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현대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2판

현대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2판 (Loan 31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강현석 주동범, 저
Title Statement
현대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 Curriculum & educational evaluation / 강현석, 주동범 공저
판사항
2판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학지사,   2012  
Physical Medium
590 p. : 삽화 ; 27 cm
ISBN
9788963308272
General Note
부록: 제6차 유치원·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 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 제7차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외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578-584)과 색인수록
000 00872camcc2200277 c 4500
001 000045701167
005 20120416162857
007 ta
008 120413s2012 ulka b 001c kor
020 ▼a 9788963308272 ▼g 93370
035 ▼a (KERIS)REW000000146373
040 ▼d 211009
082 0 4 ▼a 375 ▼2 22
085 ▼a 375 ▼2 DDCK
090 ▼a 375 ▼b 2012
100 1 ▼a 강현석 ▼0 AUTH(211009)94962
245 1 0 ▼a 현대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 ▼x Curriculum & educational evaluation / ▼d 강현석, ▼e 주동범 공저
246 3 1 ▼a Curriculum and educational evaluation
250 ▼a 2판
260 ▼a 서울 : ▼b 학지사, ▼c 2012
300 ▼a 590 p. : ▼b 삽화 ; ▼c 27 cm
500 ▼a 부록: 제6차 유치원·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 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 제7차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외
504 ▼a 참고문헌(p. 578-584)과 색인수록
700 1 ▼a 주동범, ▼e▼0 AUTH(211009)82339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5 2012 Accession No. 111663320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12-13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R Service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주동범(지은이)

미국 펜실베니아주립대학교 대학원 교육이론과 정책학과 교육사회학 전공(Ph.D)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책임연구원, 한국해양대학교 국제대학 교직과 교수 역임 현재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교수

강현석(지은이)

경북대 사대 교육학과 학사, 석사 졸업 경북대 대학원 교육학 박사 Univ. of Wisconsin-Madison Post-Doc. Fellow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선임연구원 역임 (현재) 한국교육과정학회 회장 경북대 교육학과 교수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머리말 = 3
01 교육과정의 개념 = 15
 1. 교육과정의 정의 = 15
  1) 교과목 혹은 교과에 담긴 내용 = 16
  2) 학교의 지도 아래 학생이 겪는 실제 경험 = 16
  3) 계획된 활동으로 구성된 프로그램 = 17
  4) 수행할 일련의 과제 = 17
  5) 의도한 학습결과 = 18
  6) 문화적 재생산의 도구 = 18
  7) 사회재건을 위한 의제 = 18
  8) 학생의 삶에 대한 해석과 전망 = 18
  9) 은유 = 19
 2. 교육과정의 유사용어 = 19
