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1844camcc2200565 c 4500 | |
001 | 000045701543 | |
005 | 20120417172227 | |
007 | ta | |
008 | 120416s2012 ulk b 000c kor | |
020 | ▼a 9788966800162 ▼g 93370 | |
035 | ▼a (KERIS)BIB000012742598 | |
040 | ▼a 211064 ▼c 211064 ▼d 211064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0 | ▼a 700.71 ▼2 22 |
085 | ▼a 700.71 ▼2 DDCK | |
090 | ▼a 700.71 ▼b 2012 | |
245 | 0 0 | ▼a 문화예술교육의 도약을 위한 평가 : ▼b 쟁점과 원리 / ▼d 필립 테일러 엮음 ; ▼e 백령 [외] 옮김 |
246 | 1 9 | ▼a Assessment in arts education |
260 | ▼a 서울 : ▼b 커뮤니케이션북스, ▼c 2012 | |
300 | ▼a xviii, 253 p. ; ▼c 23 cm | |
440 | 0 0 | ▼a 커뮤니케이션북스 ; ▼v 1534 |
500 | ▼a 기획: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
500 | ▼a 감수: 김형주 | |
500 | ▼a 저자: 리처드 콜웰, 데이비드 J. 엘리엇, 크리스티나 홍, 르네 크레델, 로버트 J. 랜디, 슈테파니 스프링게이, 에드워드 C. 워버턴 | |
500 | ▼a 역자: 홍영주, 성진희, 김병주 | |
504 | ▼a 참고문헌 수록 | |
650 | 0 | ▼a Arts ▼x Study and teaching |
650 | 0 | ▼a Educational evaluation |
700 | 1 | ▼a Taylor, Philip, ▼d 1959-, ▼e 편 ▼0 AUTH(211009)135175 |
700 | 1 | ▼a Colwell, Richard, ▼e 저 |
700 | 1 | ▼a Elliot, David J., ▼e 저 |
700 | 1 | ▼a Hong, Christina, ▼e 저 |
700 | 1 | ▼a Kredell, Renee, ▼e 저 |
700 | 1 | ▼a Landy, Robert J., ▼e 저 |
700 | 1 | ▼a Springgay, Stepbhanie, ▼e 저 |
700 | 1 | ▼a Warburton, Edward C., ▼e 저 |
700 | 1 | ▼a 백령, ▼e 역 ▼0 AUTH(211009)8553 |
700 | 1 | ▼a 홍영주, ▼e 역 ▼0 AUTH(211009)131649 |
700 | 1 | ▼a 성진희, ▼e 역 ▼0 AUTH(211009)128053 |
700 | 1 | ▼a 김병주, ▼e 역 ▼0 AUTH(211009)23672 |
900 | 1 0 | ▼a 테일러, 필립, ▼e 편 |
900 | 1 0 | ▼a 콜웰, 리처드, ▼e 저 |
900 | 1 0 | ▼a 엘리엇, 데이비드 J., ▼e 저 |
900 | 1 0 | ▼a 홍, 크리스티나, ▼e 저 |
900 | 1 0 | ▼a 크레데, 르네, ▼e 저 |
900 | 1 0 | ▼a 랜디, 로버트 J., ▼e 저 |
900 | 1 0 | ▼a 스프링게이, 슈테파니, ▼e 저 |
900 | 1 0 | ▼a 워버턴, 에드워드 C., ▼e 저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700.71 2012 | 등록번호 11166338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교사들이 직면한 쟁점은 이렇다. 평가란 무엇인가? 측정 가능한 목표는 가능한가? 평가 모델은 교육과정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기준은 어떻게 마련되고 도입되는가? 무용, 음악, 연극, 시각예술 분야의 전문가들이 문화예술교육의 기본 원칙과 쟁점을 제시한다. 구체적 사례와 대안적 평가 방식을 소개하면서 새로운 시대에 예술이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를 진지하게 성찰한다.
문화예술, 어떻게 평가하고 가르칠까?
