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701179 | |
005 | 20160802144414 | |
007 | ta | |
008 | 120413s2012 ulka b 000c kor | |
020 | ▼a 9788966800216 ▼g 93300 | |
035 | ▼a (KERIS)BIB000012738487 | |
040 | ▼a KYOBO ▼c KYOBO ▼d 211046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0 | ▼a 302.201 ▼2 23 |
085 | ▼a 302.201 ▼2 DDCK | |
090 | ▼a 302.201 ▼b 2012 | |
100 | 1 | ▼a Griffin, Emory A. |
245 | 2 0 | ▼a (첫 눈에 반한) 커뮤니케이션 이론 / ▼d 엠 그리핀 지음 ; ▼e 김동윤, ▼e 오소현 옮김 |
246 | 1 9 | ▼a A first look at communication theory ▼g (5th ed.) |
246 | 3 9 | ▼a First look at communication theory |
250 | ▼a 번역 개정판 | |
260 | ▼a 서울 : ▼b 커뮤니케이션북스, ▼c 2012 ▼g (2013 3쇄) | |
300 | ▼a xix, 879 p. : ▼b 삽화 ; ▼c 23 cm | |
500 | ▼a 부록: 주요 개념 소개, 이론의 요약, 커뮤니케이션 이론에 대한 학술 저널 외 | |
504 | ▼a 참고문헌: p. 875-879 | |
650 | 0 | ▼a Communication ▼x Philosophy |
700 | 1 | ▼a 김동윤, ▼e 역 ▼0 AUTH(211009)133476 |
700 | 1 | ▼a 오소현, ▼e 역 ▼0 AUTH(211009)84156 |
900 | 1 0 | ▼a 그리핀, 엠, ▼e 저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02.201 2012 | Accession No. 111663311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04-03 |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02.201 2012 | Accession No. 111714898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04-06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02.201 2012 | Accession No. 111760005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04-20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4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302.201 2012 | Accession No. 121219087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04-06 |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 Service |
No. 5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02.201 2012 | Accession No. 15134649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02.201 2012 | Accession No. 111663311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04-03 |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02.201 2012 | Accession No. 111714898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04-06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02.201 2012 | Accession No. 111760005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04-20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302.201 2012 | Accession No. 121219087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04-06 |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02.201 2012 | Accession No. 15134649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출간 2년 반 만에 다시 낸 번역 수정판. 어렵기만 했던 커뮤니케이션 이론도 영화, 만화, 책, 신문, 뉴스 등 흥미로운 사례와 함께 공부하면 절로 매력을 느끼게 된다. 이 책은 배경지식이 거의 없는 입문자를 위한 책이다. 대인, 집단·공공, 매스 커뮤니케이션, 문화연구 등 33개의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정리했다. 주요 이론의 탄생 배경과 특징을 다양한 사례와 시각 자료로 소개해 광범위한 커뮤니케이션 현상을 폭넓게 이해할 수 있다.
이 책에서 다룬 커뮤니케이션 이론
◇ 상징적 수렴 이론 _ 어니스트 보어만(Ernest Bormann)
◇ 상징적 상호작용주의 _ 조지 허버트 미드(George Herbert Mead)
