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3
가. 교육정책 관련성 = 3
나. 연구의 필요성 = 3
다. 연구의 목적 = 4
2. 연구 내용 = 5
가. 현행 교과서 편수 자료의 개선점 검토 = 5
나. 현행 교과서 편수 자료의 수정ㆍ보완 = 8
다. 2011년 교과서 편수 자료의 발간 = 12
3. 연구 방법 = 13
가. 현행 교과서 편수 자료 입력 = 13
나. 표준국어대사전 용어와 비교 분석 = 13
다. 전문가 협의회 = 13
라. 연구진 협의회 = 14
Ⅱ. 교과서 편수 자료 발간의 필요성 = 15
1. 2010년 '교과서 선진화 방안' = 17
2. 편수 자료 수정ㆍ보완의 방향 = 22
Ⅲ. 편수 자료집 구성 및 수정ㆍ보완 내용 = 27
1. 편수 자료 Ⅰ권의 구성 및 수정ㆍ보완 내용 = 29
가. 교육과정 및 교과용도서의 변천 = 29
나.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총론 = 30
다. 교과용도서의 편찬 = 30
라. 부록 1 교과용도서의 관련 법규 = 32
마. 부록 2 교육과정 및 교과용도서 관련 용어 = 32
바. 부록 3 교과용도서의 표기ㆍ표현 사례 = 36
2. 편수 자료 Ⅱ권의 구성 및 수정ㆍ보완 내용 = 36
가. '한글 맞춤법' 적용 준칙 = 36
나. 학교 문법 용어 = 37
다.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 37
라. 일본어 = 38
마. 한국사 = 38
바. 지리 = 40
사. 세계사 = 46
아. 일반사회 = 47
자. 체육 = 48
차. 음악 = 52
카. 미술 = 56
3. 편수 자료 Ⅲ권의 구성 및 수정ㆍ보완 내용 = 62
가. 공학 단위 = 62
나. 공업 = 63
다. 정보 = 67
라. 농 생명 산업 = 71
마. 상업 = 75
바. 수산 해운 = 82
사. 가사 실업 = 86
Ⅳ. 요약 및 정책 제언 = 93
1. 연구 요약 = 95
2. 정책 제언 = 96
가. 편수 용어 DB 구축 및 인터넷 서비스 = 96
나. 편수 용어의 상시 수정ㆍ보완 시스템 마련 = 97
다. 주기적인 편수 용어 DB 재구축 = 98
참고문헌 = 99
ABSTRACT = 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