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지역 채널에 특종이 떴다

지역 채널에 특종이 떴다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고상환
서명 / 저자사항
지역 채널에 특종이 떴다 / 고상환
발행사항
서울 :   커뮤니케이션북스,   2012  
형태사항
x, 295 p. : 삽화 ; 23 cm
ISBN
9788966800131
일반주기
부록: 지역 채널 뉴스, 어떻게 다른가?  
000 00646camcc2200229 c 4500
001 000045698672
005 20120330152439
007 ta
008 120329s2012 ulka 000c kor
020 ▼a 9788966800131 ▼g 93070
035 ▼a (KERIS)BIB000012713097
040 ▼a 211062 ▼c 211062 ▼d 244002 ▼d 211009
082 0 4 ▼a 070.43 ▼2 22
085 ▼a 070.43 ▼2 DDCK
090 ▼a 070.43 ▼b 2012z1
100 1 ▼a 고상환 ▼0 AUTH(211009)72596
245 1 0 ▼a 지역 채널에 특종이 떴다 / ▼d 고상환
260 ▼a 서울 : ▼b 커뮤니케이션북스, ▼c 2012
300 ▼a x, 295 p. : ▼b 삽화 ; ▼c 23 cm
500 ▼a 부록: 지역 채널 뉴스, 어떻게 다른가?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070.43 2012z1 등록번호 11166153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지역 채널 뉴스 아이템은 어떻게 발굴할까? 다른 지역에서 무엇을 보도하는지 살피면 여러 가지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다. 지역별 특성을 살린 풍부한 보도 사례를 통해 지역 뉴스의 가치와 영향력을 살핀다. 저자는 기사별 보완해야 할 사항을 제시한다. 문장 오류도 점검해 뉴스의 완성도를 높인다. 지역 채널 뉴스 보도만을 다룬 유일한 책.

전국의 지역 케이블TV 방송사(SO)들이 지역 뉴스를 보도한지가 10년이 넘었다. 그러나 시청자나 학계의 인식이나 평가가 낮은 현실이다. 매체 특성상 방송은 전파를 타고 흘러가버리고 만다. 그 순간 보지 않으면 소용이 없다. 신문이나 잡지처럼 두고두고 읽을 수 있는 매체가 아니다. 전국적으로 93개의 SO들이 지금 이 시간에도 지역사회에서 왕성한 취재보도 활동을 펼치고 있지만 낮은 시청률로 인해 도대체 어떤 아이템으로 무슨 내용을 보도하였는지 모르고 지나치는 경우가 허다하다. 이 책은 이처럼 다양한 지역정보와 우리 이웃들의 살아가는 모습들이 여과 없이 비춰지고 있는 지역채널의 뉴스보도 속을 들여다봄으로 해서 그 속에서 새로운 지역뉴스의 가치와 경쟁력을 발견하고자 했다. 전국 100여 개의 지역 채널은 지역사회에서 왕성한 취재와 보도 활동을 펼친다. 지역사회 여론 형성과 사회 감시 기능을 통해 매체의 위상도 높인다. 지역 행정, 의회 활동의 부조리, 예산 낭비 사례를 고발하고 시정을 요구한다. 주민의 애환도 함께 나눈다. 그러나 어떤 아이템이 무슨 내용으로 보도되는지 다른 지역에서는 알 수 없다. 매체의 위상과 영향력이 전국적으로 형성되지 못해서다. 이 책은 경쟁력을 높이는 뉴스 아이템에 초점을 맞춰 뉴스의 가치와 영향력을 다룬다. 아쉬운 점과 보도 문장 오류도 지적했다. 지역 뉴스의 질적 향상만이 지역민의 관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고상환(지은이)

현대HCN(www.hcn.co.kr) 보도제작본부 본부장이다. 경북 상주출생으로 대구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했다. 경북대학교 정책정보대학원에서 언론 ? 홍보학을 전공하여 석사학위를 받았다. 1994년 경북케이블TV방송에 입사해 보도제작팀장, 본부장, 현대HCN부산방송 본부장을 지냈다. 현재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 지역 채널분과와 서초구 선거방송토론위원회 위원이다. 월간 ≪시문학≫으로 등단한 시인. 포항문인협회 사무국장을 지냈고 한국문인협회 회원이다. 향토봉공상(언론부문)을 수상했고 동해청소년영상제 심사위원을 역임했다. 논문으로 “SO특성에 따른 채널 편성 비교”(2006)가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추천사 주민들의 애환과 함께하는 지역뉴스 = ⅴ
머리말 경쟁력 있는 지역 채널 뉴스 아이템 = ⅶ
01 지역 채널 뉴스란 무엇인가? 
 지역 채널 뉴스 배경과 현실 = 2
 SO 뉴스는 소(小)뉴스라고? = 4
 이런 것도 뉴스거리가 될까? = 7
 보도 자료, 진실 혹은 거짓 = 9
 광역권 뉴스 보도의 득과 실 = 10
 SO 뉴스를 빛나게 하는 다섯 가지 = 13
02 지역 채널에 나오는 우리 지역 뉴스
 우리 동네 맞나요? = 19
 더불어 같이 사는 세상이 되자 = 38
 내가 살아가는 이곳에 어떤 일이 있을까?= 56
 내가 모르는 우리 이웃에 대하여 = 74
 나누고 베풀며 살아가는 사람들 = 89
 우리 동네 일꾼, 누군지 아세요? = 103
 아직도 이런 일들이 Ⅰ = 112
 아직도 이런 일들이 Ⅱ = 129
 찾아 나서라… 불편하고 가려운 곳 = 146
 누구를 위한 행정인가? = 162
 공직 사회를 향한 쓴소리 = 182
 우리 세금 어떻게 쓰이는지 따져라 = 200
03 지역 채널 뉴스 다시쓰기 
 단문으로 간결하게 쓰자 = 228
 문장에 불필요한 장식을 제거하자 = 241
 정확하고 쉬운 어휘를 선택하자 = 251
 보도의 메시지를 명확히 하자 = 266
부록 지역 채널 뉴스, 어떻게 다른가? = 281

관련분야 신착자료

한국.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인터넷선거보도심의위원회 (2022)
엄기영 (2023)
김경모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