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ⅴ
UNIT Ⅰ 총론
CHAPTER 1 인체의 기능적 구조와 "내부 환경"의 조절 / 민선식 ; 이종은 = 3
세포 - 인체의 구성단위 = 3
세포외액 - "내환경" = 3
주요 기능계의 "항상성" 조절 = 4
인체의 조절기관 = 6
요약-신체의 자동성 = 9
CHAPTER 2 세포와 그 작용 / 김찬 ; 최윤희 = 11
세포의 구조 = 11
세포의 물리적 구조 = 12
동물세포와 비세포 생명체와의 비교 = 18
세포의 기능적인 구조 = 19
세포의 움직임 = 24
CHAPTER 3 유전자에 의한 단백합성, 세포작용, 세포 재생산의 조절 / 김찬 ; 최윤희 = 29
세포 핵 내의 유전자 = 29
핵에 있는 DNA 유전부호의, 세포질의 RNA 유전부호로의 이동 - 전사과정 = 32
세포 내 다른 물질들의 합성 = 37
세포 내 생화학적 작용과 유전 기능의 조절 = 38
DNA - 유전 시스템은 세포 재생산도 조절한다 = 40
세포 분화 = 43
세포자멸사 - 세포예정사 = 44
암 = 44
UNIT Ⅱ 신경과 근육에서의 막 생리
CHAPTER 4 세포막을 통한 물질이동 / 박진봉 ; 방효원 = 49
세포막의 지질 장벽과 세포막 수송단백질 = 49
확산 = 50
세포막을 통한 "능동운반" = 57
CHAPTER 5 세포막전위와 활동전위 / 박진봉 ; 정승준 = 63
세포막전위의 기본적 물리현상 = 63
세포막전위의 측정 = 64
신경의 안정막전위 = 65
신경세포의 활동전위 = 67
활동전위에서 다른 이온들의 역할 = 70
활동전위의 전파 = 71
활동전위 종료 후 소듐과 포타슘 이온의 농도 경사 회복 - 에너지대사의 중요성 = 72
고원기를 가지는 활동전위 = 73
흥분성 세포의 율동성-반복적인 흥분발사 = 73
신경간 정보전도의 특징 = 74
흥분 - 활동전위의 발생과정 = 75
세포막전위와 활동전위의 기록 = 76
CHAPTER 6 골격근 수축 / 방효원 ; 박진봉 ; 민선식 = 79
골격근의 생리적 구조 = 79
근 수축의 일반적 기전 = 82
근 수축의 분자기전 = 82
근 수축의 에너지학 = 86
전체 근육 수축의 특성 = 87
CHAPTER 7 골격근의 흥분: A. 신경근 신호전달 B. 흥분-수축 연결 / 천상우 ; 김형규 = 93
신경말단에서 골격근 섬유로의 신경 자극 전달: 신경근 이음부 = 93
아세틸콜린의 형성과 분비에 관한 분자생물학 = 96
신경근 이음부에서 전달을 증가 혹은 차단시키는 약물들 = 96
근무력증은 근마비를 일으킨다 = 97
근육 활동전위 = 97
흥분-수축 연결 = 97
CHAPTER 8 평활근의 흥분과 수축 / 방효원 ; 천상우 = 101
평활근 수축 = 101
평활근 수축에 대한 신경과 호르몬의 조절 = 105
UNIT Ⅲ 심장
CHAPTER 9 심장근육: 펌프로서의 심장 / 조영욱 ; 박진봉 = 113
심장근육 생리 = 113
심장주기 = 116
심음과 심장기능과의 관계 = 120
심장의 일 = 120
심장 수축에 필요한 화학 에너지: 산소 이용률 = 122
심장 펌프 기능의 조절 = 122
CHAPTER 10 심장의 율동적인 흥분 발생 / 조영욱 ; 박진봉 = 127
심장의 특수한 흥분 전도계 = 127
심장의 흥분 전도의 조절 = 130
CHAPTER 11 심전도 / 조영욱 ; 이재용 = 133
정상 심전도의 특성 = 133
심전도의 기록법 = 135
심장주기 동안 심장 주위에서의 전류의 흐름 = 135
심전도유도 = 136
CHAPTER 12 심근과 관상혈류 이상의 심전도 해석: 벡터 분석 / 조영욱 ; 방효원 = 139
벡터를 이용한 심전도 분석 = 139
