 필요하다 = 213
 7.3 Retinoblastoma tumor에서 얻어진 tumor suppressor gene의 유전적 난제에 대한 해법 = 214
 7.4 초기 tumor cell에서 정상 tumor suppressor gene이 제거되는 방법 = 216
 7.5 Tumor에서 Rb gene의 LOH는 흔히 일어나는 현상이다 = 219
 7.6 Loss of Heterozygosity를 통해 tumor suppressor gene을 찾을 수 있다 = 221
 7.7 가족력이 있는 암은 mutant tumor suppressor gene의 유전에 의해 나타난다 = 224
 7.8 Promoter의 methylation도 tumor suppressor gene을 불활성화시키는 중요한 기전이다 = 226
 7.9 Tumor suppressor gene과 protein의 다양한 작용 경로 = 232
 7.10 NF1 protein, Ras signaling의 negative regulator = 233
 7.11 Apc는 대장의 crypt에서 cell의 이동을 촉진한다 = 235
 7.12 Von Hippel-Lindau disease: pVHL는 hypoxic response(저산소 반응)를 조절한다 = 241
 7.13 개요 및 전망 = 247
 Key concept = 252
 Thought question = 253
 Additional reading = 253
8장 pRb와 Cell Cycle Clock의 조절 = 255
 8.1 Extracellular signal에 의한 cell cycle 조절 = 256
 8.2 G1의 특정한 phase에 결정되는 cell growth와 quiescence = 261
 8.3 Cell cycle 결정에서 핵심적 역할을 하는 cyclin과 cyclin-dependent kinase = 262
 8.4 Cyclin?CDK complex와 이들의 억제제 = 268
 8.5 Virus oncogene을 통한 Rb의 cell cycle 조절 기전 = 273
 8.6 pRb와 restriction-point gate = 277
 8.7 Transcription factor E2F는 pRb로 하여금 growth-versus-quiescence의 결정을 조절하게 한다 = 278
 8.8 Mitogen과 pRb의 phosphorylation = 282
 8.9 Myc에 의한 Rb phosphorylation의 조절과 cell cycle progression 조절의 이상 = 284
 8.10 TGF-β는 cell cycle을 억제하고 pRb의 phosphorylation을 막는다 = 288
 8.11 pRb의 기능과 differentiation의 조절은 매우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 292
 8.12 대부분의 cancer에서 pRb 기능이 정상적으로 조절되지 못한다 = 296
 8.13 개요 및 전망 = 300
 Key concept = 304
 Thought question = 305
 Additional reading = 305
9장 p53과 Apoptosis: Master Guardian 및 Executioner = 307
 9.1 Papovavirus에 의한 p53 발견 = 308
 9.2 Tumor suppressor gene으로서 p53의 발견 = 310
 9.3 Mutant p53에 의한 wild type p53의 기능 억제 = 311
 9.4 짧은 lifetime을 가지는 p53 = 314
 9.5 p53 증가를 일으키는 signal(신호들) = 315
 9.6 DNA damage와 growth signal의 조절 이상으로 인한 p53의 안정화 = 317
 9.7 p53의 운명을 결정하는 Mdm2와 ARF = 318
 9.8 ARF와 p53에 의한 apoptosis는 intracellular signaling을 감시하여 cancer의 발생을 억제한다 = 323
 9.9 DNA 손상에 반응하여 p53은 transcription factor로 기능하여 cell cycle 진행을 막고 repair과정을 돕는다 = 325
 9.10 p53에 의한 apoptotic death program = 329
 9.11 p53의 inactivation은 tumor progression의 많은 단계에서 incipient(초기의) cancer cell에 이점을 제공한다 = 331
 9.12 Inherited p53 mutation과 cancer의 발생 = 332
 9.13 Apoptosis는 매우 복잡한 기전이며 종종 mitochondria에 의존한다 = 334
 9.14 Apoptosis를 유발하는 두 가지 방법 = 342
 9.15 Cancer cell들은 apoptosis machinery의 일부 혹은 전체를 inactivation 시키기 위하여 수많은 방법을 창조해낸다 = 346
 9.16 개요 및 전망 = 350
 Key concept = 354
 Thought question = 355
 Additional reading = 355
10장 영원한 생명: Cell Immortalization과 Tumorigenesis = 357
 10.1 Normal cell의 growth division은 정해진 횟수만큼 이루어진다 = 358
 10.2 Cancer cell의 immortalization = 361