◇ 의미의 조정 관리 _ 바넷 피어스(W. Barnett Pearce)·버넌 크로넨(Vernon Cronen)
◇ 기대 위반 이론 _ 주디 버군(Judee Burgoon)
◇ 대인 간 기만 이론 _ 데이비드 벌러(David Buller)·주디 버군(Judee Burgoon)
◇ 구성주의 _ 제시 딜리아(Jesse Delia)
◇ 사회적 침투 이론 _ 어윈 올트먼(Irwin Altman)·달마스 테일러(Dalmas Taylor)
◇ 불확실성 감소 이론 _ 찰스 버거(Charles Berger)
◇ 관계적 변증법 _ 레슬리 박스터(Leslie Baxter)·바버라 몽고메리(Barbara Montgomery)
◇ 상호작용적 관점 _ 폴 바츨라빅(Paul Watzlawick)
◇ 사회적 판단 이론 _ 무자퍼 셰리프(Muzafer Sherif)
◇ 정교화 가능성 모델 _ 리처드 페티(Richard Petty)·존 카치오포(John Cacioppo)
◇ 인지부조화 이론 _ 레온 페스팅거(Leon Festinger)
◇ 집단 의사 결정에 관한 기능적 접근 방식 _ 랜디 히로가와(Randy Hirokawa)·데니스 고우란(Dennis Gouran)
◇ 적응적 구조화 이론 _ 마셜 스콧 풀(Marshall Scott Poole)
◇ 조직에 대한 정보 체계 접근 방식 _ 칼 웨익(Karl Weick)
◇ 조직에 대한 문화적 접근 _ 클리퍼드 기어츠(Clifford Geertz)·마이클 파카노브스키(Michael Pacanowsky)
◇ 조직 커뮤니케이션의 비판 이론 _ 스탠리 디츠(Stanley Deetz)
◇ 수사학 _ 아리스토텔레스(Aristotle)
◇ 드라마티즘 _ 케니스 버크(Kenneth Burke)
◇ 내러티브 패러다임 _ 월터 피셔(Walter Fisher)
◇ 기술결정주의 _ 마셜 매클루언(Marshall McLuhan)
◇ 기호학 _ 롤랑 바르트(Roland Barthes)
◇ 문화연구 _ 스튜어트 홀(Stuart Hall)
◇ 배양 이론 _ 조지 거브너(George Gerbner)
◇ 의제 설정 이론 _ 맥스웰 매콤스(Maxwell McCombs)·도널드 쇼(Donald Shaw)
◇ 미디어 방정식 _ 바이런 리브스(Byron Reeves)·클리퍼드 나스(Clifford Nass)
◇ 불안·불확실성 관리 이론 _ 윌리엄 구디쿤스트(William Gudykunst)
◇ 체면 협상 이론 _ 스텔라 팅투미(Stella Ting-Toomey)
◇ 스피치 코드 이론 _ 게리 필립센(Gerry Philipsen)
◇ 젠더렉 스타일 _ 데보라 타넨(Deborah Tannen)
◇ 입장 이론 _ 산드라 하딩(Sandra Harding)·줄리아 T. 우드(Julia T. Wood)
◇ 침묵된 집단 이론 _ 체리스 크라마래(Cheris Kramarae)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엠 그리핀(지은이)
일리노이 주에 있는 위튼 대학교의 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로, 지난 32년 동안 학생들을 가르쳐왔다. 미시간 대학교에서 정치학을 전공하고, 노스웨스턴 대학교에서 커뮤니케이션학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대인 간 관계 발전 연구에 특별한 관심을 갖고 있으며, 공동체 리더십에 대한 탁월한 해석과 통찰력을 보여주는 학자로 정평이 나 있다. 실용적 설득 기법을 다룬 The Mind Changers, 효율적인 집단 리더십을 다룬 Getting Together, 그리고 친밀한 관계 형성에서 대인 간 커뮤니케이션의 영향력을 다룬 Making Friends와 같은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저서를 쓰기도 했다. 이외에도 가난한 사람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단체에 가입하여 사회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시카고에 있는 분쟁해결센터(the Center for Conflict Resolution)의 중재위원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김동윤(옮긴이)
대구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다. 경남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에서 언론학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언론학회 연구이사 및 지역이사, 한국방송학회 미디어교육 및 산학협력위원, KBS 뉴스옴부즈맨 위원(2, 3기) 등을 역임했다. 교육자로서의 역할과 책임에 대한 성찰과 함께 소셜 미디어와 디지털 기반 저널리즘 및 커뮤니케이션 현상을 정치커뮤니케이션 차원에서 탐구하는 문제에 주된 연구 관심을 가지고 있다. 저서로 「사회자본」(공역, 2008), 「뉴스 수용자의 진화」(공저, 2010), 「첫눈에 반한 커뮤니케이션 이론」(공역, 2012), 「한국의 인터넷뉴스」(공저, 2013), 「영상 미디어 교육의 이해」(공저, 2013) 등이 있다. 논문은 “정보테크놀로지, 전자감시, 그리고 프라이버시 위기”(2006), “가상공간에서의 정치토론과 시민적 태도” (2007), “가상공간 내 정치토론, 의견의 질, 그리고 시민참여”(2007), “정권시기별 ‘북핵 실험 및 미사일 발사’ 관련 보도양상과 프레임”(2015), “온라인 커뮤니티는 토론난제에서도 대안적인가?”(2015), “관여도에 따른 트위터 이용자의 읽기와 쓰기 행위가 정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2015), “소셜 미디어에서 온라인 의견지도자와 의견표명”(2015) 등 다수가 있다.