문화와 예술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게 가능할까? 문화예술교육 평가에는 어떤 개념, 내용, 방법이 담겨야 할까? 문화예술인을 양성하는 데 어떤 평가 방식이 적절할까? 문화예술의 감상과 창작은 주관적인 것이라서 객관적 평가를 들이대기가 쉽지 않다. 이 책은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평가 대신 다면적, 입체적, 과정적 사정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무용, 음악, 연극, 시각예술 분야의 교육 전문가들이 관련 쟁점을 정리하고 해결 방안을 모색했다. 대안적인 평가 방식을 고민하는 문화예술 과목 교사들이 한 번쯤 음미해 볼 만한 책이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필립 테일러(엮은이)
뉴욕대학교 교육연극학과 교수이자 프로그램 디렉터다. 연극과 예술교육, 질적 연구, 그리고 성찰적 실천의 문제에 관해 광범위하게 저술해 왔다. 주요 저서로 『시민연극: 연극을 통한 공동체, 참여 그리고 변화』(2003), 『영국군과 애국자: 드라마와 사회과 수업 연계에서의 성찰적 실행』(1998) 등이 있다.
백령(옮긴이)
경희대학교 부설 문화예술경영연구소 연구원이며 동대학 경영대학원 겸임교수다. 뉴욕 파슨스 스쿨 오브 디자인을 졸업하고, 뉴욕대학교 교육대학원에서 미술교육학으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국립현대미술관 운영자문위원, 한국문화교육학회 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관심분야는 문화예술교육, 박물관 미술관 운영과 교육, 예술 경영이다. 저서로 ≪한국박물관교육학≫(공저, 2010), ≪멀티미디어 시대의 박물관 교육≫(2006), ≪문화예술경영 이론과 실제≫(공저, 2005) 등이 있다. 번역서로 ≪문화예술교육의 도약을 위한 평가: 쟁점과 원리≫(공역, 2012), ≪예술이 교육에 미치는 놀라운 효과≫(2007) 가 있다.
김병주(옮긴이)
뉴욕대학교에서 교육연극학으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뉴욕의 대표적 교육연극 전문기관인 CAT(Creative Arts Team)에서 드라마 티칭아티스트(Actor-Teacher)로 활동하며 유아, 노인, 교사, 행정가, 예술가 등 다양한 대상들과 작업했다. 2005년 귀국해 교육연극연구소 PRAXIS를 설립하여 다양한 드라마 연수 및 전문 워크숍을 이끌었고, 장애인식, 학교폭력, 노인 문제, 세대 문제 등을 다룬 TIE 작업들을 만들어왔다. 특히, 아우구스또 보알 워크숍을 가르치며 육아문제, 청소년 경쟁, 학교 폭력, 교사 문화 갈등, 세대 갈등, 노인 및 노숙인과의 시민연극 등 수많은 포럼연극 작업들을 병행하며 티칭아티스트로서의 정체성을 놓지 않으려 한다. 국내외 다양한 학술지 등에 여러 논문을 발표했으며, 역서로는 『시민연극』(2009), 『문화예술교육의 도약을 위한 평가』(2012) 등이 있다. 현재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교육연극과 부교수로 재직하며 새로운 후배와 동지 들을 만나고 있다. PRAXIS 예술/교육감독으로 불리고 티칭아티스트로서 작업하는 것이 가장 행복하며, 이론과 실천, 행위와 성찰의 균형을 찾아가는 ‘프락시스’를 삶의 철학으로 생각하며 산다.
홍영주(옮긴이)
단국대학교 경영대학원에서 예술경영을 처음 접하고, 뉴욕대학교에서 석사과정을 마쳤다. 성균관대학교에서 공연예술경영 및 마케팅 박사과정을 하면서 문화예술정책 연구 프로젝트와 학교 강의를 중심으로 청소년문화 간 교류 프로그램,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예술경영교육 프로그램, 전시, 연극 등을 기획했다. 현재는 (주)디자인소조아시아(www.designswvzw.com) 기획이사와 극단 플레이위드(The PLAYWITH) 프로듀서로 활동하고 있다. 논문은 “공연예술관객연구의 틀”(2005)이 있고, 공동 저서로 『컬덕 시대의 문화마케팅』(2005)이 있다.