 10.3 Cell의 physiological stress에 의한 replication 억제 = 365
 10.4 Cultured cell의 proliferation은 자신의 chromosome 내에 존재하는 telomere에 의해 제한된다 = 368
 10.5 Telomere는 쉽게 replication 되지 않는 복잡한 분자 구조이다 = 373
 10.6 Cancer cell은 telomerase 발현을 통하여 crisis를 회피한다 = 376
 10.7 human cancer cell의 증식에 있어서 중요한 telomerase의 역할  = 381
 10.8 일부 immortalized cell은 telomerase 없이도 telomere를 유지한다 = 383
 10.9 Telomere는 human cell과 mouse cell에서 서로 다른 기능을 한다 = 386
 10.10 Telomerase negative mouse에서 tumor에 대한 susceptibility(감수성) = 388
 10.11 Telomerase negative mouse에 나타나는 현상과 실제 human cancer에서 나타나는 cancer 발생 기전 = 392
 10.12 개요 및 전망 = 393
 Key concept = 397
 Thought question = 398
 Additional reading = 398
11장 Multi-Step Tumorigenesis = 399
 11.1 대부분의 human cancer는 수십 년에 걸쳐서 발달한다 = 400
 11.2 Histopathology(조직병리학)는 multi-step tumor formation의 증거를 제시한다 = 403
 11.3 Colonic growth에 따른 유전적 변화와 tumor progression = 408
 11.4 Multi-step tumor progression과 familial polyposis 및 field cancerization = 412
 11.5 Tumor의 발생은 Darwin의 법칙을 따르는 것처럼 보인다 = 413
 11.6 Tumor stem cell(종양줄기세포)과 tumor progression 그리고 Darwin의 모델 = 416
 11.7 Clonal succession의 liner path는 암을 지나치게 단순화시킨다 = 420
 11.8 Darwin model에 대한 실험적 증명의 난점 = 423
 11.9 Single mutated gene(단일 유전적 변이)은 normal cell을 transformation 시키지 못한다 = 424
 11.10 Transformation은 적어도 2-3 개의 유전적 변이가 필요하다 = 427
 11.11 Transgenic mouse를 이용한 oncogene의 상호작용 및 multi-step cell transformation 연구 = 429
 11.12 Human cell은 immortalization과 transformation에 강한 저항성이 있다 = 431
 11.13 Nonmutagenic carcinogen(세포 성장 촉진 물질 등)에 의한 tumorigenesis = 435
 11.14 Tumor promoter로서의 독성 물질과 성장 촉진 물질(toxic and mitogenic agent) = 438
 11.15 Human과 실험용 mouse에서 tumor promoter로서의 chronic inflammation(만성 염증) = 441
 11.16 Inflammation 관련 tumor promotion의 signaling pathway = 444
 11.17 Tumor promoter은 tumor progression의 속도를 조절하는 중요한 결정 인자이다 = 452
 11.18 개요 및 전망 = 453
 Key concept = 460
 Thought question = 461
 Additional reading = 461
12장 Genomic Integrity의 유지와 Cancer의 발생 = 463
 12.1 Tissue는 mutation의 축적이 잘 일어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 464
 12.2 Stem cell은 cancer를 유도하는 mutagenesis의 target으로 보인다 = 466
 12.3 Apoptosis와 drug pump, 그리고 DNA replication의 mechanism은 mutant stem cell이 tissue에 축적되는 것을 억제한다 = 470
 12.4 세포의 genome은 DNA replication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로부터 위협을 받는다 = 475
 12.5 세포의 genome은 endogenous biochemical process로부터 끊임없이 공격을 받는다 = 479
 12.6 세포의 genome은 때때로 exogenous mutagen과 그들의 metabolite로부터 공격을 받는다 = 484
 12.7 세포는 mutagen의 공격으로부터 DNA를 보호하기 위해 다양한 방어 기작을 사용한다 = 490
 12.8 Repair enzyme은 mutagen에 의해 변형된 DNA를 고친다 = 493
 12.9 Nucleotide excision repair와 base excision repair 그리고 mismatch repair의 기전에 발생한 inherited defect는 specific cancer susceptibility syndrome을 유발한다 = 499