오소현(옮긴이)
미국 보스턴 칼리지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대학원 신문방송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 대학원에서 미디어에 사용된 은유적 표현과 정치적 여론 형성과의 관련성을 주제로 박사학위 논문을 준비하고 있다. 역서로 『사회자본』(공역)이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 “PD저널리즘에 대한 제작진의 인식과 제작 관행”(공저), “수평적 결합이 개별 SO의 경영 성과에 미치는 영향”(공저) 등이 있다.

Table of Contents
목차 역자 서문 = ⅴ 교수자를 위한 서문 = ⅶ 1부 개관 서론 = 2 01 이론이란 무엇인가? = 9 과학 혹은 해석: '몬스터' 광고에 관한 두 가지 관점 = 10 객관적 혹은 해석적 접근 방식의 핵심적 차이 = 14 지식을 얻는 방법: 진실의 발견 혹은 다양한 진실의 창조 = 16 인간 본성: 결정주의 혹은 자유 의지 = 17 최상의 가치: 객관성 혹은 해방 = 19 이론의 목적: 보편적 법칙 혹은 해석의 지표 = 21 연구 방법: 양적 방법과 질적 방법 = 22 초점을 예리하게 하는 질문 = 29 02 커뮤니케이션 이론의 지형: 커뮤니케이션 연구 전통 = 30 사회심리학적 연구 전통 = 32 사이버네틱스 연구 전통 = 34 수사학적 연구 전통 = 37 기호학적 연구 전통 = 39 사회문화적 연구 전통 = 41 비판적 연구 전통 = 44 현상학적 연구 전통 = 46 커뮤니케이션 이론 영역의 장애물 = 48 윤리적 연구 전통 = 50 초점을 예리하게 하는 질문 = 52 03 상징적 수렴 이론: 객관주의와 해석주의 비교 평가하기 : 어니스트 보어만(Ernest Bormann) = 53 어니스트 보어만의 상징적 수렴 이론: 검증 사례 = 54 좋은 객관주의적 이론의 조건 = 57 훌륭한 해석학적 이론의 조건 = 64 척도의 균형 = 70 초점을 예리하게 하는 질문 = 71 2부 대인 간 커뮤니케이션 대인 간 메시지 = 74 04 상징적 상호작용주의 : 조지 허버트 미드(George Herbert Mead) = 79 의미: 사회적 실재에 관한 구성 = 81 언어: 의미의 원천 = 82 사고: 다른 사람의 역할에 대하여 말하는 과정 = 84 자아: 거울 반사 = 86 공동체: 타인의 기대를 사회화하는 효과 = 88 상징적 상호작용의 용례 = 90 비판: 이론이 너무 거대하다 = 93 초점을 예리하게 하는 질문 = 95 05 의미의 조정 관리 : 바넷 피어스(W. Barnett Pearce)ㆍ버넌 크로넨(Vernon Gronen) = 96 행동의 의미 조정 관리-현장으로부터 들려오는 이야기들 = 97 대화 상황 속에 놓인 사람: 결합의 결속 만들기 = 101 들은 이야기, 겪은 이야기, 그리고 덜 알려진 다른 이야기 = 106 대화적 커뮤니케이션: 타인과 이야기하는 새로운 방법 = 113 비판: 의미 조정 관리 언어가 당신을 위해 무엇을 만들었는가? = 116 초점을 예리하게 하는 질문 = 117 06 기대 위반 이론 : 주디 버군(Judee Burgoon) = 119 개인적 공간 기대: 순응 혹은 일탈? = 121 최초 모델의 응용 = 123 복잡한 모델에서 정교한 이론으로 = 126 기대 위반 이론의 핵심 개념 = 127 비판: 진행 중인 이론 = 134 초점을 예리하게 하는 질문 = 136 07 대인 간 기만 이론 : 데이비드 벌러(David Buller)ㆍ주디 버군(Judee Burgoon) = 137 전략적 상호작용을 위한 신생 이론 = 140 정보 조작하기: 거짓말쟁이의 언어와 표정 = 143 누설: (아마도) 진실이 드러날 거야 = 146 반응의 딜레마: 진실 편향인가, 아니면 의심인가? = 147 의심 완화하기: 의심에 대한 기만자들의 조절 = 150 비판: 왜 이렇게까지 복잡해야만 