성진희(옮긴이)
이화여자대학교 음악대학 피아노과를 졸업했다. 미국 오하이오주립대학교 대학원에서 피아노 교수법으로 석사학위를,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음악교육학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아마데우스클래스 음악교육연구소 소장이며, 서울교육대학교 뮤직센터의 자문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주요 저서로 『Musical Child』(음악·영어 시리즈 1∼10권)가 있으며, 이외 수십 편의 음악교육 교재와 연구 논문을 집필했다.

목차
목차 역자 서문 = ⅴ 추천 서문 = ⅸ 머리말과 감사의 글 = xii 서론 : 예술교육에서 평가 = 1 타협과 기준점 = 3 기본 원칙: 예술 분야의 근거기반학습은 어떤 것이어야 하나? = 11 무용교육 = 15 음악교육 = 17 연극교육 = 18 시각예술교육 = 19 1부 무용교육 01 무용 사정평가 방식의 진화: 혁신적인 무용 사정평가를 모색하며 = 25 들어가는 글 = 25 무용에의 동시대적 접근 = 27 다차원적 사정평가를 향하여 = 30 무용 표준과 사정평가 = 34 무엇을 이루었는가? = 34 무엇을 간과했는가? = 36 무용 사정평가의 현안들 = 41 보이는 몸, 숨겨진 사정평가 = 41 새로운 방향들 = 45 무용 사정평가에 대한 재고 = 49 02 더 나은 학습을 위한 무용과 사정평가의 해체 = 58 들어가는 글 = 58 혁신적인 사정평가: 학습을 지원하는 평가 = 59 여기서 어느 길로 갈 것인가? = 61 혁신적인 무용교육: 무용 해독력 = 63 혁신적인 사정평가의 실제 = 66 국가의 표준: 평가의 질 향상시키기 = 68 혁신적인 무용교육, 그리고 학습을 위한 사정평가: 블랙박스를 넘어서 = 70 2부 음악교육 03 음악교육과 평가: 현안과 제안 = 75 거시적인 관점 = 77 기준 = 82 음악교육과 기준 = 84 음악교육 평가의 기초 = 88 음악적 이해력 = 91 제언 = 93 결론 = 97 04 음악 부문 평가에 대한 평가 = 100 정의 = 101 역사적 관점 = 104 프로그램 평가 = 105 평가에 관한 촌평 = 107 음악의 고부담 평가 = 108 기준 = 109 음악교육협회의 해명 = 114 다른 기준들 = 115 학습 기회 기준 = 115 평가에 대한 음악교육계의 이해 = 118 교사와 교사 교육 기준 = 121 교사에 대한 현행 평가 = 127 교사 채용 = 128 요약 = 128 3부 연극교육 05 드라마를 통한 평가 = 139 추정, 사정, 평가 = 139 드라마를 통한 평가의 이유 = 143 드라마를 통한 평가의 시점 = 145 평가의 대상, 그리고 평가의 주체 = 146 드라마를 통한 평가의 내용 = 148 역사적 개관 = 150 연극치료를 통한 사정평가 = 156 연극치료의 사정평가 방법을 교육연극에 적용하기 = 163 미래의 방향 = 167 06 연극 수업에 미적 가치를 되살리기 = 177 압박점 - 평가지향주의 = 184 다섯 가지 평가 원칙 = 189 기술관료주의 - 교육과정의 세밀한 검증 = 192 형식적 학습 계획: 획일화 규격화된 수업 교안 = 202 질문, 대화, 상상: 비판적 미학의 개발 = 208 4부 시각예술교육 07 접촉을 통한 시각예술 평가의 구체화: 관계적 예술교육과정을 상상하며 = 218 캐나다와 미국의 예술 평가에서 현안과 우려들 = 220 보편화와 몸과 마음의 분열 = 220 교육과정과 교수법의 단편화 = 225 형식주의와 분리된 예술 오브제 = 228 관계적 예술교육과정을 상상하며 = 231 08 예술 평가에서 NCLB법과의 균형과 전형을 찾아서 = 242 공교육에서 우선시되는 지식은? = 244 누가 누구에게 책임이 있는가? = 247 어떤 지식을 측정해야 하는가? = 249 결론 = 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