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1582camcc2200421 c 4500 | |
001 | 000045698908 | |
005 | 20120417094429 | |
007 | ta | |
008 | 120330s2011 ulkad b 000c kor | |
020 | ▼a 9788963138992 ▼g 94370 | |
020 | 1 | ▼a 9788963138985 (전6권) |
035 | ▼a (KERIS)BIB000012733381 | |
040 | ▼a 211064 ▼c 211064 ▼d 211064 ▼d 211064 ▼d 211009 | |
041 | 0 | ▼a kor ▼b eng |
082 | 0 4 | ▼a 375.006 ▼2 22 |
085 | ▼a 375.006 ▼2 DDCK | |
090 | ▼a 375.006 ▼b 1998a ▼c RRI2011-6-1 | |
245 | 0 0 | ▼a 학습부진학생 지도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지원 연구 : ▼b 강점기반 학습도움 프로그램 개발 / ▼d 오상철 연구책임 ; ▼e 이화진 [외] 연구 |
246 | 1 1 | ▼a Seeking for the better instruction for low achievers in schools : ▼b strengths-based academic support program development |
260 | ▼a 서울 : ▼b 한국교육과정평가원, ▼c 2011 | |
300 | ▼a xii, 321 p. : ▼b 삽화, 도표 ; ▼c 26 cm | |
490 | 1 0 | ▼a 연구보고 ; ▼v RRI 2011-6-1 |
500 | ▼a 연구: 김태은, 노원경, 김영빈 | |
500 | ▼a 부록: 학습부진유형검사 결과의 관찰 시기별 변화, 학습부진학생 특성 분석용 개별 프로파일, 관찰대상 학습부진학생 특성 분석 프로파일 외 | |
504 | ▼a 참고문헌: p. 237-245 | |
700 | 1 | ▼a 오상철, ▼e 연구책임 ▼0 AUTH(211009)34426 |
700 | 1 | ▼a 이화진, ▼e 연구 |
700 | 1 | ▼a 김태은, ▼e 연구 |
700 | 1 | ▼a 노원경, ▼e 연구 ▼0 AUTH(211009)38800 |
700 | 1 | ▼a 김영빈, ▼e 연구 |
830 | 0 | ▼a 연구보고(한국교육과정평가원) ; ▼v RRI 2011-6-1 |
900 | 1 0 | ▼a Oh, Sangchul, ▼e 연구책임 |
900 | 1 0 | ▼a Yi, Hwajin, ▼e 연구 |
900 | 1 0 | ▼a Kim, Tae-eun, ▼e 연구 |
900 | 1 0 | ▼a Roh, Won-Kyoung, ▼e 연구 |
900 | 1 0 | ▼a Kim, Youngbin, ▼e 연구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5.006 1998a RRI2011-6-1 | Accession No. 11166126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5.006 1998a RRI2011-6-1 | Accession No. 11166126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Table of Contents
목차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3 2. 연구 내용 = 8 3. 연구 방법 = 9 Ⅱ. 강점기반 학습도움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 13 1. 강점기반 교수학습 = 15 2. 강점기반 프로그램 분석 = 20 Ⅲ. 강점기반 학습부진학생의 학습 분석 = 27 1. 학습부진학생의 학습 특성 = 29 2. 학습부진학생의 강점 발견 = 47 3.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 분석 = 57 4. 강점기반 학습도움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시사점 = 70 Ⅳ. 강점기반 학습도움 프로그램 개발 = 73 1. 초등학생용 강점기반 학습도움 프로그램 개발 = 75 2. 중학생용 강점기반 학습도움 프로그램 개발 = 116 3. 학부모의 자녀 강점 계발 프로그램 개발 = 189 Ⅴ. 강점기반 학습도움 프로그램 활용 지원 정책 = 211 1. 강점기반 학습도움 프로그램 활용 지원 정책 기본 틀 = 213 2. 강점기반 학습도움 프로그램 활용 지원 정책 = 214 Ⅵ. 요약 및 제언 = 231 1. 요약 = 233 2. 제언 = 235 참고문헌 = 237 부록 = 251 〈부록 1〉학습부진유형검사 결과의 관찰 시기별 변화 = 253 〈부록 2〉학습부진학생 특성 분석 개별 프로파일 = 254 〈부록 3〉관찰대상 학습부진학생 특성 분석 프로파일 = 283 〈부록 4〉학습 행동 점검표(교사 체크리스트) = 313 〈부록 5〉학습행동점검표 분석 결과의 관찰 시기별 변화 = 317 〈부록 6〉중학생용 강점 발견 프로그램 예비 운영 효과 검증 = 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