하는가? = 151 초점을 예리하게 하는 질문 = 154 이론의 윤리적 한계 = 155 임마누엘 칸트의 정언 명령 = 156 아우구스티누스의 신성한 의지 = 157 시셀라 복의 신의의 원칙 = 159 인지적 정보 처리 = 162 08 구성주의 : 제시 딜이아(Jesse Delia) = 167 '역할 범주 설문' 소개 = 168 개인적 구성: 인지 복잡성의 증거 = 168 구성의 차이를 알아보기: '역할 범주 설문'의 점수 = 170 정교화한 커뮤니케이션-대인적 가장자리 = 171 메시지 고안 논리: 커뮤니케이션 복잡성과 연결짓기 = 174 정교한 커뮤니케이션의 효율적 효과 = 178 정교한 화자의 신세대 사회화 = 182 비판: 인지적 복합성에 대한 재고 = 183 초점을 예리하게 하는 질문 = 185 관계 발전 = 186 09 사회적 침투 이론 : 어윈 올트먼(Irwin Altman)ㆍ달라스 테일러(Dalmas Taylor) = 192 성격의 구조: 다층화된 양파 = 194 자기 노출을 통한 친밀감 = 195 자기 노출의 폭과 깊이 = 196 보상과 비용에 기초한 친밀감 조절 = 199 비판: 사회적 침투에서 멀어지기 = 203 초점을 예리하게 하는 질문 = 206 10 불확실성 감소 이론 : 찰스 버거(Charles Berger) = 207 불확실성 감소: 예측과 설명 = 209 공리 이론: 불확실성에 관한 확실성 = 210 논리적 명제: 불확실성 공리의 논리력 = 214 불확실성 극복 전략 = 216 비판: 불확실성에 대한 의문 = 220 초점을 예리하게 하는 질문 = 222 관계 유지 = 223 11 관계적 변증법 : 레슬리 박스터(Leslie Baxter)ㆍ바버라 몽고메리(Barbara Montgomery) = 229 친밀한 관계의 변증법: '밀고 당기기' = 231 관계 내에 작용하는 세 가지 변증법 = 233 커플과 공동체 간에 작용하는 세 가지 변증법 = 238 변증법적 긴장을 다루는 실용적 방안 = 241 비판: 우리는 관계적 혼란 속에서 무엇을 하는가? = 244 초점을 예리하게 하는 질문 = 247 12 상호작용적 관점 : 폴 바츨라빅(Paul Watzlawick) = 248 하나의 체계로서의 가족 = 249 대인 간 커뮤니케이션 공리 = 252 체계 속에 사로잡혀 갈 곳 없다 = 258 재구성: 규칙의 변화를 통한 게임의 변화 = 259 비판: 체계 내 요구된 조정 = 262 초점을 예리하게 하는 질문= 264 영향력 = 265 13 사회적 판단 이론 : 무자퍼 셰리프(Muzafer Sherif) = 269 태도 영역: 수용 영역, 거부 영역, 비개입 영역 = 270 자아 관여도-관심이 어느 정도입니까? = 273 메시지 판단: 대조와 동화 오류 = 275 격차와 태도 변화 = 278 설득자를 위한 실용적 조언 = 279 사회적 판단 이론을 지지하는 연구 = 280 비판: 이론상 수용의 범위는 얼마나 넓은가? = 282 초점을 예리하게 하는 질문 = 283 14 정교화 가능성 모델 : 리처드 페티(Richard Petty)ㆍ존 카치오포(John Cacioppo) = 285 중심 통로와 주변 통로: 설득에 이르는 대안 경로 = 286 정교화를 위한 동기: 정교화할 만한 가치가 있는가? = 288 정교화를 위한 능력: 그 문제를 정교화할 수 있는가? = 290 정교화의 유형: 객관적 사고와 편향된 사고 = 291 정교화된 주장: 강한 주장, 약한 주장, 중립적 주장 = 292 주변적 단서: 영향력에 대한 대안적 통로 = 293 주변적 단서의 한계 극복하기 = 296 통로 선정: 설득자를 위한 실용적 조언 = 298 비판: 모델 정교화하기 = 299 초점을 예리하게 하는 질문 = 301 15 인지부조화 이론 : 레온 페스팅거(Leon Festinger) = 302 부조화: 행동과 신념의 불일치 = 302 태도와 행동 간 부조화 감소 방법-세 가지 가설 = 303 고전적 실험: 1달러를 위한 거짓말? = 309 이론의 