  1) 스코프와 시켄스 = 19
  2) 강의요목 = 20
  3) 내용개요 = 20
  4) 교과서 = 20
  5) 교수요목 = 21
  6) 계획된 학습경험 = 22
 3. 교육과정의 영역 = 22
  1) 교육과정의 기초 = 22
  2) 교육과정의 이론 = 23
  3) 교육과정 설계 = 23
  4) 교육과정 구성 = 24
  5) 교육과정 개발 = 25
  6) 교육과정 실행 = 26
  7) 교육과정 공학 = 26
  8) 교육과정 개선과 변화 = 26
02 교육과정의 역사와 유형 = 31
 1. 교육과정의 역사 = 32
  1) 교육과정의 역사적 기초 = 32
  2) 보비트의 교육과정 구성법 = 34
  3) 교과와 경험의 대립 : 듀이의 교육과정 이론 = 35
  4) 학문중심 교육과정의 등장 : 교과의 새로운 부활 = 36
  5) 한국 교육과정의 역사적 변천 = 36
 2. 교육과정의 유형 = 59
  1) 개념상의 유형 = 59
  2) 의사결정 수준상의 유형 = 62
  3) 내용 조직상의 유형 = 64
03 교육과정의 이론과 다양한 관점 = 77
 1. 교육과정의 이론 = 78
  1) 형식도야이론 = 78
  2) 타일러 이론 = 80
  3) 듀이의 경험 교육과정 = 81
  4) 부르너의 지식의 구조 = 83
  5) 파이너의 재개념주의 : 쿠레레로서의 교육과정 = 87
  6) 교육과정 포스트 모던 이론 = 88
 2. 교육과정의 다양한 관점 = 94
  1) 교육과정의 정치경제학 = 94
  2) 지식사회학적 접근 = 94
  3) 현상학적 접근 = 95
  4) 해설학적 접근 = 96
  5) 교육과정의 미학적 접근 = 96
04 교육과정의 설계 = 101
 1. 교육과정 설계의 개념 = 102
 2. 교육과정 설계의 구조 = 104
  1) 스코프 = 104
  2) 계열 = 104
  3) 계속성 = 105
  4) 통합성 = 106
  5) 연계성 = 107
  6) 균형성 = 107
 3. 대표적 교육과정 설계 유형 = 108
  1) 교과중심 설계 = 109
  2) 학습자 중심 설계 = 111
  3) 문제중심 설계 = 112
05 교육과정 개발 = 117
 1. 교육과정 개발의 이해 = 118
  1) 교육과정 개발의 개념과 기초 = 118
  2) 개발 모형 = 120
  3) 개발의 과정 = 136
  4) 단원의 구성 = 201
 2. 교육과정 개발의 수준 = 205
  1) 국가수준 교육과정 = 207
  2) 지역수준 교육과정 = 213
  3) 학교수준 교육과정 = 216
  4) 교사수준 교육과정 = 217
 3. 학교 교육과정 개발의 실제 = 217
  1) 학교 교육과정 개발의 개념 = 217
  2) 학교 교육과정의 실제 = 220
06 교육과정 실행 및 운영 = 233
 1. 교육과정 실행 = 234
  1) 교육과정 실행의 개념 = 234
  2) 교육과정 실행의 성격 = 235
  3) 교육과정 실행의 극단적 견해 = 237
  4) 교육과정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238
  5) 교육과정 실행의 관점 = 239
 2. 교육과정의 운영 = 243
  1) 운영의 의미 = 243
  2) 교육과정 운영과 교사 = 244
 3. 교사의 역할과 운영 수준 = 245
  1) 실행의 관점에 따른 역할 = 245
  2) 교사의 관심 수준에 따른 교육과정 운영 수준 = 246
 4. 교육과정과 수업 = 249
  1) 교육과정과 수업의 관계 = 249
  2) 교육과정과 수업의 관계에 대한 오해 = 251
07 교육과정 평가 = 257
 1. 교육과정 평가의 개념 = 258
 2. 교육과정 평가의 쟁점과 성격 = 260
  1) 교육과정 평가의 쟁점 = 260
  2) 교육과정 평가의 성격 = 261
 3. 교육과정 평가의 모형 = 262
  1) 목표지향 모형 = 263
  2) 판단지향 모형 = 264
  3) 의사결정지향 모형 = 266
  4) 자연주의 모형 = 268
08 교육과정의 최근 동향 = 273
 1. 교육과정 차별화 = 274
 2.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 = 276
  1) 학습자에게 선택의 권한을 부여 = 276
  2) 학습자의 필요 반영 = 278
  3) 학습자의 적성, 호기심, 관심사 반영 = 279
 3. 구성주의 교육과정 = 279
  1) 지식은 인식의 주체에 의해 구성된다 = 280
  2) 지식은 맥락적이다 = 280
  3) 지식은 사회적 협상을 통해 형성된다 = 280
 4. 선택 교육과정 = 281
  1) 교육과정의 구조 = 282
  2) 선택권한의 배분 = 283
  3) 교과목 이수체계 = 285
  4) 운영상의 주요 특징 = 287
 5. 통합교육과정 = 289
  1) 교육과정 통합의 개념 = 289
  2) 교육과정 통합의 접근법 = 290
 6. 교육과정 기준 운동 = 296
 7. 내러티브 교육과정 = 301