벡터를 이용한 정상 심전도 파형의 분석 = 141
심실 QRS파의 평균 전기축과 그 의미 = 144
QRS파의 전압 크기에 이상을 일으키는 상황들 = 147
QRS파의 지속시간과 비정상적인 형태의 변화 = 148
손상전류 = 148
T파의 이상 = 152
CHAPTER 13 심장부정맥과 심전도를 이용한 분석 / 조영욱 ; 방효원 = 155
비정상 굴심방결절 리듬 = 155
흥분전도차단에 의한 부정맥 = 156
조기수축 = 158
발작성 빠른맥(발작성 빈맥) = 160
심실세동 = 161
심방세동 = 164
심방조동 = 165
심정지 = 165
UNIT Ⅳ 순환
CHAPTER 14 순환의 개요: 혈압, 혈류, 혈류저항의 물리학적 특성 / 이윤렬 ; 이재용 = 169
순환의 물리적 특징 = 169
순환기능에 대한 기본적인 이론 = 170
혈압, 혈류, 저항의 상호 관계 = 171
CHAPTER 15 혈관의 팽창성, 그리고 동맥계와 정맥계의 기능 / 이윤렬 ; 임채헌 = 179
혈관의 팽창성 = 179
동맥압의 압력 박동 = 180
정맥과 그 기능 = 184
CHAPTER 16 미세순환과 림프계: 모세혈관 액체 교환, 간질액 그리고 림프 순환 / 이윤렬 ; 임채헌 = 189
미세순환과 모세혈관계의 구조 = 189
모세혈관에서 혈액의 흐름 - 혈관운동 = 190
혈액과 간질액 사이의 물, 영양물질 및 여러 물질의 교환 = 191
간질과 간질액 = 192
모세혈관을 가로 지르는 용액의 여과는 정수압, 교질 삼투압 및 모세혈관 여과상수에 의해서 결정된다 = 193
림프계 = 198
CHAPTER 17 국소혈류량의 조절(체액성 조절) / 김세훈 ; 진영호 = 203
조직의 필요에 의한 국소혈류량 조절 = 203
혈류 조절기전 = 204
순환의 체액성 조절 = 210
CHAPTER 18 순환의 신경성 조절과 신속한 혈압 조절 / 김세훈 ; 진영호 = 213
순환의 신경성 조절 = 213
신경계에 의한 혈압의 신속한 조절 = 216
신경에 의한 혈압 조절의 특징 = 221
CHAPTER 19 콩팥에 의한 혈압의 장기적 조절과 고혈압 / 김세훈 ; 이종은 = 223
콩팥 - 체액 시스템에 의한 혈압 조절 = 223
레닌-안지오텐신 계: 혈압 조절기능 = 229
혈압 조절 시스템 요약 = 236
CHAPTER 20 심박출량과 정맥환류 및 이들의 조절 / 이윤렬 ; 김세훈 = 239
안정 시 및 활동 시 정상 심박출량 = 239
정맥환류에 의한 심박출량 조절 - 프랭크-스탈링 기전 = 239
병리적으로 높은 심박출량 혹은 낮은 심박출량 = 242
심박출량을 측정하는 방법 = 250
CHAPTER 21 운동 시 근혈류량과 심박출량: 관상순환과 허혈성 심질환 / 김찬 ; 전병화 = 253
안정 시와 운동할 때의 골격근에서의 혈류 조절 = 253
관상순환 = 256
CHAPTER 22 심부전 / 전병화 ; 김세훈 = 265
심부전에서 순환의 역학 = 265
일측 좌심장 부전 = 269
낮은 심박출성 심부전증 - 심인성 쇼크 = 269
심부전 환자의 부종 = 269
심장의 예비능력 = 271
CHAPTER 23 심장 판막과 심음: 심장 판막과 유전성 심장질환 / 전병화 ; 김세훈 = 277
심음 = 277
심판막질환에서 비정상적인 순환역학 = 280
선천성 심장질환에서 비정상적인 순환역학 = 281
심장수술 시 체외순환의 이용 = 283
심장 판막질환과 선천성 심장질환에 의한 심장비대 = 284
CHAPTER 24 순환성 쇼크와 치료 / 김세훈 ; 임채헌 = 285
쇼크의 생리적 원인 = 285
혈액량 감소에 의한 쇼크 - 출혈성 쇼크 = 286
신경성 쇼크 - 혈관의 혈액저장용량의 증가 = 291
아나필락틱 쇼크와 히스타민 쇼크 = 291
