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歷史篇
1. 19세기 이전의 서양의학
서양의학의 근원 = 5
갈레노스의 의학세계 = 8
급속히 발전하는 현대 과학 = 12
2. 19세기 이전 중국의학의 맥락
사변철학과 임상의학의 융화 = 17
장중경, 소원방, 왕빙 = 20
금원시대, 다양성의 시기 = 24
온병학설, 고전으로부터의 혁신 = 27
3. 중국의 한의학, 서양의학을 만나다
'서학동점'과 명말청초의 선교사 = 31
'키니네'에 대한 이야기 : 본초학에서 화학까지 = 33
중의학이 자신감을 잃기 전까지 = 35
선교의사의 공헌 = 42
서양의학에 대한 중의학의 반응 = 45
청일전쟁 패배의 충격 = 47
論爭篇
4. 공중보건과 전염병학, 중국 의료계를 흔들기 시작하다
여암과 양계초, 중의학을 비판하다 = 53
공공위생제도 개혁의 절박성 = 56
여암의 전염병학 = 60
5. 운철초와 장석순, 중서의학의 회통을 시도하다
운철초의 중서의 조화 시도 = 65
장석순:의(醫)로써 의(醫)를 보다 = 69
충중참서를 임상에 들여오다 = 72
6. 현대로 통하는 '과학공동체'
과학공동체, 중국에 뿌리를 내리다 = 77
현대 서양의학의 비약 = 79
중의학 학술 발전의 정체 = 82
醫學篇
7. 오행학설 - 한의학의 기초인가?
'오행'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가? = 89
'오행'의 상생상극 순환 = 93
근대 의학자들의 '오행'에 대한 관점 = 95
오행학설의 존폐 논쟁 = 98
8. '장기' 그리고 '장상'
장부, The Real Organ = 105
오장, not The Real Organ = 108
장상학설의 새로운 이론과 그 뿌리 = 111
임상에서의 '장상' = 114
9. 침구학의 발전
사혈에서 침자요법까지 = 119
경전에 나타난 수혈과 경락 = 121
경맥의 실체를 찾아서 = 124
수혈의 임상적 응용 = 126
침자요법이 나아갈 현대화의 길 = 128
10. '증(證)'의 생명력과 위기
'증'의 개념 = 135
'증형'의 표준화 = 137
'증'의 현대화, 그리고 이론적 위기 = 139
실제 임상으로부터 '증'의 생명력을 바라보다 = 141
現代篇
11. 현대 중서의학의 비교
중의학의 특징 = 149
서양의학은 변병을 하고, 중의학은 변증을 한다 = 153
다원적으로 병존하는 것이 중의학의 방어막이 될 수는 없다 = 155
중의학이라는 '당나귀' = 158
12. 엄정한 현대의학
속도: 중의학의 결점 = 163
현대서양의학의 정밀화 = 166
엄격한 근거중심의학 = 169
중의학, 근거중심의학을 만나다 = 173
13. 전염병을 통한 성찰
전염병을 통한 조우 = 177
의학의 과학적 무기 = 181
과학이라는 슬로건, 그리고 의학이라는 굴레 = 185
과학의 이중성: 해방성, 그리고 제재성 = 188
현대 중의학, 공신력을 얻어야 한다 = 190
저자후기 - 누가 누구를 만나는가? = 193
역자후기 = 1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