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읽기 부진 진단 및 보정 교육 연구 : 북미 사례를 중심으로

읽기 부진 진단 및 보정 교육 연구 : 북미 사례를 중심으로 (10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이영아, 연구책임 최숙기, 연구
서명 / 저자사항
읽기 부진 진단 및 보정 교육 연구 : 북미 사례를 중심으로 / 이영아 연구책임 ; 최숙기 연구
발행사항
서울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1  
형태사항
ix, 113 p. : 삽화 ; 26 cm
총서사항
연구보고 ;RRO 2011-10
서지주기
참고문헌(p. 71-77)과 부록수록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5698892
005 20230821135149
007 ta
008 120330s2011 ulka b 000c kor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0 ▼a kor ▼a eng ▼b eng
082 0 4 ▼a 375.006 ▼2 22
085 ▼a 375.006 ▼2 DDCK
090 ▼a 375.006 ▼b 1998a ▼c RRO2011-10
245 0 0 ▼a 읽기 부진 진단 및 보정 교육 연구 : ▼b 북미 사례를 중심으로 / ▼d 이영아 연구책임 ; ▼e 최숙기 연구
246 1 1 ▼a Diagnosis and remediation of struggling readers : ▼b the case of North America
260 ▼a 서울 : ▼b 한국교육과정평가원, ▼c 2011
300 ▼a ix, 113 p. : ▼b 삽화 ; ▼c 26 cm
490 1 0 ▼a 연구보고 ; ▼v RRO 2011-10
504 ▼a 참고문헌(p. 71-77)과 부록수록
546 ▼a 본문은 한국어, 영어가 혼합수록됨
700 1 ▼a 이영아, ▼e 연구책임 ▼0 AUTH(211009)72613
700 1 ▼a 최숙기, ▼e 연구 ▼0 AUTH(211009)78639
830 0 ▼a 연구보고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v RRO 2011-10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5.006 1998a RRO2011-10 등록번호 11166127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목차

연구요약 5


Ⅰ. 서론 14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6


2. 연구 내용 19


가. 북미 읽기 부진 진단 도구 분석 19


나. 북미 읽기 부진 진단 및 보정 교육 실제 분석 19


다. 읽기 부진 진단 도구 및 보정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향 탐색 19


3. 연구 방법 19


가. 문헌 연구 및 내용 분석 19


나. 면담 조사 20


다. 전문가 협의회 20


Ⅱ. 읽기 부진의 유형과 특성 22


1. 읽기 부진의 유형과 특성 24


가. 읽기 부진의 유형 24


나. 읽기 부진 유형별 세부 특성 28


2. 국어 읽기 부진의 특성 31


가. 국어과 읽기 부진의 특성 및 원인 31


나. 국어과 읽기 부진 검사(선별) 도구 33


다. 국어과 읽기 부진 보정 교육 34


3. 영어 읽기 부진의 특성 35


가. 구어 발달과 읽기 부진 35


나. 한국어/영어의 차이와 읽기 부진 36


다. 국내 영어 읽기 부진 관련 선행 연구 37


Ⅲ. 읽기 부진 진단 도구와 보정 교육 분석 38


1. 읽기 부진 진단 도구 분석 40


가. 개관 40


나. Woodcock-Johnson III Diagnostic Reading Battery 44


다. Qualitative Reading Inventory-4 50


2. 보정 교육 프로그램 분석 58


가. 개관 58


나. 단어 인식 보정 프로그램 62


다. 읽기 이해 보정 프로그램 66


Ⅳ. 요약 및 제언 72


1. 요약 74


가. 읽기 부진의 유형과 특성 74


나. 읽기 부진 진단 도구 분석 75


다. 읽기 보정 교육 프로그램 분석 77


2. 정책 제언 79


제언 1. 읽기 능력 구성 요소별 발달 척도에 근거한 진단 도구의 개발 79


제언 2. 읽기 능력 구성 요소별 보정 교육 프로그램 개발 81


제언 3. 읽기 부진 학생 지도를 위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지원 체제 확립 82


참고문헌 84


ABSTRACT 92


부록 96


[부록 1] 북미 읽기 전문가-읽기 클리닉 이메일 면담 질문지 98


[부록 2] University of Georgia 읽기 클리닉 샘플 보고서 99


[부록 3] WJ Ⅲ Diagnostic Reading Battery 결과 보고서 샘플 122


[부록 4] What Works Clearinghouse 단어인식프로그램 평가표 125


판권기 2


[표 Ⅱ-1] 읽기 부진(reading disability)의 인지적 유형(Spear-Swerling, 2004) 27


[표 Ⅱ-2] 독자 특성(Bully & Valencia, 2002) 29


[표 Ⅲ-1] 플로리다주의 초ㆍ중등학교용 읽기 부진 진단 도구 권장 목록 40


[표 Ⅲ-2] Woodcock-Johnson Ⅲ Diagnostic Reading Battery 개관 44


[표 Ⅲ-3] WJ Ⅲ DRB의 읽기 능력 군집 48


[표 Ⅲ-4] Qualitative Reading Inventory-4의 읽기 부진 제공 정보 52


[표 Ⅲ-5] Qualitative Reading Inventory-4의 단어 목록 평가 수준 53


[표 Ⅲ-6] Qualitative Reading Inventory-4 지문 활용 검사 목적 55


[표 Ⅲ-7] Qualitative Reading Inventory-4 총체적 지문 수준 결정 56


[표 Ⅲ-8] Qualitative Reading Inventory-4의 검사 결과 활용 56


[표 Ⅲ-9] 증거기반 읽기 보정 프로그램의 예 61


[표 Ⅲ-10] ‘Word Detectives’의 핵심 단어(Key Words) 목록 (Pressley, 2002) 65


[표 Ⅲ-11] RRI프로그램의 지도 원리 67


[표 Ⅲ-12] 주별 Read Right 활동 70


[그림 Ⅱ-1] Bully & Valencia(2002)의 요소별 진단 도구 사용 28


[그림 Ⅲ-1] Qualitative Reading Inventory-4의 읽기 단어 목록 검사지 53


[그림 Ⅲ-2] Qualitative Reading Inventory-4의 지문 검사를 위해 제공되는 지문의 수준과 유형 54


[그림 Ⅲ-3] National Center on RTI에서 제공하는 읽기 프로그램 제공 양상 60


[그림 Ⅲ-4] Sound Partners의 샘플 페이지 63


[그림 Ⅲ-5] Word Detectives의 활동 예시: 핵심 단어와 유사한 철자 패턴 단어 찾기 66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