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698473 | |
005 | 20160408113845 | |
007 | ta | |
008 | 120328s2012 ulkad b 001c kor | |
020 | ▼a 9788932471846 ▼g 9334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327 ▼2 23 |
085 | ▼a 327 ▼2 DDCK | |
090 | ▼a 327 ▼b 2012z1 | |
245 | 0 0 | ▼a 변환의 세계정치 = ▼x Transformation of world politics / ▼d 하영선, ▼e 남궁곤 편저 |
250 | ▼a 제2판 | |
260 | ▼a 서울 : ▼b 을유문화사, ▼c 2012 ▼g (2015 5쇄) | |
300 | ▼a 502 p. : ▼b 삽화, 도표 ; ▼c 25 cm | |
500 | ▼a 집필: 강상규, 김상배, 김준석 외 12인 | |
504 | ▼a 참고문헌(p. 473-491)과 색인수록 | |
700 | 1 | ▼a 강상규, ▼e 저 |
700 | 1 | ▼a 김상배, ▼e 저 |
700 | 1 | ▼a 김준석, ▼e 저 |
700 | 1 | ▼a 하영선, ▼e 편 ▼0 AUTH(211009)144133 |
700 | 1 | ▼a 남궁곤, ▼e 편 ▼0 AUTH(211009)83316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27 2012z1 | 등록번호 11168722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27 2012z1 | 등록번호 11168873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27 2012z1 | 등록번호 111754595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06-07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327 2012z1 | 등록번호 12121843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5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327 2012z1 | 등록번호 15133064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27 2012z1 | 등록번호 11168722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27 2012z1 | 등록번호 11168873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27 2012z1 | 등록번호 111754595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06-07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327 2012z1 | 등록번호 12121843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327 2012z1 | 등록번호 15133064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21세기 세계정치의 기본문제와 현안과제들을 좁은 국제정치가 아닌 넓은 세계정치의 시각에서 다루되, 지구화의 세계사적 의미를 한국의 시각에서 고민하려는 학자들이 뜻을 모아 수년에 걸친 토론과 집필 끝에 완성한 이 책은, 세계정치의 역사와 이론, 주요 쟁점들을 동아시아, 나아가 한국의 입장에서 다루고 있다. 제2판은 제1판의 주제별 전개 방식은 그대로 계승하되 변화된 시대를 반영하는 새로운 내용을 대폭 보강하였다.
과거는 물론 미래에 가장 중요한 의제로 다루어질 안보 문제와 경제 문제는 각각 두 장으로 나누어 집필하였다. 특히 세계정치경제질서의 변환을 깊이 논의하기 위해서 주요 의제를 무역, 생산, 개발 원조, 금융통화 등으로 구분해서 기술하였다. 현대 세계정치에서 주요 화두로 등장하고 있는 환경 및 에너지 국제정치의 변환을 다루기 위한 장을 새로이 추가하였다. 각 장에서 사용한 각종 사건과 자료들도 최근의 정보로 수정하였다.
집필진 (가나다 순)
강상규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일본학과 교수
김상배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
김준석 가톨릭대학교 국제학부 교수
남궁곤 이화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마상윤 가톨릭대학교 국제학부 교수
민병원 이화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배영자 건국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신범식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
신성호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
이근욱 서강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이왕휘 아주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이혜정 중앙대학교 정치국제학과 교수
전재성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
조동준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
하영선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
황지환 서울시립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한국 시각에서 풀어낸 세계정치의 역사, 이론, 쟁점
2012년 개정증보판 출간
[내용]
안보, 경제, 환경 에너지 등 현대 세계정치의 최신 흐름을 충실히 반영한 개정판
한국은 해방 이후 냉전기까지 세계정치 무대의 ‘객체’ 입장에 머물러 있었으나, 오늘날에는 향상된 국력에 기반하여 다양한 쟁점에서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한국을 둘러싼 세계정치의 양상을 한국의 시각에서 정리할 필요성도 그만큼 절실해졌다. 21세기 세계정치의 기본문제와 현안과제들을 좁은 국제정치가 아닌 넓은 세계정치의 시각에서 다루되, 지구화의 세계사적 의미를 한국의 시각에서 고민하려는 학자들이 뜻을 모아 수년에 걸친 토론과 집필 끝에 완성한 이 책은, 세계정치의 역사와 이론, 주요 쟁점들을 동아시아, 나아가 한국의 입장에서 다루고 있다.
