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1136namcc2200301 c 4500 | |
001 | 000045699326 | |
005 | 20120403172529 | |
007 | ta | |
008 | 111228s2012 ulka bmAC 000c kor | |
040 | ▼a 211009 ▼c 211009 ▼d 244002 ▼d 211009 | |
041 | 0 | ▼a kor ▼b eng |
085 | 0 | ▼a 0510 ▼2 KDCP |
090 | ▼a 0510 ▼b 6K04 ▼c 99 | |
100 | 1 | ▼a 이장호 |
245 | 1 0 | ▼a 참여경영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 / ▼d 이장호 |
246 | 1 1 | ▼a (A) study on the effect on workers participative management |
260 | ▼a 서울 : ▼b 高麗大學校 經營情報大學院, ▼c 2012 | |
300 | ▼a vii, 106장 : ▼b 삽화 ; ▼c 26 cm | |
500 | ▼a 지도교수: 김문석 | |
502 | 0 | ▼a 學位論文(碩士)-- ▼b 高麗大學校 經營情報大學院 : ▼c 組織管理專攻, ▼d 2012. 2 |
504 | ▼a 참고문헌(장 90-99)과 부록수록 | |
530 | ▼a PDF 파일로도 이용가능; ▼c Requires PDF file reader(application/pdf) | |
653 | ▼a 참여경영 ▼a 제안제도 참여 ▼a 의사결정 참여 ▼a 조직성과 ▼a 직무만족 ▼a 직무몰입 ▼a 조직몰입 | |
776 | 0 | ▼t 참여경영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 ▼w (DCOLL211009)000000032678 |
900 | 1 0 | ▼a Lee, Jang Ho, ▼e 저 |
900 | 1 0 | ▼a 김문석, ▼e 지도교수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학위논문)/ | 청구기호 0510 6K04 99 | 등록번호 16305831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학위논문)/ | 청구기호 0510 6K04 99 | 등록번호 16305831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학위논문실(3층)/ | 청구기호 0510 6K04 99 | 등록번호 15306450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학위논문)/ | 청구기호 0510 6K04 99 | 등록번호 16305831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학위논문)/ | 청구기호 0510 6K04 99 | 등록번호 16305831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학위논문실(3층)/ | 청구기호 0510 6K04 99 | 등록번호 15306450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초록
오늘날 급격하게 변화되는 기업환경은 기업들에게 변화에 맞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요구하고 있다. 이는 노사관계에서도 예외가 아니어서 지금까지의 수직적 노사관계에 대한 근본적인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참여와 협력을 바탕으로 하는 기업경영에 근로자들의 참여는 더 이상 노사간 대립의 문제가 아니라 기업들이 환경변화의 가운데에서 살아남기 위한 생존방안으로서 적극적으로 활용하여야 할 중요한 문제이다. 근로자들의 경영참여는 단체교섭과 더불어 노사관계에서 가장 중요한 기능중의 하나로, 인적자원관리 차원에서도 근로자 참여를 통한 인적자원역량 강화와 이를 통한 기업의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고 있다. 근로자 참여는 자치능력과 문제해결에 필요한 전문적 능력과 같은 능력개발에 대한 투자를 수반하고, 자율과 책임을 내용으로 하는 근로자 참여는 보다 주체적이고 적극적 인재를 육성하므로 근로자 참여는 기업 내 인적자원의 역량강화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급변하는 최근의 경영환경 속에서 어떻게 하면 근로자 참여를 통한 기업의 경쟁력을 확보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의식을 갖고, 첫째, 근로자 참여의 개념과 의의, 근로자 참여와 경영성과와의 관계를 문헌연구를 통하여 정리하였다. 둘째, 참여경영은 무엇이며, 참여경영의 유형 및 형태, 참여경영 프로그램 및 참여경영 성과에 대한 선행연구, 참여경영이 조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선행 연구 등을 통해 살펴보았다. 셋째, 실증적 연구를 통하여 근로자 참여경영의 유형과 특성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근로자들의 참여경영과 조직성과의 직무만족, 직무몰입, 조직몰입 등과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SPSS Ver. 12.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분석방법을 사용하고 절차를 진행하였다. 첫째, 연구과제 검증의 사전단계로 독립변수인 제안제도 참여, 의사결정 참여와 종속변수인 직무만족, 직무몰입, 조직몰입 등에 대한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각 요인들에 대한 신뢰성을 검증하였다. 둘째, 제안제도 참여, 의사결정 참여 등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연구과제의 분석을 통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안제도의 참여가 조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부분 채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제안제도참여가 직무만족에는 정의 효과를 주나 직무몰입과 조직몰입에는 아무런 효과를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몰입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직무몰입은 개인의 특성요인인 성별, 연령, 학력, 근무연수 등과 작업장 특성요인인 성취동기, 상사관계, 동료관계, 보상 등과 직무특성요인인 직무자율성, 기능다양성, 과업중요성, 과업정체성, 피드백 등과 관련이 있다. 그러나 제안제도의 경우는 직장동료, 상사와의 관계, 제안에 대한 보상여부가 불확실하다면 단순히 참여정도가 성과에 영향을 미치기는 힘들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조직몰입의 경우 외재적 보상 또는 가치일치 등 여러 근거에 의해 발생하지만 개인과 조직 간의 목표나 가치의 일치가 가장 핵심적인 내용이다. 둘째, 의사결정참여가 조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도 조직구성원의 이러한 의사결정의 참여는 조직의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결과가 제시되고 있다. 특히 의사결정의 참여는 경영에 대한 직접적인 참여로 직장생활만족이나 조직몰입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기존연구를 뒷받침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연구와는 달리 의사결정참여와 조직성과와의 관계는 선형관계가 아닌 U-커브의 형태를 가지고 있는 것이 특이하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의사결정에 참여가 조직구성원에게는 상당한 부담으로 다가온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의사결정참여 초기에는 조직의 성과에 역효과를 보이다가, 어느 정도 익숙해질 때 본격적인 성과향상이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조직에서의 참여경영(제안제도, 의사결정 참여)이 조직성과(직무만족, 직무몰입, 조직몰입)에 과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구체적이면서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으나 다음과 같은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와 관련하여 향후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대상의 지역적 제한으로 청주, 대전 등을 중심으로 편의표본추출법을 적용하였기 때문에 향후 연구대상지역을 확대하고 설문대상자도 인구통계자료에 근거하여 할당표본추출법에 의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편의표본추출을 통해 응답자 직급, 직종, 연령, 월 소득, 성별 등 인구통계학적 변수와 업종을 고려하기는 하였지만, 이들을 제대로 통제하지 못한 한계가 있기 때문에 향후 연구에서는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보다 잘 반영하고 업종과 응답자 대상을 보다 세분화할 필요성이 있다. 셋째, 관리자와 근로자의 구분 없이 응답자의 의견을 반영하였다는 점이다. 참여경영은 전체 기업이나 사업장에서 실시되는 것으로 관리자나 근로자가 체감하는 상황이나 성과는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넷째, 본 연구에서 분석한 참여경영 변수 외에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영향요인을 추가적으로 설정하고 규명하는 것이 필요하다. 근로자들의 경영참여는 조직변화와 혁신방안의 하나이기 때문에 생산성 향상만을 강조하여 기업이 일방적으로 시행해서는 안될 것이며, 근로자들은 경영자 측의 의도를 비판만 하는 태도에서 벗어나 협력의지와 노력, 책임감을 보여주어야 할 것이다. 급변하는 산업환경 속에서 근로자들의 경영참여는 노사협조 및 노사안정을 위한 도구에서 탈피하여 노사 간 상호 발전에 기여하고, 노동의 인간화 및 민주화를 실현하는 경쟁력 강화의 방안으로 자리잡을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주요어: 참여경영, 제안제도 참여, 의사결정 참여, 조직성과, 직무만족, 직무몰입, 조직몰입