패혈성 쇼크 = 291
쇼크 치료의 생리기전 = 292
순환마비 = 293
UNIT Ⅴ 체액과 콩팥
CHAPTER 25 체액 구획: 세포외액과 세포내액, 부종 / 이종은 ; 이서은 = 297
정상 상태에서 물의 섭취 및 배설의 균형 = 297
체액 구획 = 298
세포외액 = 298
혈액 부피 = 298
세포내외액의 조성 = 299
체액부피 측정 - 지시약희석법 = 299
체액 부피 측정 = 301
세포내외액간 체액 교환 및 삼투 평형 조절 = 301
삼투와 삼투압의 기본 원리 = 301
세포내외액 사이 삼투 평형 = 303
비정상 상태에서 세포내외액 부피와 삼투 농도 = 303
영양물질로서 포도당 또는 다른 용액을 투여하는 경우 = 305
체액부피 조절 이상: 저소듐혈증과 고소듐혈증 = 305
부종: 과도한 체액 축적 = 307
잠복강 = 310
CHAPTER 26 콩팥의 요생성:Ⅰ. 사구체여과, 콩팥혈류량 및 그 조절 / 이종은 ; 한재희 = 313
콩팥의 기능 = 313
콩팥의 기능적 구조 = 314
배뇨 = 316
방광의 생리적 구조 = 317
요도를 통한 오줌 수송 = 318
방광 충만 및 방광벽 장력: 방광내압곡선 = 318
배뇨반사 = 319
배뇨 이상 = 319
사구체여과, 세관 재흡수 및 세관 분비 = 320
사구체여과 - 오줌 생성의 첫 번째 단계 = 321
사구체여과율 결정인자 = 322
콩팥혈류량 = 324
사구체여과량과 콩팥혈류량 조절 = 326
사구체여과율과 콩팥혈류량의 자동조절 = 327
CHAPTER 27 콩팥의 요생성:Ⅱ. 세관 재흡수와 분비 / 이종은 ; 한재희 = 331
세관 재흡수와 분비 = 331
수동 또는 능동기전에 의한 세관 재흡수 = 331
네프론의 부위에 따른 재흡수와 분비= 336
세관 재흡수 조절 = 341
콩팥 기능 측정 청소율 = 345
CHAPTER 28 세포외액 삼투 농도와 소듐 농도 조절 / 양훈모 ; 이종은 = 351
희석뇨를 형성하여 과다 수분을 배설하는 콩팥의 기능 = 351
콩팥은 농축뇨를 배설하여 수분을 보존한다 = 352
요농축과 희석의 정량분석: 삼투물질 청소율 및 유리 수분 청소율 = 359
요농축 장애 질환 = 360
세포외액 삼투 농도와 소듐 농도 조절 = 360
삼투 수용체 - ADH 되먹임 = 361
세포외액 삼투 농도와 염분 농도 조절에 갈증의 중요성 = 362
세포외액 소듐 농도와 세포외액량을 조절하기 위한 염분 섭취 = 365
CHAPTER 29 혈액량과 세포외액량 조절: 포타슘, 칼슘, 인산염, 마그네슘 조절 / 김수미 ; 양훈모 = 367
세포외액 포타슘 농도 조절과 포타슘 배설 = 367
콩팥의 칼슘 배설과 세포외액 칼슘 이온 농도 조절 = 373
콩팥에 의한 마그네슘 배설과 세포외액 마그네슘 농도 조절 = 376
콩팥을 통한 세포외액의 조절 = 376
소듐과 체액 균형을 유지하는 혈압 - 이뇨기전의 중요성 = 377
간질 공간과 혈관계 사이에 세포외액의 분포 = 379
신경과 호르몬은 콩팥 - 체액 되먹임 조절작용의 효율을 증가시킨다 = 380
소듐 섭취 변화에 대한 통합반응 = 382
혈액량과 세포외액량을 크게 증가시키는 상황들 = 383
세포외액량은 크게 증가시키나 혈액량은 정상인 상태 = 383
CHAPTER 30 산-염기 조절 / 한재희 ; 양훈모 = 387
수소이온은 정교하게 조절된다 = 387
산과 염기 - 정의와 의미 = 387
수소이온 농도 변화를 막는 기전: 완충제와 폐, 콩팥 = 388
체액에서의 수소이온 완충 = 389
중탄산염완충계 = 389
인산염완충계 = 391
단백질은 중요한 세포내액 완충제이다 = 392
산-염기 균형의 호흡 조절 = 392
