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3
01 교육과정의 개념 = 15
1. 교육과정의 정의 = 15
1) 교과목 혹은 교과에 담긴 내용 = 16
2) 학교의 지도 아래 학생이 겪는 실제 경험 = 16
3) 계획된 활동으로 구성된 프로그램 = 17
4) 수행할 일련의 과제 = 17
5) 의도한 학습결과 = 18
6) 문화적 재생산의 도구 = 18
7) 사회재건을 위한 의제 = 18
8) 학생의 삶에 대한 해석과 전망 = 18
9) 은유 = 19
2. 교육과정의 유사용어 = 19
1) 스코프와 시켄스 = 19
2) 강의요목 = 20
3) 내용개요 = 20
4) 교과서 = 20
5) 교수요목 = 21
6) 계획된 학습경험 = 22
3. 교육과정의 영역 = 22
1) 교육과정의 기초 = 22
2) 교육과정의 이론 = 23
3) 교육과정 설계 = 23
4) 교육과정 구성 = 24
5) 교육과정 개발 = 25
6) 교육과정 실행 = 26
7) 교육과정 공학 = 26
8) 교육과정 개선과 변화 = 26
02 교육과정의 역사와 유형 = 31
1. 교육과정의 역사 = 32
1) 교육과정의 역사적 기초 = 32
2) 보비트의 교육과정 구성법 = 34
3) 교과와 경험의 대립 : 듀이의 교육과정 이론 = 35
4) 학문중심 교육과정의 등장 : 교과의 새로운 부활 = 36
5) 한국 교육과정의 역사적 변천 = 36
2. 교육과정의 유형 = 59
1) 개념상의 유형 = 59
2) 의사결정 수준상의 유형 = 62
3) 내용 조직상의 유형 = 64
03 교육과정의 이론과 다양한 관점 = 77
1. 교육과정의 이론 = 78
1) 형식도야이론 = 78
2) 타일러 이론 = 80
3) 듀이의 경험 교육과정 = 81
4) 부르너의 지식의 구조 = 83
5) 파이너의 재개념주의 : 쿠레레로서의 교육과정 = 87
6) 교육과정 포스트 모던 이론 = 88
2. 교육과정의 다양한 관점 = 94
1) 교육과정의 정치경제학 = 94
2) 지식사회학적 접근 = 94
3) 현상학적 접근 = 95
4) 해설학적 접근 = 96
5) 교육과정의 미학적 접근 = 96
04 교육과정의 설계 = 101
1. 교육과정 설계의 개념 = 102
2. 교육과정 설계의 구조 = 104
1) 스코프 = 104
2) 계열 = 104
3) 계속성 = 105
4) 통합성 = 106
5) 연계성 = 107
6) 균형성 = 107
3. 대표적 교육과정 설계 유형 = 108
1) 교과중심 설계 = 109
2) 학습자 중심 설계 = 111
3) 문제중심 설계 = 112
05 교육과정 개발 = 117
1. 교육과정 개발의 이해 = 118
1) 교육과정 개발의 개념과 기초 = 118
2) 개발 모형 = 120
3) 개발의 과정 = 136
4) 단원의 구성 = 201
2. 교육과정 개발의 수준 = 205
1) 국가수준 교육과정 = 207
2) 지역수준 교육과정 = 213
3) 학교수준 교육과정 = 216
4) 교사수준 교육과정 = 217
3. 학교 교육과정 개발의 실제 = 217
1) 학교 교육과정 개발의 개념 = 217
2) 학교 교육과정의 실제 = 220
06 교육과정 실행 및 운영 = 233
1. 교육과정 실행 = 234
1) 교육과정 실행의 개념 = 234
2) 교육과정 실행의 성격 = 235
3) 교육과정 실행의 극단적 견해 = 237
4) 교육과정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238
5) 교육과정 실행의 관점 = 239
2. 교육과정의 운영 = 243
1) 운영의 의미 = 243
2) 교육과정 운영과 교사 = 244
3. 교사의 역할과 운영 수준 = 245
1) 실행의 관점에 따른 역할 = 245
2) 교사의 관심 수준에 따른 교육과정 운영 수준 = 246
4. 교육과정과 수업 = 249
1) 교육과정과 수업의 관계 = 249
2) 교육과정과 수업의 관계에 대한 오해 = 251
07 교육과정 평가 = 257
1. 교육과정 평가의 개념 = 258
2. 교육과정 평가의 쟁점과 성격 = 260
1) 교육과정 평가의 쟁점 = 260
2) 교육과정 평가의 성격 = 261
3. 교육과정 평가의 모형 = 262
1) 목표지향 모형 = 263
2) 판단지향 모형 = 264
3) 의사결정지향 모형 = 266
4) 자연주의 모형 = 268
08 교육과정의 최근 동향 = 273
1. 교육과정 차별화 = 274
2.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 = 276
1) 학습자에게 선택의 권한을 부여 = 276
2) 학습자의 필요 반영 = 278
3) 학습자의 적성, 호기심, 관심사 반영 = 279
3. 구성주의 교육과정 = 279
1) 지식은 인식의 주체에 의해 구성된다 = 280
2) 지식은 맥락적이다 = 280
3) 지식은 사회적 협상을 통해 형성된다 = 280
4. 선택 교육과정 = 281
1) 교육과정의 구조 = 282