 12.10 다양한 종류의 DNA repair 기작에 생긴 defect는 아직 밝혀지지 않은 기작을 통해 cancer susceptibility를 증가시킨다 = 505
 12.11 Cancer cell의 karyotype은 chromosome 구조의 변형에 의해 자주 바뀐다 = 510
 12.12 Cancer cell의 karyotype은 chromosome 수의 변형에 의해 자주 바뀐다 = 511
 12.13 개요 및 전망 = 517
 Key concept = 524
 Thought question = 525
 Additional reading = 525
13장 Dialogue (대화)는 Monologue (독백)를 대체한다 : Heterotypic Interaction과 Angiogenesis의 생물학 = 527
 13.1 정상 상피 조직과 종양 상피 조직은 서로 의존하는 세포 유형으로부터 형성된다 = 528
 13.2 Cancer cell line을 형성하는 세포는 heterotypic interaction 없이 발달하고 human tumor 내에 있는 세포의 행동에서 벗어난다 = 536
 13.3 Tumor는 치료되지 않은 상처조직과 공통점이 있다 = 537
 13.4 Stromal cell은 tumorigenesis의 active contributor이다 = 548
 13.5 Macrophage는 활성화된 tumor-associated stroma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551
 13.6 Endothelial cell과 이들이 만드는 vessel은 tumor로 하여금 circulation에 쉽게 들어갈 수 있게 한다 = 556
 13.7 Angiogenic switch의 민첩성은 종양 증식에 필수적이다 = 562
 13.8 Angiogenic switch는 높은 복합체 과정을 시작하게 한다 = 567
 13.9 혈관신생은 생리적 저해물에 의해 억제된다 = 571
 13.10 어떤 anti-angiogenesis therapy들은 cancer의 치료에 대한 전망을 밝게 해준다 = 574
 13.11 개요와 전망 = 581
 Key concept = 585
 Thought question = 585
 Additional reading = 586
14장 Cancer Cell의 이동 : Invasion(침투)과 Metastasis(전이) = 587
 14.1 Cancer cell이 primary tumor로부터 metastasis가 가능한 장소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생물학적 과정을 거쳐야 한다 = 589
 14.2 Colonization(군집을 이루는 것)은 invasion-metastasis cascade에서 가장 복잡하고 어려운 단계이다 = 594
 14.3 Epithelial-mesenchymal transition과 이와 관련된 E-cadherin의 발현이 소실되면 carcinoma cell은 invasive하게 된다 = 597
 14.4 Epithelial-mesenchymal transition은 stromal signal에 의해 유도되기도 한다 = 605
 14.5 EMT는 embryogenesis의 주요 단계를 조절하는 transcription factor들에 의하여 program 된다 = 615
 14.6 Extracellular protease들이 invasiveness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621
 14.7 Small Ras-like GTPase는 adhesion과 세포의 모양, 그리고 세포의 motility(운동성)를 조절한다 = 624
 14.8 전이하는 세포는 lymphatic vessel을 이용하여 primary tumor로부터 퍼져 나간다 = 631
 14.9 퍼져 나간 cancer cell이 어떤 기관에서 전이를 형성할지를 결정하는 데에는 많은 요소가 관여한다 = 634
 14.10 뼈로 전이되려면 osteoblast(조골세포(造骨細胞))와 osteoclast(파골(破骨)세포)의 subversion이 필요하다 = 638
 14.11 Metastasis suppressor gene(전이억제 유전자)들은 metastatic phenotype(전이 표현형)을 조절한다 = 642
 14.12 Occult (육안으로 보이지 않는) micrometastasis가 암 환자의 장기 생존을 위협한다 = 645
 14.13 개요 및 전망 = 646
 Key concept = 652
 Thought question = 653
 Additional reading = 653
15장 Crowd Control: Tumor Immunology와 Immunotherapy(면역치료) = 655
 15.1 인체의 immune system은 복잡한 과정을 통해 외부 침입자와 비정상 cell을 제거한다 = 656
 15.2 Adaptive immune response는 antibody를 생성한다 = 659
 15.3 Adaptive immune response는 cytotoxic cell을 형성시킨다 = 663
 15.4 Innate immune response는 prior sensitization을 필요로 하지 않다 = 666
 15.5 Immune tolerance (면역관용)를 통한 self와 non-self 구분의 필요성 = 668
