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사|생동감 넘치게 풀어가는 한의학 이야기 = 4
저자 서문|불신의 위기에서 벗어나야 한다 = 6
들어가는 말|한의학을 신비의 제단에서 끌어내려라 = 22
제1편 생명(生命)
01 건강의 본질
인체는 복잡한 평형정체(平衡整體) = 34
미시적인 연구는 ''장님이 코끼리 만지는 격'' = 35
한의학은 ''정체(整體)-평형(平衡)''의 이론을 창조 = 36
연계와 제약은 평형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 = 39
오행(五行)과 오장(五臟) = 40
오장(五臟)은 실질상 다섯 개의 계통 = 42
오행학설(五行學說)의 본질은 연계와 제약 = 43
건강의 본질은 동태평형(動態平衡) = 48
02 질병의 발생
질병의 원인은 평형실조(平衡失調) = 50
다시 돌아보는 질병 = 51
골질증식(骨質增殖)에 관한 탐구 = 52
내재평형(內在平衡)에 영향을 미치는 두 요소 = 54
정기(正氣)와 사기(邪氣) = 56
정허(正虛)와 사성(邪盛) = 59
03 외사(外邪)로 인한 질병
한의학의 병인관(病因觀) = 62
병의 원인을 찾는 변증(辨證) = 63
감염성 질병의 본질 = 65
외사(外邪)란? = 68
육음(六淫)과 전염병 = 69
04 생명의 기본물질
허(虛)와 허불수보(虛不受補) = 80
생명, 그 원동력의 기원 = 82
원음(元陰)과 원양(元陽) = 83
기(氣)의 개념과 작용 = 84
기(氣)의 전달경로 - 경락(經絡) = 91
혈(血)의 작용 = 92
체내 진액(津液)의 수포(輸布) = 95
05 인체 정기(精氣)의 창고
오장(五臟)은 ''정기(精氣)''를 저장하는 창고 = 100
한의학이 창조한 ''장상학설(藏象學說)'' = 102
오장정기(五臟精氣)의 관개(灌漑)와 응집(凝集) = 103
오장정화(五臟精華)의 표현 = 118
오관(五官)은 오장(五臟)이 외부와 정보를 교환하는 터미널 = 120
정신은 오장정기(五臟精氣)에서 탄생 = 122
06 정지(情志)와 질병
칠정(七情)과 오지(五志) = 124
정지(情志) 활동과 오장정기(五臟精氣) = 125
정지내상(情志內傷) = 126
정지상승(情志相勝) = 128
이정치정(以情治情)의 묘방 = 129
오지화화(五志化火) = 137
07 음식의 통로
육부(六腑)란? = 139
음식이 인체에 들어가는 일곱 개의 관문 = 140
음식물의 통로 - 위(胃)ㆍ소장(小腸)ㆍ대장(大腸) = 142
수음(水飮)의 통로 - 삼초(三焦)ㆍ방광(膀胱) = 145
청정지부(淸淨之府) - 담(膽) = 146
오장육부(五臟六腑)의 표리(表裏) = 147
뇌(腦)와 중풍(中風) = 150
08 내생오사(內生五邪)
풍기내동(風氣內動) = 153
한종중생(寒從中生) : 내한(內寒) = 157
화열내생(火熱內生) : 내화(內火) = 158
진상화조(津傷化燥) : 내조(內燥) = 162
습탁내생(濕濁內生) : 내습(內濕) = 164
09 담음(痰飮)과 어혈(瘀血)
담음(痰飮)이란? = 169
유형의 담(痰)과 무형의 담(痰) = 170
한담(寒痰)과 열담(熱痰) = 170
희귀병의 병인은 담(痰) = 178
음(飮)의 분류 = 181
어혈(瘀血)의 증상 = 185
어혈(瘀血)의 치료 = 188
제2편 진단(診斷)
10 망진(望診)
망신(望神) = 200
눈과 장부(臟腑)의 관계 = 203
형태와 질병 = 205
오색(五色)과 오장(五臟) = 207
정상색(正常色)과 병색(病色) = 208
오색주병(五色主病) = 211
좋은 색과 나쁜 색 = 215
11 설진(舌診)
설(舌)과 장부(臟腑)의 관계 = 218