제2판은 제1판의 주제별 전개 방식은 그대로 계승하되 변화된 시대를 반영하는 새로운 내용을 대폭 보강하였다. 과거는 물론 미래에 가장 중요한 의제로 다루어질 안보 문제와 경제 문제는 각각 두 장으로 나누어 집필하였다. 특히 세계정치경제질서의 변환을 깊이 논의하기 위해서 주요 의제를 무역, 생산, 개발 원조, 금융통화 등으로 구분해서 기술하였다. 현대 세계정치에서 주요 화두로 등장하고 있는 환경 및 에너지 국제정치의 변환을 다루기 위한 장을 새로이 추가하였다. 각 장에서 사용한 각종 사건과 자료들도 최근의 정보로 수정하였다.
국제정치학에 입문하는 학생은 물론 새 관점에서 세계정치를 바라보려는 연구자에게도
충실한 길잡이가 될 한국형 표준 교과서
세계정치 무대를 지구-동아시아-한국의 복합 공간으로 구성하고 있는 이 책은 애초에는 국제정치학을 처음 배우고자 하는 사람들을 위해 기획되었다. 하지만 이 책이 다루는 내용은 역사, 이론, 쟁점 등 모든 영역에 걸쳐 매우 포괄적이고 전문적이어서 새로운 시각에서 국제정치학을 좀 더 깊이 공부하고자 하는 사람들은 물론 국제정치학을 가르치는 사람들도 긴요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 책은 서장과 총 3개의 부로 구성되어 있다. 우선, 서장에서는 한국 국제정치학의 연구 목적과 대상, 인식 방법, 실천론을 간략하게 소개하고 있다. 이어 제1부에서는 세계정치의 역사적 변환과 한국의 만남을 근대, 냉전, 현대로 나누어 다루고 있고, 제2부에서는 서구의 국제정치이론이 일반 이론으로 진화해 온 배경과 동아시아 지역에서 어떤 과정을 거치며 수용되어 왔는지를 기술한다. 제3부에서는 안보, 무역, 금융, 정보화, 환경, 에너지 등 오늘날 세계정치의 주요 의제들을 소개하고 있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하영선(엮은이)
국제정치 이론과 역사를 반세기 동안 연구해 온 한국의 대표적 국제정치학자다. 현재 동아시아연구원 이사장이며 서울대학교 명예교수다. 서울대학교 외교학과에서 학사 및 석사학위를, 미국 워싱턴대학교에서 국제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교수(1980-2012)로 재직했고 미국 프린스턴 대학 국제문제 연구소와 스웨덴 스톡홀름 국제평화연구소의 초청 연구원이었으며, 서울대학교 국제문제 연구소장, 미국학 연구소장, 한국 평화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조선일보』와 『중앙일보』에 20년 동안 400편의 시론을 썼고, “하영선 칼럼”을 7년 동안 연재했다. 전파연구, 한국외교사, 정보세계 정치, 동아시아연구원의 연구 모임들을 이끌며 한국 국제 정치학의 길을 개척해 왔다. 강의와 답사를 연계해서 ‘체험하는 외교사’라는 학습 모델을 개발하여 ‘서울대 교육상’을 수상하였으며, 서울대학교와 동아시아연구원에서 지난 20년 동안 동아시아 질서 건축사와 한국의 생존전략을 젊은 세대들과 함께 공부하고 현장을 찾아보는 학술답사를 계속하고 있다. 최근 저서 및 편저로는 국제정치이론 분야에서 『사랑의 세계정치: 전쟁과 평화』(2019), 『미중의 아태질서 건축경쟁』(2017), 『복합 세계정치론: 전략과 원리 그리고 새로운 질서』(2012), 『변환의 세계정치』(2012), 한국외교사 분야에서 『한국외교사 바로보기: 전통과 근대』(2019), 『사행의 국제정치: 16-19세기 조천?연행록 분석』(2016), 한국외교정책 분야에서 『1972 한반도와 주변4강 2014』(2015), 『2020 한국외교 10대과제: 복합과 공진』(2013), 『하영선 국제정치 칼럼 1991-2011』(2012), 『북한2032: 선진화로 가는 공진전략』(2010), 『한일 신시대를 위한 제언: 공생을 위한 복합 네트워크의 구축』(2010), 한국개념사연구 분야에서 『한국 사회과학 개념사』(2018), 『냉전기 한국 사회과학 개념사』(2018), 『근대 한국의 사회과학 개념 형성사 1/2』(2009/2012) 등이 있다.
