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기본강의) 형사소송법

(기본강의) 형사소송법 (2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권창국 權昶國
서명 / 저자사항
(기본강의) 형사소송법 / 권창국 저
발행사항
서울 :   청목출판사,   2012  
형태사항
449 p. ; 25 cm
ISBN
9788955654721
일반주기
색인수록  
000 00569namcc2200217 c 4500
001 000045700383
005 20120409151644
007 ta
008 120406s2012 ulk 001c kor
020 ▼a 9788955654721 ▼g 9335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45.51905 ▼2 22
085 ▼a 345.5305 ▼2 DDCK
090 ▼a 345.5305 ▼b 2012z6
100 1 ▼a 권창국 ▼g 權昶國 ▼0 AUTH(211009)89756
245 2 0 ▼a (기본강의) 형사소송법 / ▼d 권창국 저
260 ▼a 서울 : ▼b 청목출판사, ▼c 2012
300 ▼a 449 p. ; ▼c 25 cm
500 ▼a 색인수록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도서실(법학도서관 지하1층)/ 청구기호 345.5305 2012z6 등록번호 11166227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도서실(법학도서관 지하1층)/ 청구기호 345.5305 2012z6 등록번호 11166227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권창국(지은이)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경찰행정학과 및 법학과 졸업(법학박사) ·현 전주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경찰행정학과 부교수전주대학교 민간경비교육센터장 1993. 2. 동국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경찰행정학과 졸업(행정학사) 2000. 2.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경찰행정학과 졸업(법학석사, 형사학) 2005. 8.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법학과 졸업(법학박사, 형사법) 2001. 9. ~ 2005. 8. 서남대학교 사회과학부 경찰행정학과 전임강사 2005. 9. ~ 2011. 8. 전주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법경찰행정학부 조교수 2011. 9. ~ 2015 현재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머리말 = 3
제1부 총설 
 제1장 형사소송법의 의의와 이념, 구조 = 17
  제1절 형사소송법의 의의 = 17
  제2절 형사소송법의 이념과 구조 = 18
   1. 형사소송법의 이념 = 18
   2. 형사소송법의 구조 : 소송구조론 = 23
  제3절 형사소송법의 적용범위 = 26
 제2장 소송의 주체 : 소송주체론 = 28
  제1절 법원 = 28
   1. 관할 = 29
   2. 사건이송 = 33
   3. 공정한 법원과 제척, 기피, 회피 = 34
  제2절 검사 = 38
   1. 검사동일체원칙 = 39
   2. 검사의 소송법 상 지위 = 39
  제3절 피고인 = 40
   1. 피고인의 의의 = 40
   2. 당사자 및 방어권 주체로서 피고인의 지위 = 43
  제4절 변호인 = 53
   1. 변호인의 의의와 지위 = 53
   2. 변호인의 선임 = 53
   3. 국선변호인 = 54
   4. 변호인의 권한 = 56
 제3장 소송절차의 기초이론 = 57
  제1절 소송절차의 본질 = 57
  제2절 소송행위 = 59
   1. 소송행위의 의의와 종류 = 59
   2. 소송행위의 구성요소와 가치판단 = 60
  제3절 소송조건론 = 69
   1. 소송조건의 의의와 본질 = 69
   2. 소송조건의 유형 = 70
   3. 소송조건의 흠결 = 72
제2부 수사(搜査) 및 공소(公訴) 
 제1장 수사 = 77
  제1절 수사 기초이론 = 77
   1. 수사의 의의 = 77
   2. 수사구조론 = 78
   3. 수사조건론 = 81
  제2절 수사개시와 단서 = 87
   1. 수사개시와 단서 = 87
   2. 주요 수사단서의 유형 = 89
 제2장 임의 수사 = 104
  제1절 임의수사와 강제수사 = 104
   1. 수사의 유형구분 = 104
   2. 임의수사와 강제수사 = 105
  제2절 임의수사의 적법성과 한계 = 108
   1. 피의자신문 = 108
   2. 참고인조사 = 110
   3. 임의동행 및 보호실유치 = 110
   4. 승낙에 의한 압수수색, 검증 등 = 112
   5. 도청 = 112
   6. 사진촬영 등 영상감시 = 119
 제3장 강제수사 및 강제처분 = 120
  제1절 대물적 강제수사, 강제처분 = 121