수정: 부조화 원인과 효과 = 311 이론의 실용화: 부조화를 통한 설득 = 317 비판: 부조화에 대한 부조화 = 318 초점을 예리하게 하는 질문 = 320 이론의 윤리적 한계 = 321 마틴 부버의 대화적 윤리학 = 321 토마스 닐슨의 의미 있는 선택 = 323 3부 집단 및 공공 커뮤니케이션 집단 의사 결정 = 328 16 집단 의사 결정에 관한 기능적 접근 방식 : 랜디 히로가와(Randy Hirokawa)ㆍ데니스 고우란(Dennis Gouran) = 333 효과적 의사 결정을 위한 네 가지 기능 = 334 기능의 우선순위 정하기 = 339 기능 수행에서 커뮤니케이션의 역할 = 341 작은 호수에서 대양까지 = 344 아마추어와 전문가를 위한 실용적인 조언 = 346 비판: 과대평가된 합리성? = 348 초점을 예리하게 하는 질문 = 350 17 적응적 구조화 이론 : 마셜 스콧 풀(Marshall Scott Poole) = 351 국면 모델의 단계적 폐기 = 353 기든스의 구조화 = 355 상호작용-도덕성, 커뮤니케이션, 그리고 권력에 대한 관심 = 357 규칙과 자원의 이용과 남용 = 359 규칙과 자원의 이용에 관한 연구 = 361 변화의 생산, 안정성의 재생산 = 362 하나의 집단에서 우리는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가? = 365 비판: 기든스와의 관련성 = 366 초점을 예리하게 하는 질문 = 369 조직 커뮤니케이션= 370 18 조직에 대한 정보 체계 접근 방식 : 칼 웨익(Karl Weick) = 374 조직화: 모호한 정보 이해하기 = 375 이완 결합 체계로서의 대학 = 377 환경에 개방된 체계로서의 대학 = 380 사회문화적 진화의 3단계 과정 = 381 비판: 은유적 설명의 장단점 = 388 초점을 예리하게 하는 질문 = 389 19 조직에 대한 문화적 접근 : 클리퍼드 기어츠(Clifford Geertz)ㆍ마이클 파카노브스키(Michael Pacanowsky) = 390 문화: 조직적 삶의 은유 = 391 문화는 무엇이고, 문화가 아닌 것은 무엇인가 = 392 두터운 기술: 민속지학자의 역할 = 393 은유: 언어를 심각하게 받아들이기 = 395 이야기에 대한 상징적 해석 = 396 의례: 항상 그러했던 방식, 앞으로도 그러할 방식 = 399 관리자가 문화적 변화의 대리인일 수 있는가? = 402 비판: 문화적 접근 방식은 유용한 것인가? = 403 초점을 예리하게 하는 질문 = 405 20 조직 커뮤니케이션의 비판 이론 : 스탠리 디츠(Stanley Deetz) = 406 일상과 기업의 식민화 = 408 정보 대 커뮤니케이션: 차이를 만드는 차이 = 409 전략-통제 확장을 위한 공공연한 경영 활동 = 412 동의-암묵적 통제에 대한 자발적 순종 = 415 관여-요란하지 않은 생각의 자유로운 표현 = 417 참여-이해 당사자가 행동하는 민주주의 = 418 AES 주식회사-가치에 기반한 권능 = 421 비판: 직장 민주주의는 요원한 꿈인가? = 424 초점을 예리하게 하는 질문 = 425 공중 수사학 = 427 21 수사학 : 아리스토텔레스(Aristotle) = 431 수사학: 설득하기 = 432 수사학적 논증: 로고스, 에토스, 파토스 = 433 수사학의 다섯 가지 표준 = 441 비판: 현재 시각으로 바라보기 = 443 초점을 예리하게 하는 질문 = 444 22 드라마티즘 : 케니스 버크(Kenneth Burke) = 445 동일시: 동일시가 없으면, 설득도 없다 = 447 드라마티즘의 다섯 가지 요소 = 448 죄―구원의 순환: 모든 수사학의 근원 = 451 드라마티즘을 이용한 수사학적 비판 = 454 비판: 비평가의 분석 평가하기 = 456 초점을 예리하게 하는 질문 = 458 23 내러티브 패러다임 : 월터 피셔(Walter Fisher) = 459 마음을 끄는 이야기하기 = 460 내레이션과 패러다임: 용어 