산-염기 균형의 콩팥 조절 = 394
콩팥세관에 의한 수소이온 분비와 중탄산염 재흡수 = 395
과잉 수소이온은 세관에 존재하는 인산염과 암모니아와 결합하여 "새로운" 중탄산염을 형성한다 = 397
콩팥으로 배설되는 산-염기 정량 = 399
콩팥에 의한 산증의 교정 - 수소이온의 배설 증가 및 세포외액에 중탄산염 추가 = 401
콩팥에 의한 알칼리증 교정 - 수소이온의 세관 분비 감소와 중산탄염의 배설 증가 = 402
산-염기 장애의 임상적 원인 = 402
산증 또는 알칼리증 치료 = 404
산-염기 장애의 임상적 평가와 분석 = 404
CHAPTER 31 이뇨제, 콩팥병 / 한재희 ; 이서은 = 409
이뇨제와 그 작용기전 = 409
콩팥병 = 411
급성신부전(acute renal failure) = 412
만성신부전(chronic renal failure): 기능을 하는 네프론 수의 비가역적 감소 = 414
특정 세관 질환 = 422
신부전 치료: 콩팥이식 또는 인공콩팥에 의한 투석 = 423
UNIT Ⅵ 혈구, 면역 및 혈액응고
CHAPTER 32 적혈구, 빈혈, 적혈구증가증 / 김찬 ; 한승호 = 429
적혈구 = 429
빈혈 = 436
적혈구증가증 = 438
CHAPTER 33 감염에 대한 인체의 방어:Ⅰ. 백혈구, 과립구, 단핵구성 대식세포 시스템, 그리고 염증 / 최윤희 ; 배현수 ; 김현우 = 441
백혈구 = 441
호중구와 대식세포의 방어 특성 = 443
단핵구 대식세포 체계(세망내피 체계) = 445
염증과 호중구와 대식세포의 역할 = 446
호산구 = 449
호염구 = 450
백혈구 감소증 = 450
백혈병 = 450
CHAPTER 34 감염에 대한 인체의 방어:Ⅱ. 면역과 알러지 / 최윤희 ; 배현수 ; 한승호 = 453
획득면역 = 453
알러지와 과민성 = 464
CHAPTER 35 혈액형; 수혈; 조직 및 장기 이식 / 배현수 ; 한승호 = 467
혈액의 면역반응을 유발하는 항원성 = 467
O-A-B 혈액형군 = 467
Rh 혈액형군 = 469
조직 및 장기이식 = 471
CHAPTER 36 지혈과 혈액응고 / 임채헌 ; 한승호 = 473
지혈에서 일어나는 현상 = 473
혈관 수축 = 473
혈액응고의 기전 = 475
인체에서 심각한 출혈을 유발하는 조건 = 480
인체에서 혈전 색전성 상태 = 481
항응고제의 임상적 용도 = 482
혈액응고 테스트 = 483
UNIT Ⅶ 호흡
CHAPTER 37 폐환기 / 이재용 ; 권혁일 = 489
폐환기의 기계역학 = 489
폐용적과 용량 = 493
분시호흡량 = 495
폐포환기 = 495
기도의 기능 = 496
CHAPTER 38 폐순환, 폐부종, 흉수 / 이재용 ; 조영욱 = 501
폐순환계의 생리학적 해부 = 501
폐순환계의 혈압 = 501
폐순환 혈액량 = 502
폐혈류 및 폐혈액의 분포 = 502
정수압이 폐의 국소 폐혈류에 미치는 영향 = 503
폐모세혈관 혈류역학 = 505
흉막강과 흉수 = 507
CHAPTER 39 가스교환의 물리적 원리; 호흡막을 통한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확산 / 권혁일 ; 정승준 = 509
가스확산과 가스분압의 물리학 = 509
폐포공기와 대기공기의 조성은 다르다 = 511
호흡막을 통한 가스의 확산 = 513
폐포 가스농도에 미치는 환기 ; 관류비의 영향 = 513
CHAPTER 40 혈액과 조직액에서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운반 / 권혁일 ; 정승준 = 521
폐에서 신체조직으로 산소의 운반 = 521
혈액에서 이산화탄소의 운반 = 529
호흡교환비율 = 531
