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미국의 교육과정 개혁이야기 : 국가 기준에서 교실 현장 속으로 교육과정 다리 놓기

미국의 교육과정 개혁이야기 : 국가 기준에서 교실 현장 속으로 교육과정 다리 놓기 (23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Solomon, Pearl G. (Pearl Gold), 1929- 강현석, 역 허영식, 역 신영수, 역 최윤경, 역 추갑식, 역
서명 / 저자사항
미국의 교육과정 개혁이야기 : 국가 기준에서 교실 현장 속으로 교육과정 다리 놓기 / Pearl G. Solomon 저 ; 강현석 [외] 공역
발행사항
파주 :   양서원,   2012  
형태사항
332 p. : 삽화 ; 25 cm
ISBN
9788959649075
일반주기
역자: 허영식, 신영수, 최윤경, 추갑식  
서지주기
참고문헌(p. 310-325)과 색인수록
일반주제명
Curriculum planning -- United States Education -- Curricula -- Standards -- United States Educational tests and measurements Curriculum-based assessment -- United States
000 01285namcc2200361 c 4500
001 000045700004
005 20120409192409
007 ta
008 120405s2012 ggka b 001c kor
020 ▼a 9788959649075 ▼g 93370
040 ▼a 211009 ▼c 211009 ▼d 244002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0 ▼a 375/.001 ▼2 22
085 ▼a 375.001 ▼2 DDCK
090 ▼a 375.001 ▼b 2012
100 1 ▼a Solomon, Pearl G. ▼q (Pearl Gold), ▼d 1929- ▼0 AUTH(211009)92082
245 1 0 ▼a 미국의 교육과정 개혁이야기 : ▼b 국가 기준에서 교실 현장 속으로 교육과정 다리 놓기 / ▼d Pearl G. Solomon 저 ; ▼e 강현석 [외] 공역
246 ▼a (The) curriculum bridge : ▼b from standards to actual classroom practice ▼g (3rd ed.)
260 ▼a 파주 : ▼b 양서원, ▼c 2012
300 ▼a 332 p. : ▼b 삽화 ; ▼c 25 cm
500 ▼a 역자: 허영식, 신영수, 최윤경, 추갑식
504 ▼a 참고문헌(p. 310-325)과 색인수록
650 0 ▼a Curriculum planning ▼z United States
650 0 ▼a Education ▼x Curricula ▼x Standards ▼z United States
650 0 ▼a Educational tests and measurements
650 0 ▼a Curriculum-based assessment ▼z United States
700 1 ▼a 강현석, ▼e▼0 AUTH(211009)94962
700 1 ▼a 허영식, ▼e▼0 AUTH(211009)51187
700 1 ▼a 신영수, ▼e▼0 AUTH(211009)131652
700 1 ▼a 최윤경, ▼e▼0 AUTH(211009)105190
700 1 ▼a 추갑식, ▼e▼0 AUTH(211009)42826
945 ▼a KLPA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5.001 2012 등록번호 11166219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75.001 2012 등록번호 15130753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5.001 2012 등록번호 11166219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75.001 2012 등록번호 15130753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목차

목차 
역자 서문 = 3
3판 서문 = 7
제1장 기준과 시험이 중요한 이유 = 19
 1. 이 장에 대해서 = 21
 2. 정치적인 어젠다의 상부에서: 교육 = 22
 3. 기준과 평가에 왜 초점을 두는가 = 23
 4. 낙오아동방지법 = 25
 5. 경제적 영향력과 몇 마디 경고 = 31
 6. 미디어가 기준에 대한 의견에 영향을 미치다 = 34
 7. 현재의 공적인 관심의 흐름에 대한 기원 = 38
 8. 교육계의 초기 반응 = 40
 9. 정부가 개혁을 요구하다 = 42
 10. 개혁의 요구에 대한 초기 반응 = 44
 11. 다른 나라의 기준 = 45
 12. 요약: 시스템상의 총체적 변화, 재구조화, 그리고  개혁 = 48
제2장 누가 교육과정을 선정하는가: 기준과 평가는 필요한가 = 53
 1. 이 장에 대해서 = 55
 2. 몇 가지 카리스마적인 의견의 차이 = 57
 3. 대중의 관심, 여론, 그리고 영향 = 59
 4. 교사와 교사 단체의 반응 = 64
 5. 대학 교수와 연구자들이 반응하다 = 68
 6. 교육과정 통제의 양식 = 75
 7. 교육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비정부단체(NGO) = 83
 8. 교육과정 설계 준비 = 98
제3장 학습이 일어나는 방법 = 101
 1. 이장에 대해서 = 103
 2. 교육철학: Piaget와 구성주의 = 109
 3. 타협(Compromise) = 114
 4. 지능 개념의 변화하는 특성 = 117 
 5. 인지, 메타인지, 그리고 목표: 실천으로의 연계성 = 140
 6. 관심 = 143
 7. 실제적 경험과 수업 과정에서의 공학(Technology) = 144
 8. 연구와 실천과의 연계: 요약 가설 = 148
제4장 교육과정 기준 선정과 '하향식 설계' = 153
 1. 이 장에 대해서 = 155
 2. 교육과정위원회 모임 = 157
 3. 개략적 역사 = 160
 4. 새로운 용어로 기준을 정의하기 = 162
 5. 교육과정 실행(Enactment) = 169
제5장 창조적인 교실 수업 구성하기 = 185
 1. 이 장에 대해서: 차이점 다루기 = 187
 2. 교수 환경 조직하기 = 189
 3. 배우: 연기자와 감독 = 206
 4. 각본: 전체 줄거리 = 213
제6장 우리는 어떻게 하고 있는가: 성공을 측정하기 = 223
 1. 이장에 대해서 = 225
 2. 기준과 기준의 측정 = 226
 3. 측정 혹은 평가(Assessment)의 의도 = 230
 4. 평가 형태의 역사 = 235
 5. 고부담 평가의 질과 결과 = 238
 6. HSSB 평가 개선하기 = 241
 7. Meg, April, 그리고 Brad는 어디에서 시작해야 할까? = 245
 8. 도전 1: 타당도 확립하기 = 249
 9. 도전 2: 과제 혹은 수행 VS 개념 = 250
 10. 도전 3: 루브릭 작성하기 = 262
 11. 도전 4: 평가 결과를 분해하기 = 270
 12. 도전 5: 수행 수준과 등급 매기기 = 273
 13. 도전 6: 학생, 부모, 공동체와 결과 공유하기 = 275 
제7장 우리는 여기에서 어디로 가는가 = 281
 1. 이 장에 대해서 = 283
 2. 필요한 변화를 위한 리더십은 어디에서 오는가 = 284
 3. 교사를 위한 전문성 개발 = 297
 4. 연구와 교육과정을 공유하기 위해 네트워크와 공학을 사용하기 = 307
 5. 공공의 시민들과 의사소통을 하기 위한 공학 = 308
참고문헌 = 310
찾아보기 = 326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