정의 = 462 패러다임 전환: 합리적 패러다임에서 내러티브 패러다임으로 = 464 내러티브 합리성: 응집성과 충실성 = 466 비판: 피셔의 이야기는 응집성과 충실성을 가지고 있는가? = 470 초점을 예리하게 하는 질문 = 472 이론의 윤리적 한계 = 474 아리스토텔레스의 최상의 수단 = 474 코넬 웨스트의 예언적 실용주의 = 476 4부 매스 커뮤니케이션 미디어와 문화 = 480 24 기술결정주의 : 마셜 매클루언(Marshall McLuhan) = 486 커뮤니케이션 발명: 역사의 균형점 = 488 우리는 도구를 만들고, 도구는 다시 우리를 틀 짓는다 = 489 미디어는 메시지다 = 490 인간 미디어 역사의 분석 = 492 텔레비전은 쿨미디어다 = 496 한 시대의 경계에 사는 것 = 497 새로운 디지털 시대: 테크노폴리의 시대? = 500 비판: 매클루언이 옳다는 근거는 무엇이며, 옳다면 어떻게 할 것인가? = 502 초점을 예리하게 하는 질문 = 504 25 기호학 : 롤랑 바르트(Roland Barthes) = 506 기호와 레슬링하기 = 507 노란 리본의 변형: 용서에서 자긍심까지 = 510 신화 만들기: 역사의 기호 벗기기 = 512 동질적 사회라는 신화의 가면 벗기기 = 514 매스 커뮤니케이션의 기호학: "나는 마이크처럼 되고 싶다" = 517 비판: 신화적 기호가 항상 현상 유지를 재강화하는가? = 519 초점을 예리하게 하는 질문 = 521 26 문화연구 : 스튜어트 홀(Stuart Hall) = 522 강력한 이념적 도구로서의 미디어 = 523 초기 문화 비판 = 525 의미 만들기 = 528 매스 커뮤니케이션의 협력적 통제 = 529 걸프전에서 미디어의 역할 = 530 9ㆍ11 이후의 미디어 보도-강제의 냉정함 = 532 완강한 수용자 = 534 비판: 홀이 옳다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는가? = 537 초점을 예리하게 하는 질문 = 538 미디어 효과 = 539 27 배양 이론 : 조지 거브너(George Gerbner) = 543 폭력 지수 = 545 동일한 폭력, 동일하지 않은 위험 = 546 시청자 프로파일 만들기 = 548 텔레비전이 일군 마음과 두려움의 양산 = 549 주류화 = 550 공명 = 552 비판: 배양 차이는 실재하는가? = 553 초점을 예리하게 하는 질문 = 556 28 의제 설정 이론 : 맥스웰 매콤스(Maxwell McCombs)ㆍ도널드 쇼(Donald Shaw) = 557 최초 의제: 어떻게 생각하도록 할 것인가가 아닌 무엇에 대해 생각할 것인가 = 558 이론 시대의 도래 = 559 미디어 의제와 공중 의제: 막상막하의 경기 = 560 무엇이 무엇의 원인인가? = 561 의제 설정자를 위한 의제는 누가 설정하는가? = 563 누가 미디어 의제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가? = 565 프레이밍: 속성의 현저성으로의 전환 = 566 단순히 '무엇에 관하여 생각할 것인가'가 아니라 그것에 관하여 '어떻게 생각할 것인가' = 568 의견을 넘어서-미디어 의제의 행동적 효과 = 570 비판: 효과는 너무 제한적인 반면, 범위는 너무 넓지 않은가? = 572 초점을 예리하게 하는 질문 = 575 29 미디어 방정식 : 바이런 리브스(Byron Reeves)ㆍ클리퍼드 나스(Clifford Nass) = 576 미디어 방정식: 미디어=실생활 = 576 직관 극복하기: '난 그렇게 행동하지 않아' = 578 새로운 기술에 조롱당한 구식의 뇌 = 580 방정식 증명하기 = 581 비판: 일방향적 관계의 음모 = 590 초점을 예리하게 하는 질문 = 592 이론의 윤리적 한계 = 593 위르겐 하버마스의 담론 윤리 = 593 클리퍼드 크리스천스의 공동체주의 윤리 = 595 5부 문화적 맥락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 = 600 30 불안ㆍ불확실성 관리 이론 : 윌리엄 구디쿤스트(William Gudykunst) = 604 이방인 입문 = 605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사려 깊음의 결과 = 606 불안과 불확실성: 문화적 다양성의 두 가지 결과 = 609 문화 간 충돌 시 불안과 불확실성 관리 = 612 비판: 내집단 변인에 의한 압도 = 617 초점을 예리하게 하는 질문 = 619 31 체면 협상 이론 : 스텔라 팅투미(Stella Ting―Toomey) = 620 집단주의 대 개인주의 = 622 체면의 다양한 국면 = 625 체면: 문화와 갈등 관리 연결하기 = 627 체면 협상 이론의 수정 = 630 응용하기: 재치 있는 문화 간 체면 관리 = 633 비판: 개인차에 따른 혼돈 = 635 초점을 예리하게 하는 질문 = 638 32 스피치 코드 이론: 커뮤니케이션의 민속지학 : 게리 필립센(Gerry Philipsen) = 639 스피치 코드의 독특성 = 641 스피치 코드의 본질 = 643 스피치 코드의 해석 = 646 스피치 코드의 장소 = 648 토론에서 스피치 코드의 힘 = 650 퍼포먼스 민속지학 = 651 비판: 커뮤니케이션 이론 속의 상이한 스피치 코드 = 653 초점을 예리하게 하는 질문 = 655 젠더와 커뮤니케이션 = 656 33 젠더렉 스타일 : 데보라 타넨(Deborah Tannen) = 662 해리가 샐리를 만났을 때: 두 문화의 충돌 = 664 여성의 연결에 대한 욕구 대 남성의 지위에 대한 욕구 = 666 공감하는 대화 대 보고적인 대화 = 667 이제야 이해하기 시작했다 = 672 비판: 연구와 남성에 대한 타넨의 입장 = 674 초점을 예리하게 하는 질문 = 677 34 입장 이론 : 산드라 하딩(Sandra Harding)ㆍ줄리아 T. 우드(Julia T. Wood) = 678 철학과 문학에 뿌리를 둔 페미니스트 입장 = 680 주변화된 집단으로서의 여성 = 682 출처 없는 지식 대 편협한 지식 = 686 강력한 객관성: 여성의 입장으로부터 제기되는 덜 편향된 관점 = 688 이론에서 실천까지: 여성의 삶에 기반한 커뮤니케이션 연구 = 690 비판: 입장 이론은 사실인가? = 692 초점을 예리하게 하는 질문 = 694 35 침묵된 집단 이론 : 체리스 크라마래(Cheris Kramarae) = 695 침묵된 집단: 다른 누군가의 우주 속 블랙홀 = 696 경험을 명명하는 남성 권력 = 698 커뮤니케이션 수문장으로서의 남성 = 700 인터넷의 충족되지 않은 약속 = 701 남성의 담화 속으로 이입된 여성의 진실: 번역의 문제 = 703 사적으로 말하기: 여성 네트워크 만들기 = 706 공적으로 말하기: 페미니스트 사전 = 708 성희롱: 경험을 명명하는 용어 만들기 = 708 비판: 선량한 남성을 찾기란 어려운 것인가? = 711 초점을 예리하게 하는 질문 = 713 이론의 윤리적 한계 = 714 캐롤 길리건의 다른 목소리 = 714 세이라 벤하빕의 상호작용적 보편주의 = 715 6부 통합 커뮤니케이션 이론 = 720 36 혼란을 넘어 질서로 = 727 객관적-해석적 척도에 관한 이론 = 728 한편으로는… 다른 한편으로는 = 731 연구자를 위한 네 가지 선택: 거부, 존중, 협동, 통합 = 733 최후의 주장 = 739 초점을 예리하게 하는 질문 = 741 부록 = 743 부록 A 주요 개념 소개 = 744 부록 B 이론의 요약 = 766 부록 C 커뮤니케이션 이론에 대한 학술 저널 = 774 부록 D 커뮤니케이션 이론의 이해를 돕는 영화 목록 = 778 부록 E 커뮤니케이션 윤리를 위한 신조 = 783 부록 F 심화 학습을 위한 자료-A Second Look = 787 주 = 821 참고문헌 = 8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