09 교육평가의 의미 = 309
 1. 교육평가의 개념 = 309
  1) 교육평가의 정의 = 310
  2) 교육평가의 구성요소 = 312
 2. 교육평가와 관련된 용어의 이해 = 314
  1) 측정 = 314
  2) 사정 = 315
  3) 검사 = 316
 3. 교육평가의 역사 = 317
  1) 서구에서 교육평가의 역사 = 317
  2) 우리나라에서 교육평가의 역사 = 319
 4. 교육평가의 기능 = 320
  1) 형성적 기능 = 321
  2) 총괄적 기능 = 322
  3) 전략적 기능 = 322
 5. 교육평가의 유형 = 323
  1) 평가대상에 따른 유형 = 324
  2) 평가영역에 따른 유형 = 325
  3) 평가기능에 따른 유형 = 327
  4) 평가기준에 따른 유형 = 329
  5) 평가방법에 따른 유형 = 335
10 교육평가의 일반적 절차 = 341
 1. 평가목적의 확인 = 341
 2. 평가영역 및 내용의 선정 = 342
 3. 평가방법의 결정 = 343
 4. 평가도구의 선정 및 개발 = 343
 5. 평가시행을 위한 계획 수립 = 344
 6. 평가환경의 구축 = 345
 7. 자료의 수집 = 346
 8. 자료의 분석 = 346
 9. 평가결과에 대한 해석 = 347
 10. 평가결과의 보고 = 348
  1) 서식이 있을 때 = 349
  2) 서식이 없을 때 = 349
 11. 평가결과의 활용 = 349
 12. 메타평가 = 350
11 교육평가 방법과 도구 = 355
 1. 관찰법 = 356
  1) 의미 = 356
  2) 장단점 = 357
  3) 사용 시 유의사항 = 358
  4) 도구 = 358
 2. 면접법 = 362
  1) 의미 = 362
  2) 종류 = 362
  3) 장단점 = 363
  4) 사용 시 유의사항 = 364
  5) 도구 = 364
 3. 조사법 = 365
  1) 의미 = 365
  2) 장단점 = 365
  3) 사용 시 유의사항 = 366
  4) 도구 = 366
 4. 검사법 = 371
  1) 의미 = 371
  2) 장단점 = 371
  3) 도구 = 371
12 교수-학습에서 검사 = 375
 1. 교수-학습에서 검사의 계획 = 376
  1) 검사제작의 일반적 절차 = 376
  2) 검사제작의 계획 = 377
 2. 검사문항의 작성 = 385
  1) 검사문항의 유형 = 385
13 수행평가 = 397
 1. 수행평가의 개념 = 398
  1) 수행평가의 등장 배경 = 398
  2) 수행평가의 의미 = 400
  3) 수행평가의 특징 = 403
 2. 수행평가의 방법 = 404
  1) 일반적 절차 = 404
  2) 평가기법 = 405
 3. 수행평가의 예 = 408
  1) 고등학교 국어과 수행평가의 예 = 408
  2) 고등학교 과학과 수행평가의 예 = 412
 4. 서술형 평가 = 415
  1) 서술평 평가의 의미 = 415
  2) 서술형 평가의 상황 = 416
  3) 서술형 평가의 방법 = 416
14 검사도구의 구비조건 = 421
 1. 신뢰도 = 422
  1) 의미 = 422
  2) 신뢰도 추정방법 = 423
  3)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428
 2. 타당도 = 429
  1) 의미 = 429
  2) 종류 = 430
  3) 타당도와 신뢰도의 관계 = 434
 3. 객관도 = 434
 4. 실용도 = 435
15 검사결과의 분석 = 439
 1. 기초통계 개념 = 440
  1) 빈도분포와 그래프 = 440
  2) 집중경향치 = 442
  3) 분산도 = 443
 2. 점수표시 방법 = 445
  1) 원점수 = 446
  2) 백점만점점수 = 446
  3) 등위점수 = 446
  4) 백분위점수 = 447
  5) 표준점수 = 448
 3. 상관계수 = 450
  1) 의미 = 450
  2) 종류 = 451
 4. 문항분석 = 452
  1) 의미 = 452
  2) 문항분석이론 = 453
  3) 문항분석이론의 비교 = 456
  4) 문항분석 방법 = 456
16 교육평가의 최근 동향 = 467
 1. 교육평가의 동향에 대한 여러 입장들 = 468
 2. 학교 현장에서 고려해야 할 교육평가의 최근 동향 = 473
  1) 평가의 고유성과 관련한 동향 = 474
  2) 제도와 정책상의 동향 = 478
부록 Ⅰ : 제6차 유치원ㆍ초등학교ㆍ중학교ㆍ고등학교 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 = 487
부록 Ⅱ : 제7차 초ㆍ중등학교 교육과정 = 512
부록 Ⅲ : 제7차 개정 초ㆍ중등학교 교육과정 = 534
부록 Ⅳ : 2009 개정 초ㆍ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 557
참고문헌 = 578
찾아보기 = 585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