CHAPTER 41 호흡의 조절 / 정승준 ; 이서은 = 533
호흡중추 = 533
호흡의 화학적 조절 = 535
말초화학 수용체의 호흡 조절작용 - 호흡 조절에서 산소의 역할 = 536
운동 시의 호흡 조절 = 538
호흡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요인들 = 540
CHAPTER 42 호흡기능 부전 - 병태생리학, 진단 및 산소요법 / 임채헌 ; 정승준 = 543
호흡기능 이상을 연구하는 유용한 방법 = 543
폐기능 이상시에 관찰되는 생리학적 특성 = 545
저산소증과 산소용법 = 548
이산화탄소 과다증 = 550
인공호흡 = 551
UNIT Ⅷ 항공, 우주, 및 심해잠수
CHAPTER 43 항공생리학, 고소생리학 및 우주생리학 / 김찬 ; 방효원 = 555
저산소압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 555
항공과 우주생리에서 가속력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 559
밀폐된 우주선에서의 "인공기후" = 561
우주에서의 무중력 = 562
CHAPTER 44 심해잠수와 기타 고압 환경의 생리 / 김찬 ; 이종은 = 565
높은 기체 분압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 565
스쿠바 다이빙 = 569
잠수함에서 특별한 생리적 문제 = 570
고압산소 치료요법 = 570
UNIT Ⅸ 신경계: A. 일반 원칙과 감각
CHAPTER 45 신경계 구성: 시냅스의 기본 기능과 전달물질 / 구용숙 ; 민병일 = 575
신경계의 일반적 구성 = 575
중추신경계의 기능상 주요 부위 = 577
신경계와 컴퓨터와의 비교 = 578
중추신경계의 시냅스 = 578
시냅스전달의 특성의 특성 = 590
CHAPTER 46 감각감수기: 정보전달의 신경회로 / 구용숙 ; 민병일 = 593
감각감수기의 형태와 자극인식 = 593
감각자극의 신경자극으로의 전환 = 594
다른 종류의 신호를 전달하는 신경섬유와 그 생리학적 분류 = 597
신경로에서 자극강도에 따르는 신호전달 - 공간 및 시간가중 = 598
신경세포집단에서 신호의 전달과 처리 신호전달과 그 처리 = 599
신경회로의 불안정성과 안정성 = 603
CHAPTER 47 체성감각:Ⅰ. 체성감각의 전체구성, 촉각과 위치감각 / 정승준 ; 민병일 = 607
체성감각의 분류 = 607
촉각의 감지와 전달 = 607
중추신경계로 체성감각신호를 전달하는 감각경로 = 609
배척주 - 안쪽섬유띠계의 정보전달 = 609
앞가쪽경로를 통한 덜 중요한 감각정보의 전달 = 616
체성감각기능의 특별한 점들 = 618
CHAPTER 48 체성감각:Ⅱ. 통증, 두통과 온도감각 / 정승준 ; 민병일 = 621
통증의 형태와 질 - 빠른 통증과 느린 통증 = 621
통증 수용체와 자극 = 621
통증 신호의 중추신경계로의 이중전달 = 622
뇌와 척수에서의 "진통"계 = 625
연관통 = 626
내장통증 = 627
통각의 임상적 이상과 기타 체성감각 = 628
두통 = 629
온도감각 = 631
UNIT Ⅹ 신경계: B. 특수감각
CHAPTER 49 The Eye:Ⅰ. 시광학 / 진경현 ; 이재용 = 637
광학의 물리 법칙 = 637
눈의 광학 = 640
검안경 = 646
눈의 액체 시스템 - 안구내 액체 = 646
CHAPTER 50 The Eye:Ⅱ. 망막의 수용체와 신경기능 / 진경현 ; 구용숙 = 651
망막 구조요소의 해부와 기능 = 651
시각의 광화학 = 653
색각 = 658
망막의 신경기능 = 660