설(舌)의 구성 = 219
설(舌)의 신(神)ㆍ색(色)ㆍ형(形)ㆍ태(態) = 219
설태(舌苔)의 형성 = 226
태색(苔色)과 태질(苔質) = 227
염태(染苔) = 231
12 문진(聞診)
소리의 발생 = 233
소리와 인체물질의 관계 = 234
소리의 네 가지 속성 = 234
금실불명(金實不鳴)과 금파불명(金破不鳴) = 237
소리로 해수(咳嗽)를 판단 = 238
질병과 냄새 = 241
13 문진(問診)
문진(問診)의 중요성 = 244
십문가(十問歌) = 245
물음의 내용과 의미 = 246
소아 문진의 요점 = 263
14 맥진(脈診)
맥박이 전하는 정보 = 267
맥진(脈診)의 부위 = 271
맥상(脈象)의 개념 = 273
평맥(平脈)이란? = 274
맥(脈)의 위(胃)ㆍ신(神)ㆍ근(根) = 275
맥상(脈象)의 구조와 의미 = 276
칠절맥(七絶脈) = 282
맥상(脈象)으로 질병의 변화를 예측 = 284
15 허(虛)와 실(實)
허증(虛證)과 실증(實證) = 287
허증(虛證)의 종류와 임상표현 = 288
장부(臟腑)의 실증(實證) = 299
''사스(SARS)''에 대한 몇 가지 생각 = 311
16 온열병(溫熱病)
온열병(溫熱病)이란? = 314
발열(發熱)의 원인과 본질 = 315
온열병(溫熱病)의 네 단계 = 317
한약의 부작용에 대한 몇 가지 생각 = 326
제3편 치료(治療)
17 한약의 치료원리
신농(神農)과 한약의 기원 = 332
사기(四氣)와 오미(五味) = 334
오미(五味)와 오장(五臟) = 337
귀경이론(歸經理論) = 339
승강부침(升降浮沉) = 344
포제(炮製)의 작용과 의미 = 348
18 처방(處方)의 비밀
처방(處方)의 조성원칙 = 355
제형(劑型)과 효능 = 361
한약 달이는 방법 = 365
한약 복용 방법 = 368
피해야 할 음식 = 369
제4편 팔법(八法)
19 한법(汗法)
병을 고치는 여덟 가지 방법 = 374
한법(汗法)이란? = 375
한법(汗法)의 원리와 표증(表證) = 376
실증(實證)을 치료하는 한법(汗法) = 376
허증(虛證)을 치료하는 한법(汗法) = 384
한법(汗法)의 금기증(禁忌症) = 392
20 토법(吐法)
토법(吐法)이란? = 395
토법(吐法)의 적용증 = 396
토법(吐法)의 운용 실례 = 397
상용하는 용토방제(涌吐方劑) = 401
토법(吐法)의 주의사항 = 404
토법(吐法) 후의 몸조리 = 405
21 하법(下法)
하법(下法)이란? = 407
하법(下法)의 용도 = 408
하법(下法)의 종류 = 410
공보겸시법(攻補兼施法) = 421
22 화법(和法)
화법(和法)이란? = 425
화법(和法)의 적용증 = 426
화해외사법(和解外邪法) = 427
장부조화법(臟腑調和法) = 429
23 온법(溫法)과 청법(淸法)
온법(溫法)과 청법(淸法)의 구별 = 436
온리산한법(溫裏散寒法) = 437
온경산한법(溫經散寒法) = 443
실열(實熱)을 제거하는 청법(淸法) = 445
허열(虛熱)의 발생원인 = 449
허열(虛熱)을 제거하는 청법(淸法) = 450
24 소법(消法)
소법(消法)이란? = 454
식적(食積)을 없애는 소법(消法) = 455
혈적(血積)을 없애는 소법(消法) = 457
기적(氣積)을 없애는 소법(消法) = 462
25 보법(補法)
보법(補法)이란? = 465
허(虛)하면 그 모장(母臟)을 보(補) = 466
배토생금법(培土生金法) = 467
금수상생법(金水相生法) = 468
자수함목법(滋水涵木法) = 469
맺음말 = 472
후기 = 476
찾아보기
병증 = 478
처방 = 4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