남궁곤(엮은이)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정치학 석사학위를, 미국 커네티컷대학교(University of Connecticut) 대학원에서 국제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동아일보 21세기평화연구소 연구위원과 경희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있다. 저서로 『근대국제질서와 한반도』(공저, 2003), 『현대 국제관계이론과 한국』(공저, 2004), 『21세기 미국의 거버넌스』(공저, 2004),『네오콘 프로젝트』(편저, 2005),『한국 외교정책: 역사와 쟁점』(공편, 2010) 등이 있다.

목차
목차 제2판을 펴내며 = 5 제1판을 펴내며 = 7 서장 변환의 세계정치와 한반도 1. 머리말 = 16 2. 19세기 국제정치의 변환: 천하예의지방에서 국민 부강국가로 = 17 3. 21세기 주인공의 변환: 네트워크 국가/늑대거미 = 19 4. 21세기 세계무대의 변환: 지식기반 복합 국가/다보탑 = 26 5. 21세기 연기의 변환: 늑대거미 다보탑 쌓기 = 31 6. 맺음말: 21섹 한반도의 선택 - 매력 국가 = 32 제1부 세계정치의 역사적 변환과 한국 제1장 근대 국제정치 질서와 한국의 만남 1. 머리말: 근대 서구 국제질서와 동아시아 = 40 2. 근대 국제정치 질서의 성격과 팽창 = 42 3. 근대 국제정치 질서와 전통적 중화 질서의 충돌 = 52 4. 근대 국제정치 질서와 한국의 동요 = 57 5. 세계대전과 근대 국제정치 질서의 변환 = 62 6. 맺음말 = 69 제2장 국제 냉전 질서와 한국의 분단 1. 머리말: 냉전의 의미 = 74 2. 국제 냉전 질서의 형성: 제2차 세계대전의 종전과 한국전쟁 = 76 3. 국제 냉전 질서의 전개: 자유 - 공산 진영의 대립과 한미동맹 = 85 4. 국제 냉전 질서의 완화: 데탕트의 가능성과 한계 = 94 5. 국제 냉전 질서의 해체: 신냉전에서 탈냉전으로 = 101 6. 맺음말: 냉전의 '긴 평화'와 한반도 평화 문제 = 104 제3장 현대 세계정치의 변환과 한국의 외교 1. 머리말: 냉전의 종식과 현대 세계정치 질서 = 110 2. 현대 세계정치의 복합적 변환 = 111 3. 현대 동아시아 정치의 변환 = 128 4. 현대 세계정치의 변환과 한국 = 138 5. 맺음말 = 146 제2부 세계정치이론의 변환과 한국 제4장 근대 세계질서의 국제정치이론과 한국 1. 머리말 = 152 2. 제1차 세계대전 이전의 서구 국제정치와 국제정치사상 = 156 3. 제1차 세계대전 이후의 서구 국제정치이론 = 161 4. 근대 변환기 동아시아 국제정치사상과 국제정치관의 전개 과정 = 166 5. 조선 국제정치관의 변화와 전간기의 국제정치이론 = 175 6. 맺음말 = 180 제5장 세계 냉전질서의 세계정치이론과 한국 1. 머리말: 세계정치 현실과 이론 = 184 2. 