CHAPTER 51 The Eye:Ⅲ. 시각의 중추신경생리 / 진경현 ; 구용숙 = 667
시각경로 = 667
시각겉질의 구조 및 기능 = 668
시각 영상 분석 시 자극의 신경 패턴 = 670
시야: 시야계 = 671
안운동과 조절 = 672
초점조절과 동공의 자율적인 조절 = 675
CHAPTER 52 청각 / 박병림 ; 최윤희 = 679
고막과 이소골계 = 679
달팽이관 = 680
청각 중추 기전 = 685
청각 이상 = 688
CHAPTER 53 화학적 감각 - 미각과 후각 / 천상우 ; 최윤희 = 691
미각 = 691
후각 = 695
UNIT XI 신경계: C. 운동 및 통합 신경생리학
CHAPTER 54 척수의 운동기능; 척수반사 / 박병림 ; 천상우 = 703
운동기능을 위한 척수의 구조 = 703
근감각수용체-근방추와 골지건기관-그리고 근조절에 대한 역할 = 705
굴근반사와 회피반사 = 710
교차신근반사 = 711
상반억제와 상호신경지배 = 711
자세와 이동반사 = 712
긁기반사 = 713
근강직을 유도하는 척수반사 = 713
척수의 자율신경반사 = 713
척수절단과 척수 쇼크 = 713
CHAPTER 55 운동기능에 대한 대뇌겉질 및 뇌간의 조절 / 박병림 ; 김동관 = 715
운동겉질과 겉질척수신경로 = 715
운동기능 조절에서 뇌간의 역할 = 721
전정감각과 평형의 유지 = 723
잠재적이고 정형화된 동작의 조절에서 뇌간신경핵의 기능 = 727
CHAPTER 56 전체적 운동조절에서 소뇌와 바닥핵의 역할 / 김동관 ; 박병림 = 729
소뇌와 운동기능 = 729
바닥핵 - 운동기능 = 738
운동조절 시스템 각 부위의 통합 = 742
CHAPTER 57 대뇌겉질, 뇌의 지적 기능, 학습과 기억 / 김형규 ; 한승호 ; 김동관 = 745
대뇌겉질의 생리해부 = 745
특정 겉질영역의 기능 = 746
의사소통에 있어서 뇌의 기능 - 언어입력과 언어출력 = 751
양쪽 대뇌겉질 사이에서 사고, 기억, 훈련, 그리고 기타 정보를 전달하는 뇌량과 앞맞교차의 기능 = 753
사고, 의식, 그리고 기억 = 754
CHAPTER 58 뇌의 행동과 동기유발기전 - 변연계와 시상하부 / 정승준 ; 한승호 ; 김동관 = 759
뇌의 활성 - 촉구계 = 759
변연계 = 762
변연계의 기능적 해부; 시상하부의 중요 부위 = 762
변연계의 주 조절 본부인 시상하부 = 763
변연계 기타 부위의 특수기능 = 767
CHAPTER 59 뇌의 활동 상태 - 수면, 뇌파, 간질, 정신병 / 민선식 ; 한승호 ; 방효원 = 771
수면 = 771
간질 = 775
정신이상 행동과 치매 - 특수 신경전달물질계의 역할 = 775
정신분열증 - 일부 도파민계 기능의 항진 가능성 = 777
CHAPTER 60 자율신경계와 부신속질 / 민병일 ; 박병림 = 781
자율신경계의 일반적 조직 = 781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 기능의 기본적 특징 = 783
자율신경반사 = 790
교감신경계와 부교감신경계에 의한 어떤 예에서의 개개 기관의 자극과 다른 예에서의 집단 자극 = 791
자율신경계 약리학 = 792
CHAPTER 61 뇌혈류, 뇌척수액, 그리고 뇌의 대사 / 민병일 ; 박병림 = 795
뇌혈류 = 795
뇌척수액계 = 798
뇌의 대사 = 801
UNIT XII 소화
CHAPTER 62 위장관 기능의 일반적 원리 - 운동성, 신경성 조절 그리고 혈액순환 / 한승호 ; 김수미 = 805
위장관 운동성의 일반적 원리 = 805
위장관 기능의 신경성 조절 - 장관신경계 = 807
위장관 운동성의 기능적 종류 = 811
위장관 혈류 - "내장 순환" = 812