목차
제 1 장 서 론 ·················································································· 1 제 1 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제 2 절 연구의 내용 및 구성 ····················································· 2 제 2 장 이론적 배경 ······································································· 3 제 1 절 근로자 참여의 의의 ······················································· 3 1. 근로자 참여의 개념과 의의 ················································· 3 2. 경영환경 변화와 근로자 참여 ············································· 5 3. 근로자 참여와 경영성과 ······················································ 8 제 2 절 참여경영의 개념과 유형 ··············································· 11 1. 참여경영의 개념 ··································································· 11 2. 참여경영의 유형 및 형태 ···················································· 13 3. 참여경영의 문제점 ······························································ 19 제 3장 참여경영과 조직성과와의 선행연구 ······························ 20 제 1 절 참여경영 ········································································ 20 1. 제안제도 참여 ····································································· 20 2. 의사결정 참여 ····································································· 23 3. 참여경영 성과에 대한 선행연구 ······································ 27 제 2 절 조직성과 ········································································ 29 1. 직무만족 ·············································································· 29 2. 직무몰입 ·············································································· 33 3. 조직몰입 ·············································································· 35 제 3 절 정보공유 참여 ··························································· 38 1. 졍보공유의 의의 ······························································ 38 2. 정보공유 시 고려사항 ···················································· 38 제 4 장 연구 설계 ······································································· 41 제 1 절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 ··············································· 41 1. 연구모형 ············································································ 41 2. 연구가설 ············································································ 42 제 2 절 실증조사 설계 ···························································· 44 1. 조사표본의 설계 ······························································· 44 2.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도구의 선정 ····················· 45 3. 설문지의 구성 ·································································· 46 4. 분석방법 및 절차 ···························································· 47 제 5 장 실증분석 ······································································· 48 제 1 절 표본의 일반적 특성 ··················································· 48 1. 표본의 인구통계적 특성 ················································ 48 2. 표본의 참여경영에 대한 인식 ······································· 49 제 2 절 기초통계 분석 ··························································· 50 제 3 절 측정변수의 타당성과 신뢰성 분석 ························ 52 1. 타당성 분석 ····································································· 52 2. 신뢰성 분석 ····································································· 55 제 4 절 연구가설의 검증 ······················································ 56 1. 모형의 적합성 평가 ························································· 56 2. 가설의 검정 ······································································ 57 3. 연구결과 논의 ·································································· 64 제 6 장 결 론 ············································································ 66 제 1 절 연구결과의 정리 및 시사점 ··································· 66 제 2 절 연구의 한계 및 향후 과제 ····································· 67 참고문헌 ····················································································· 68 국외문헌 ····················································································· 70 [부록] 설문지 ·········································································· 76 Abstract ····················································································· 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