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지방자치행정론

지방자치행정론 (17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선정
서명 / 저자사항
지방자치행정론 / 김선정 지음
발행사항
파주 :   한국학술정보,   2012  
형태사항
364 p. ; 25 cm
ISBN
9788926831083
일반주기
부록: 1. 지방분권촉진에 관한 특별법, 2. 지방자치법  
서지주기
참고문헌 수록
000 00696camcc2200253 c 4500
001 000045700039
005 20120406193023
007 ta
008 120405s2012 ggk b 000c kor
020 ▼a 9788926831083 ▼g 93350
035 ▼a (KERIS)BIB000012726756
040 ▼a 211062 ▼c 211062 ▼d 211009
082 0 4 ▼a 352.14 ▼2 22
085 ▼a 352.14 ▼2 DDCK
090 ▼a 352.14 ▼b 2012z2
100 1 ▼a 김선정 ▼0 AUTH(211009)23436
245 1 0 ▼a 지방자치행정론 / ▼d 김선정 지음
246 1 1 ▼a Local government
260 ▼a 파주 : ▼b 한국학술정보, ▼c 2012
300 ▼a 364 p. ; ▼c 25 cm
500 ▼a 부록: 1. 지방분권촉진에 관한 특별법, 2. 지방자치법
504 ▼a 참고문헌 수록
945 ▼a KLPA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52.14 2012z2 등록번호 11166215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52.14 2012z2 등록번호 12121910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52.14 2012z2 등록번호 11166215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52.14 2012z2 등록번호 12121910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본서는 학문적인 흐름과 목적을 놓치지 않으면서 지방자치행정을 처음 접하는 독자들에게 쉽고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입문서가 되도록 구성하였다. 그리고 저자의 강의 경험을 바탕으로 책 부피를 줄이면서도 전체적인 통일성에 심혈을 기울였다.

이제 권력을 주민에 가까이에 두면서 민주화와 효율화를 함께 도모하지 않으면 안 되는 세계사적 흐름이 세계화, 정보화, 지방화인 것이다. 특히, 세계화 과정 속에서 나타나고 있는 역설적인 현상은 지방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는 점이다. 기존의 체제는 국가 중심적 발전을 도모하는 것이 주된 입장이었으나 지방의 독특한 특성을 배경으로 지방이 세계로 연결되어 국가 내의 지방 단위적 발전이 궁극적으로 국가발전과 연계되는 양상을 보여 주고 있다.
이러한 학문적인 흐름과 목적을 놓치지 않으면서 지방자치행정을 처음 접하는 독자들에게 쉽고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입문서가 되도록 노력하였다. 그리고 강의 경험을 바탕으로 부피를 줄이면서도 전체적인 통일성에 심혈을 기울이려고 노력하였다. 이러한 특징을 바탕으로 대학에서 한 학기 강의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쓰였지만 정착 마치고 나니 아쉬움이 많이 남는다. 앞으로 독자 여러분들의 지도편달을 통해 계속 버리고, 다듬고, 채우는 일에 소홀함이 없도록 할 것이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김선정(지은이)