CHAPTER 63 소화관에서 음식물의 추진 및 혼합 / 한승호 ; 김수미 = 817
음식물의 섭취 = 817
위의 운동기능 = 820
소장의 운동 = 823
결장의 운동 = 824
장의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기타 자율성 반사 = 826
CHAPTER 64 소화관의 분비기능 / 한승호 ; 김현우 = 829
소화관 분비의 일반적 원리 = 829
타액 분비 = 831
식도의 분비 = 833
위샘 분비 = 833
췌장 분비 = 837
간에 의한 담즙의 분비, 담도계의 기능 = 841
소장의 분비 = 844
대장에서의 점액 분비 = 845
CHAPTER 65 위장관에서의 소화와 흡수 / 김현우 ; 김수미 = 847
가수분해에 의한 다양한 음식물의 분해 = 847
위장관 흡수의 기본원리 = 851
소장에서의 흡수 = 853
대장에서의 흡수: 대변의 형성 = 856
CHAPTER 66 위장관 장애의 생리학 / 김현우 ; 김수미 = 859
식도 및 연하 장애 = 859
위의 장애 = 859
소장의 장애 = 861
대장의 장애 = 862
위장관의 일반적 장애 = 863
UNIT XIII 대사와 체온 조절
CHAPTER 67 탄수화물대사와 ATP 형성 / 이서은 ; 김찬 = 869
탄수화물대사에서 포도당의 중심역할 = 870
세포막을 통한 포도당 운반 = 870
간과 근육은 글리코겐을 저장한다 = 871
해당작용에 의한 포도당으로부터 에너지 유리 = 872
인산펜토스경로에 의한 포도당에서의 에너지 유리 = 877
단백질 및 지방으로부터 탄수화물의 형성 - "포도당신합성" = 878
혈당 = 879
CHAPTER 68 지질대사 / 이서은 ; 이기호 = 881
체액에서 지질의 운반 = 881
지방 저장 = 884
에너지 생산을 위한 트리글리세리드의 이용: ATP 형성 = 884
트리글리세리드로부터 에너지 생산의 조절 = 888
인지질 및 콜레스테롤 = 889
죽상동맥경화증 = 891
CHAPTER 69 단백질대사 / 이서은 ; 이기호 = 895
기본적인 특성 = 895
아미노산의 수송 및 저장 = 895
혈장단백질의 기능적 역할 = 897
단백질대사의 호르몬 조절 = 900
CHAPTER 70 기관으로서의 간 / 이서은 ; 김찬 = 903
간의 생리학적 구조 = 903
간의 혈관계 및 림프계 = 904
간의 대사기능 = 905
임상 진단 도구로서 쓸개즙 속 빌리루빈의 측정 = 907
CHAPTER 71 식이균형, 식이조절, 비만 및 영양부족, 비타민 그리고 미네랄 / 진영호 ; 김찬 = 911
에너지의 섭취와 소비는 항정 상태에서는 균형 상태가 유지된다 = 911
식사의 균형 = 911
식품 섭취와 에너지 저장의 조절 = 913
비만 = 918
기아쇠약, 식욕부진, 악액질 = 921
기아 = 921
비타민 = 922
무기질대사 = 926
CHAPTER 72 에너지론과 대사율 / 김찬 ; 민선식 = 929
대사의 "에너지 화폐"로서 ATP의 기능 = 929
세포에서의 에너지 생성의 조절 = 932
대사율 = 932
에너지대사 - 에너지 배출에 영향을 주는 요인 = 933
CHAPTER 73 체온조절과 열 / 진영호 ; 김찬 ; 민선식 = 937
정상 체온 = 937
체온은 열생산과 열손실의 균형을 유지함으로써 조절된다 = 937
체온의 조절 - 시상하부의 역할 = 941
체온조절의 이상 = 945
UNIT XIV 내분비와 생식
CHAPTER 74 내분비학 개론 / 권혁일 ; 이기호 = 951
화학전령에 의한 신체기능의 조정 = 951
호르몬의 화학구조와 합성 = 952
호르몬 분비, 운반 그리고 혈액으로부터 청소 = 955