 15.6 Regulatory T cell은 adaptive immune response의 유도를 저해할 수 있다 = 669
 15.7 Immunosurveillance 이론이 탄생했으나, 곧 좌절의 고통을 당한다 = 669
 15.8 유전자 변형 mouse가 immunosurveillance theory의 부활을 이끌었다 = 673
 15.9 사람의 immune system은 여러 cancer를 없애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 675
 15.10 정상조직과 neoplastic tissue간의 작은 차이로 인해 immune system이 그들을 구분할 수 있다 = 681
 15.11 Tumor의 immune recognition은 tumor progression에서 비교적 늦게 일어난다 = 683
 15.12 Tumor-specific transplantation antigen은 종종 강력한 면역 반응을 유도한다 = 685
 15.13 Tumor-associated transplantation antigen도 anti-tumor immune response를 유도한다 = 687
 15.14 Cancer cell은 tumor antigen이 cell 표면에 display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immune detection을 피할 수 있다 = 689
 15.15 Cancer cell은 NK cell에 의한 공격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한다 = 695
 15.16 Cancer cell은 immunocyte에게 반격을 가한다 = 697
 15.17 Cancer cell들은 immune system이 유도하는 다양한 killing 방식에 대하여 본질적으로 저항력을 가진다 = 701
 15.18 Cancer cell은 lymphocyte의 공격을 피하기 위해 regulatory T cell을 불러 모은다 = 703
 15.19 Herceptin의 passive immunization은 breast cancer cell을 죽이는데 쓰일 수 있다 = 704
 15.20 Antibody의 passive immunization은 B-cell tumor의 치료에 쓰일 수 있다 = 708
 15.21 Passive immunization은 한 개체로부터 다른 개체에게 immunocyte를 전달함으로써 이루어진다 = 713
 15.22 Cancer를 공격하기 위하여 환자의 immune system은 mobilize(이동) 할 수 있다 = 714
 15.23 개요 및 전망 = 720
 Key Concept = 722
 Thought question = 724
 Additional reading = 724
16장 Cancer의 합리적인 치료법 = 725
 16.1 효과적인 치료제의 개발 및 임상 활용은 질병의 정확한 진단에 달려있다 = 727
 16.2 성공적인 항암제들은 cancer cell로부터 몇 가지 반응들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 732
 16.3 cancer cell에서 손상된 일부 단백질에 대한 기능적 고려는 항암제 개발에서 효과적인 targeting 방법이다 = 734
 16.4 단백질의 생화학적인 특성은 효과적인 타겟들을 결정하는 중요 요소이다 = 737
 16.5 제약화학자들은 폭넓은 범위의 잠재적 약물들에 대한 생화학적 특성을 창출하고 검토할 수 있다 = 744
 16.6 신약 후보물질들은 개체 수준 유용성 측정의 첫 단계로서 세포 상에서 검증되어야 한다 = 747
 16.7 실험동물에서의 약물 작용 연구는 전임상의 필수 과정이다 = 748
 16.8 장래성 있는 후보약물은 임상 I상에서 인간을 대상으로한 엄격하고 광범위한 임상실험을 받아야 한다 = 751
 16.9 임상 II상과 III상 시험은 임상적 효험을 보이는 확실한 적응증들을 제공한다 = 752
 16.10 종양은 처음에 효과적이던 치료에 내성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 755
 16.11 Gleevec의 개발은 여타 다수의 표적지향적 약물들의 개발을 용이하게 했다 = 757
 16.12 EGF receptor(수용체)의 antagonist(길항제)들은 다양한 암종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 765
 16.13 Proteasome 저해제는 예상치 못한 치료 효과를 가져왔다 = 769
 16.14 Sheep teratogen은 효능이 뛰어난 항암제로 이용될 수 있다 = 776
 16.15 세포 생리의 master regulator인 mTOR는 항암치료를 위한 매력적인 타겟이다 = 782
 16.16 개요 및 전망 : 앞날의 도전과 기회 = 787
 Key concept = 794
 Thought question = 795
 Additional reading = 795
Abbreviations = A : 1
Glossary = G : 1
Index = I : 1

관련분야 신착자료

Willey, Joanne M (2023)
대한폐고혈압학회 (2023)
혈관영상생리연구회 (2023)
정진호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