   1. 압수수색 = 121
   2. 검증 = 136
   3. 감정 = 138
  제2절 대인적 강제수사, 강제처분 = 139
   1. 체포 = 140
   2. 구속 = 152
   3. 변호인과의 접견교통권 = 158
   4. 이중구속과 별건구속 = 159
  제3절 강제수사 및 강제처분에 대한 불복과 권리구제 = 162
   1. 피의자, 피고인의 방어방법 = 162
   2. 체포구속적부심사제도 = 165
   3. 증거보전과 증인신문의 청구 = 171
 제4장 수사종결 = 175
  제1절 수사종결과 검사의 사건처리 = 175
  제2절 기소 후 수사 = 177
  제3절 공소제기 = 181
   1. 공소권이론 = 181
   2. 공소권남용이론 = 183
   3. 공소취소 = 185
   4. 검사의 기소재량권과 통제 = 187
   5. 공소제기의 방식 = 190
   6. 공소제기의 효과 = 201
제3부 공판(公判) 
 제1장 공판절차 = 211
  제1절 공판절차의 기본원칙 = 211
   1. 공개주의 = 211
   2. 구두변론주의 = 212
   3. 직접주의 = 212
   4. 집중심리주의 및 공판중심주의 = 213
  제2절 심판대상론 = 214
 제2장 공판준비 및 공판기일절차 = 234
  제1절 공판준비절차 = 234
   1. 절차 및 내용 = 235
   2. 증거개시 = 236
  제2절 공판기일절차 = 239
   1. 모두절차 = 239
   2. 사실심리절차 = 245
   3. 간이공판절차 = 245
   4. 기타 = 248
  제3절 국민참여재판 = 250
   1. 공판절차의 특칙 = 252
   2. 배심원의 평의 및 평결 = 254
 제3장 형사증거법 = 256
  제1절 증거법 기초 = 256
   1. 증거의 유형 = 257
   2. 증거능력 및 증명력 = 258
  제2절 증거조사 = 269
  제3절 자백배제법칙 = 284
   1. 이론적 근거 = 284
   2. 자백배제법칙의 적용사례 = 288
   3. 임의성의 입증 = 291
   4. 자백 외의 진술과 임의성 = 292
  제4절 자백보강법칙 = 293
   1. 공범자의 자백과 보강법칙 = 293
   2. 보강증거적격 = 295
   3. 보강의 범위 = 296
  제5절 위법수집증거배제법칙 = 299
   1. 증거배제의 기준 = 301
   2. 파생증거의 배제 = 302
   3. 사인에 의한 위법수집증거 = 304
  제6절 전문법칙 = 305
   1. 전문증거의 의의와 전문법칙의 이론적 근거 = 305
   2. 대륙법의 직접주의 = 307
   3. 전문법칙의 적용요건 = 311
   4. 전문법칙의 예외 = 312
  제7절 증거동의 = 335
   1. 증거동의의 의의 = 335
   2. 증거동의 절차 = 338
   3. 동의의 취소 = 342
  제8절 탄핵증거 = 343
   1. 탄핵증거와 허용범위 = 343
   2. 탄핵의 대상 = 346
   3. 탄핵증거의 조사 = 346
  제9절 과학적 증거 = 347
   1. 과학적 증거의 증거능력 = 347
   2. 관련판례 = 350
  제10절 공판조서의 증명력 = 353
 제4장 재판 = 355
  제1절 재판의 개념과 유형 = 355
  제2절 재판의 성립과 방식 = 356
   1. 종국재판 = 358
   2. 무죄판결 = 371
   3. 형식재판 = 372
   4. 판결선고절차 = 379
   5. 종국재판의 부수적 효과 = 379
  제3절 재판의 효력 = 380
   1. 확정력 = 380
   2. 구속력(기판력)이 미치는 범위와 효력 = 382
   3. 집행력 = 385
   4. 일사부재리효력 = 385
제4부 상소(上訴) 및 비상구제절차(非常救濟節次) 
 제1장 상소 = 399
  제1절 상소통칙 = 399
   1. 상소 및 상소권 = 399
   2. 상소심의 구조 = 403
   3. 상소이익 = 406
   4. 불이익변경금지원칙 = 408
   5. 일부상소 = 413
   6. 파기판결의 구속력 = 417
  제2절 항소 = 419
   1. 항소심의 절차 = 419
   2. 항소심의 심리와 재판 = 419
  제3절 상고 = 421
   1. 상고심의 절차 = 421
   2. 상고심의 심리와 재판 = 421
   3. 비약적 상고 = 423
   4. 판결정정절차 = 423
  제4절 항고 = 423
   1. 항고의 유형 = 423
   2. 항고절차 = 424
   3. 준항고절차 = 425
 제2장 비상구제절차 = 426
  제1절 재심 = 426
   1. 재심사유 = 427
   2. 재심개시절차 = 430
   3. 재심심판절차 = 432
  제2절 비상상고 = 433
   1. 비상상고의 사유 = 433
   2. 비상상고의 절차 = 435
제5부 약식명령(略式命令) 및 즉결심판(卽決審判) 
 제1장 약식명령 = 439
  제1절 약식명령의 의의 = 439
  제2절 약식명령의 청구와 심판 = 439
 제2장 즉결심판 = 443
  제1절 즉결심판의 의의 = 443
  제2절 즉결심판의 청구와 심판 = 443
찾아보기 = 447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