호르몬의 작용기전 = 957
혈액에서 호르몬 농도의 측정 = 963
CHAPTER 75 뇌하수체호르몬과 시상하부에 의한 조절 / 권혁일 ; 민영기 = 967
뇌하수체와 시상하부와의 관계 = 967
시상하부는 뇌하수체호르몬의 분비를 조절한다 = 969
성장호르몬의 생리적 기능 = 971
뇌하수체후엽과 시상하부와의 관계 = 977
CHAPTER 76 갑상샘대사호르몬 / 민영기 ; 권혁일 = 981
갑상샘대사호르몬의 합성과 분비 981
갑상샘호르몬의 생리학적 기능 984
갑상샘호르몬 분비의 조절 988
갑상샘 질환 990
CHAPTER 77 부신겉질호르몬 / 김수미 ; 민영기 = 995
부신겉질호르몬의 합성과 분비 = 995
염류코티코이드의 기능 - 알도스테론 = 998
당류코르티코이드의 기능 = 1002
부신 안드로젠 = 1008
부신겉질 분비의 비정상 = 1008
CHAPTER 78 인슐린, 글루카곤과 당뇨병 / 박형서 ; 이종은 = 1013
인슐린과 대사기능 = 1013
글루카곤과 그 기능 = 1021
소마토스타틴의 인슐린과 글루카곤 분비 감소 효과 = 1022
혈당 조절기전 요약 = 1023
당뇨병 = 1023
CHAPTER 79 부갑상샘호르몬, 칼시토닌, 칼슘과 인의 대사, 비타민 D, 뼈, 치아 / 박형서 ; 민영기 = 1029
세포외액 및 혈장에서 칼슘 및 인의 조절에 대한 개요 = 1029
뼈와 세포 외 칼슘 및 인의 관계 = 1031
비타민 D = 1035
부갑상샘호르몬(PTH) = 1037
칼시토닌 = 1041
칼슘 이온 농도 조절의 요약 = 1041
부갑상샘호르몬, 비타민 D와 골격질환의 병태생리 = 1042
치아생리 = 1044
CHAPTER 80 남성의 생식과 호르몬기능(그리고 송과샘의 기능) / 이기호 ; 박형서 = 1049
남성 성기관의 생리학적 구조 = 1049
정자발생 = 1049
남성 성행위 = 1055
테스토스테론과 다른 남성 성호르몬 = 1056
남성 성기능의 이상 = 1062
남성 발기 장애 = 1063
송과샘 - 일부의 동물에서 계절적 생식력을 조절하는 기능 = 1064
CHAPTER 81 임신 전 여성의 생리와 여성호르몬 / 이기호 ; 박형서 = 1067
여성 성기관의 생리적 해부 = 1067
여성호르몬계 = 1067
월별 난소 주기, 성선호르몬의 기능 = 1068
난소호르몬의 기능 - 에스트라디올과 프로게스테론 = 1072
여성의 매월 리듬의 조절 - 난소와 시상하부-뇌하수체 호르몬 사이의 상호작용 = 1077
난소로부터 분비의 이상 = 1080
여성의 성행위 = 1081
여성의 생식능력 = 1082
CHAPTER 82 임신과 수유 / 이기호 ; 박형서 = 1085
난자의 성숙과 수정 = 1085
배아의 초기 영양 = 1087
태반의 기능 = 1087
임신에서 호르몬인자들 = 1089
임신에 대한 모체의 신체의 반응 = 1092
분만 = 1094
수유 = 1098
CHAPTER 83 태아와 신생아 생리학 / 이기호 ; 박형서 = 1103
태아의 성장과 기능의 발생 = 1103
기관계의 발생 = 1103
자궁밖 생활에 유아의 적응 = 1105
신생아에서 특별한 기능적 문제들 = 1108
미성숙의 특별한 문제들 = 1111
소아의 성장과 발달 = 1112
UNIT XV 스포츠
CHAPTER 84 운동생리학 / 김찬 ; 방효원 = 1117
운동 상황의 근육 = 1117
운동 시 호흡 = 1123
운동 동안의 심혈관계 = 1125
운동 시 체온변화 = 1126
운동 동안의 수분과 염분 = 1127
운동선수와 약물복용 = 1127
건강한 체력을 통한 생명연장 = 1128
찾아보기 = 1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