2) 선택권한의 배분 = 283
3) 교과목 이수체계 = 285
4) 운영상의 주요 특징 = 287
5. 통합교육과정 = 289
1) 교육과정 통합의 개념 = 289
2) 교육과정 통합의 접근법 = 290
6. 교육과정 기준 운동 = 296
7. 내러티브 교육과정 = 301
09 교육평가의 의미 = 309
1. 교육평가의 개념 = 309
1) 교육평가의 정의 = 310
2) 교육평가의 구성요소 = 312
2. 교육평가와 관련된 용어의 이해 = 314
1) 측정 = 314
2) 사정 = 315
3) 검사 = 316
3. 교육평가의 역사 = 317
1) 서구에서 교육평가의 역사 = 317
2) 우리나라에서 교육평가의 역사 = 319
4. 교육평가의 기능 = 320
1) 형성적 기능 = 321
2) 총괄적 기능 = 322
3) 전략적 기능 = 322
5. 교육평가의 유형 = 323
1) 평가대상에 따른 유형 = 324
2) 평가영역에 따른 유형 = 325
3) 평가기능에 따른 유형 = 327
4) 평가기준에 따른 유형 = 329
5) 평가방법에 따른 유형 = 335
10 교육평가의 일반적 절차 = 341
1. 평가목적의 확인 = 341
2. 평가영역 및 내용의 선정 = 342
3. 평가방법의 결정 = 343
4. 평가도구의 선정 및 개발 = 343
5. 평가시행을 위한 계획 수립 = 344
6. 평가환경의 구축 = 345
7. 자료의 수집 = 346
8. 자료의 분석 = 346
9. 평가결과에 대한 해석 = 347
10. 평가결과의 보고 = 348
1) 서식이 있을 때 = 349
2) 서식이 없을 때 = 349
11. 평가결과의 활용 = 349
12. 메타평가 = 350
11 교육평가 방법과 도구 = 355
1. 관찰법 = 356
1) 의미 = 356
2) 장단점 = 357
3) 사용 시 유의사항 = 358
4) 도구 = 358
2. 면접법 = 362
1) 의미 = 362
2) 종류 = 362
3) 장단점 = 363
4) 사용 시 유의사항 = 364
5) 도구 = 364
3. 조사법 = 365
1) 의미 = 365
2) 장단점 = 365
3) 사용 시 유의사항 = 366
4) 도구 = 366
4. 검사법 = 371
1) 의미 = 371
2) 장단점 = 371
3) 도구 = 371
12 교수-학습에서 검사 = 375
1. 교수-학습에서 검사의 계획 = 376
1) 검사제작의 일반적 절차 = 376
2) 검사제작의 계획 = 377
2. 검사문항의 작성 = 385
1) 검사문항의 유형 = 385
13 수행평가 = 397
1. 수행평가의 개념 = 398
1) 수행평가의 등장 배경 = 398
2) 수행평가의 의미 = 400
3) 수행평가의 특징 = 403
2. 수행평가의 방법 = 404
1) 일반적 절차 = 404
2) 평가기법 = 405
3. 수행평가의 예 = 408
1) 고등학교 국어과 수행평가의 예 = 408
2) 고등학교 과학과 수행평가의 예 = 412
4. 서술형 평가 = 415
1) 서술평 평가의 의미 = 415
2) 서술형 평가의 상황 = 416
3) 서술형 평가의 방법 = 416
14 검사도구의 구비조건 = 421
1. 신뢰도 = 422
1) 의미 = 422
2) 신뢰도 추정방법 = 423
3)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428
2. 타당도 = 429
1) 의미 = 429
2) 종류 = 430
3) 타당도와 신뢰도의 관계 = 434
3. 객관도 = 434
4. 실용도 = 435
15 검사결과의 분석 = 439
1. 기초통계 개념 = 440
1) 빈도분포와 그래프 = 440
2) 집중경향치 = 442
3) 분산도 = 443
2. 점수표시 방법 = 445
1) 원점수 = 446
2) 백점만점점수 = 446
3) 등위점수 = 446
4) 백분위점수 = 447
5) 표준점수 = 448
3. 상관계수 = 450
1) 의미 = 450
2) 종류 = 451
4. 문항분석 = 452
1) 의미 = 452
2) 문항분석이론 = 453
3) 문항분석이론의 비교 = 456
4) 문항분석 방법 = 456
16 교육평가의 최근 동향 = 467
1. 교육평가의 동향에 대한 여러 입장들 = 468
2. 학교 현장에서 고려해야 할 교육평가의 최근 동향 = 473
1) 평가의 고유성과 관련한 동향 = 474
2) 제도와 정책상의 동향 = 478
부록 Ⅰ : 제6차 유치원ㆍ초등학교ㆍ중학교ㆍ고등학교 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 = 487
부록 Ⅱ : 제7차 초ㆍ중등학교 교육과정 = 512
부록 Ⅲ : 제7차 개정 초ㆍ중등학교 교육과정 = 534
부록 Ⅳ : 2009 개정 초ㆍ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 557
참고문헌 = 578
찾아보기 = 5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