저자는 단국대학교에서 행정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고, 현재 서울사이버대학교 법무행정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정치학의 이해』(2021), 『행정조직론』(2021), 『인간관계론』(2019), 『행정학의 이해』(2014), 『지방자치행정론』(2012), 『정책 학의 이해』(2011), 『한국인사행정론』(2010) 등이 있다. 모든 학 문의 시원(始原)에서는 만나고 통한다고 했고, ‘아는 것이 좋아하는 것만 못하며, 좋아하는 것은 즐기는 것만 못하다는 말에 따라 2010년도부터 인문학적 관점에 관심을 갖게 되면서 논문으로 “노자의 인문학적 통찰에서 나타난 관계성에 관한 연구 : 바른 정책결정을 중심으로”(2015), “서양철학사에서 나타난 인 문학적인 관점 전환에 관한 연구 : 이성과 감각을 중심으로” (2016), “니체의 인문학적 통찰에서 나타난 욕망의 시대에 관한 연구 : 협치를 중심으로”(2016), “인문학적 동선으로 본 바른 사 회구조화의 정책인식”(2018), “니체의 인문학적 통찰에서 나타난 인간존재근거의 사회구조화에 관한 연구 : 혁신을 중심으로”(2019)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지방자치행정론』서문 = 4
1장 왜 지방자치행정인가? = 11
 1. 머리말 = 13
 2. 지방자치행정과 세계화 = 14
 3. 지방자치행정과 정보화 = 16
 4. 지방자치행정과 지방화 = 18
2장 지방자치란 무엇인가? = 23
 1. 머리말 = 25
 2. 지방자치의 의의 = 26
 3. 지방자치의 계보 = 31
 4. 주민자치와 단체자치의 조화 = 34
 5. 지방자치권 = 35
3장 지방행정이란 무엇인가? = 41
 1. 머리말 = 43
 2. 지방행정의 의의 = 44
 3. 지방행정의 종류 = 48
 4. 지방행정의 이념 = 50
4장 한국지방자치의 변천 = 57
 1. 머리말 = 59
 2. 도입기: 제1공화국 = 60
 3. 확산기: 제2공화국 = 66
 4. 침체기: 제3ㆍ4공화국 = 68
 5. 여명기: 1981∼1990년 = 70
 6. 개화기: 1991년∼현재 = 73
5장 중앙집권과 지방분권 = 95
 1. 머리말 = 97
 2. 집권과 분권 = 99
 3. 중앙집권과 지방분권 = 101
 4. 신중앙집권화 = 104
 5. 신지방분권화 = 107
6장 지방자치단체의 계층, 구역, 광역행정 = 113
 1. 지방자치단체의 의의 = 115
 2. 지방자치단체의 종류 = 117
 3. 지방자치단체의 계층구조 = 119
 4. 지방자치단체의 구역 = 122
 5. 광역행정 = 134
7장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간의 기능배분 = 143
 1. 머리말 = 145
 2. 지방자치사무의 제도적 근거 = 146
 3. 지방자치사무의 종류 = 147
 4. 정부 간의 기능배분 = 150
 5. 국가와 지방 간 사무처리제도 개선 = 158
8장 지방의회 = 161
 1. 머리말 = 163
 2. 지방자치단체의 기관구성형태 = 164
 3. 지방의회 = 173
9장 지방자치단체의 집행기관 = 183
 1. 집행기관의 의의 = 185
 2. 지방자치단체장의 지위와 권한 = 186
 3. 지방자치단체장의 선임 = 188
 4. 지방자치단체장의 권한위임ㆍ위탁 = 189
 5. 지방자치단체장의 보조기관과 소속기관 = 190
 6. 지방자치단체장과 지방의회와의 관계 = 195
10장 지방자치단체의 재정 = 201
 1. 지방재정의 의의 = 203
 2. 지방수입의 의의 = 206
 3. 지방세출의 의의 = 214
 4. 지방채의 의의 = 216
11장 지방자치단체의 주민참여 = 223
 1. 주민의 의의 = 225
 2. 주민의 권리와 의무 = 226
 3. 주민참여의 의의 = 227
 4. 주민참여의 근거와 필요성 = 228
 5. 주민참여의 한계와 요건 = 230
 6. 주민참여의 단계 = 231
 7. 주민참여의 유형 = 232
 8. 주민참여의 활성화 = 233
12장 정부 간 분쟁과 조정 = 237
 1. 정부 간 관계의 의의 = 239
 2. 정부 간 관계의 유형 = 241
 3. 정부 간 갈등의 의의 = 243
 4. 정부 간 갈등의 유형 = 245
 5. 정부 간 갈등의 원인 = 248
 6. 정부 간 갈등조정의 의의 = 251
 7. 정부 간 분쟁조정제도 = 252
13장 국가의 관여 = 259
 1. 국가관여의 의의 = 261
 2. 국가관여의 변화 = 263
 3. 우리나라의 관여방식 = 265
 4. 국가관여의 한계와 방향 = 270
부록 = 273
 부록 1.「지방분권촉진에 관한 특별법」= 275
 부록 2.「지방자치법」= 283
찾아보기 = 360  

관련분야 신착자료

정창수 (2022)
김대현 (2022)
조대엽 (2022)
한국. 인사혁신처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