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글쓰기와 토론을 위한) 플라톤의 『국가』 읽기 (Loan 26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박규철, 1966-
Title Statement
(글쓰기와 토론을 위한) 플라톤의 『국가』 읽기 / 박규철 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파주 :   이담books :   한국학술정보,   2012  
Physical Medium
230 p. ; 23 cm
Series Statement
논술ㆍ토론의 기초를 닦는 고전읽기 ;4
ISBN
9788926831984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p. 229-230
주제명(개인명)
Plato,   B.C. 427-347.   Politeia  
000 00712namcc2200241 c 4500
001 000045700015
005 20120409114028
007 ta
008 120405s2012 ggk b 000c kor
020 ▼a 9788926831984 ▼g 0316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21.07 ▼2 22
085 ▼a 321.07 ▼2 DDCK
090 ▼a 321.07 ▼b 2012
100 1 ▼a 박규철, ▼d 1966- ▼0 AUTH(211009)30440
245 2 0 ▼a (글쓰기와 토론을 위한) 플라톤의 『국가』 읽기 / ▼d 박규철 지음
260 ▼a 파주 : ▼b 이담books : ▼b 한국학술정보, ▼c 2012
300 ▼a 230 p. ; ▼c 23 cm
440 0 0 ▼a 논술ㆍ토론의 기초를 닦는 고전읽기 ; ▼v 4
504 ▼a 참고문헌: p. 229-230
600 0 4 ▼a Plato, ▼d B.C. 427-347. ▼t Politeia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21.07 2012 Accession No. 11166218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박규철(지은이)

연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플라톤의 《고르기아스》 편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전문연구원, 월간 《에머지》 및 《넥스트》 편집장 그리고 아신대학교 교수를 지냈다. 현재 국민대학교 교양대학 서양고대철학 교수이자 후마니타스 리더십 연구소장이며, 한국동서철학회 부회장 및 한국중세철학회 편집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전공 분야는 소크라테스와 플라톤 철학이지만, 연구 영역을 확장하여 고대 회의주의가 오늘날 우리에게 주는 통찰이란 무엇인지 제시하고자 이 책을 썼다. 지은 책으로는 《그리스 로마 철학의 물음들》, 《플라톤 철학과 회의주의》, 《그리스 계몽주의와 신플라톤주의》, 《고대 그리스 철학의 감정 이해》 (공저), 《고전의 창으로 본 리더스피릿》 (공저), 《글쓰기와 토론을 위한 플라톤의 국가 읽기》 그리고 《소논문 쓰기, 어떻게 할까?》 (공저) 등이 있다. 옮긴 책으로는 《플라톤과 소크라테스적 대화》 (공역)와 《신플라톤주의》 (공역) 그리고 《포스트모던 시대의 철학과 신학》 (공역)이 있다. 현재는 ‘어떻게 자기를 보존할 것인가?’라는 주제로 고대 철학자 에픽테토스가 정립한 삶의 기술을 소개하는 책을 쓰고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일러두기 = 4 
제1부 글쓰기와 토론에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 = 11
 1. 글쓰기,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 = 13
 2. 토론,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 = 26
 3. 독서와 토론, 어떻게 연결할 것인가 = 39
제2부 플라톤과『국가』,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 49
 1. 우리는 과연 플라톤을 어느 정도 알고 있는가? = 51
 2. 플라톤, 도대체 그가 말하고 싶었던 것은 무엇이었나? = 64
 3. 국가, 너는 도대체 무엇이냐? = 122
제3부 플라톤의『국가』, 글쓰기와 토론 공부에 도움이 되는가? = 145
 1. 도대체 올바름이란 무엇인가? = 147
 2. 올바른 국가와 올바른 개인 = 155
 3. 통치자들은 어떻게 교육받아야 하는가? = 178
 4. 타락한 국가의 유형들과 그것을 닮은 인간 영혼들 = 196
 5. 어떻게 살고, 어떻게 죽을 것인가? = 217
참고문헌 = 229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