현실주의 세계정치이론: 냉전에 대한 무도덕적 이해와 국제적 갈등 = 186 3. 자유주의 세계정치이론: 데탕트와 유럽통합, 그리고 국제협력 = 194 4. 마르크스주의 세계쩡치이론: 세계질서와 겨제구조에 대한 비판적 시각 = 202 5. 새로운 시각: 현실주의와 자유주의에 대한 제한적 도전 = 204 6. 냉전기 세계정치이론의 동아시아 유입 = 206 7. 맺음말 = 209 제6장 현대 세계정치의 국제정치이론과 한국 1. 머리말 = 212 2. 현대 세계정치와 주류 국제정치이론의 변환 = 213 3. 대안 이론의 모색과 구서주의 = 221 4. 새로운 21세기 국제정치이론의 가능성 = 225 5. 현대 국제정치이론과 동북아시아 = 227 6. 현대 국제정치이론과 한국 = 230 7. 맺음말 = 232 제3부 현대 세계정치질서의 변환과 한국 제7장 현대 세계현대안보질서의 변환과 동북아시아 1. 머리말 = 236 2. 현대 세계안보질서 변환의 의의 = 237 3. 현대 세계안보질서의 변환 = 242 4. 현대 동북아시아 안보질서의 변환 = 251 5. 맺음말 = 259 제8장 한반도 안보질서의 변환 1. 머리말 = 264 2. 북한 문제와 한국 안보 = 266 3. 한미 관계와 한국 안보 = 282 4. 동아시아 안보 질서와 한반도 = 288 5. 맺음말 = 294 제9장 세계 무역ㆍ생산ㆍ개발원조 변환과 한국의 번영 1. 머리말 = 298 2. 세계 무역 질서의 변환과 한국 = 300 3. 세계 생산 질서의 변환과 한국: 해외직접투자와 세계 생산 네트워크 = 307 4. 공적개발원조와 한국 = 315 5. 동아시아 경제협력과 한국 = 321 제10장 세계 금융통화 질서의 변환과 한국의 협력 1. 머리말 = 326 2. 세계 금융통화 질서: 역사와 구조 = 329 3. 세계 금융 위기 이후 세계 금융통화 질서의 변환 = 333 4. 동아시아 금융통화 협력 = 342 5. 세계 금융통화 질서와 한국 = 346 6. 맺음말 = 347 제11장 세계문화질서의 변환과 한국의 매력 1. 머리말: 세계문화질서의 변환 = 350 2. 현대 세계정치에서 문화 의제 = 351 3. 생활양식으로서의 세계문화 의제: 문명 충돌과 종교 근분주의 = 352 4. 권력자원으로서의 세계문화 의제: 소프트 파워, 문화제국주의, 오리엔탈리즘 = 359 5. 현대 세계문화의 등장 = 364 6. 세계문화질서의 변환과 동아시아 = 367 7. 맺음말: 한국의 문화 전통과 매력 = 372 제12장 정보세계정치의 변환과 한국의 전략 1. 머리말 = 376 2. 정보혁명과 세계정치 권력의 변환 = 378 3. 정보혁명과 세계 지식 질서의 변환 = 384 4. 정보혁명과 네트워크 국가의 부상 = 394 5. 맺음말 = 402 제13장 환경ㆍ에너지 국제정치의 변환과 한국의 대응 1. 머리말: 환경ㆍ에너지 국제정치의 특성 = 406 2. 환경 국제정치의 등장과 변환 = 410 3. 에너지 국제정치의 변환 = 4118 4. 동북아시아 환경 및 에너지 협력 = 428 5. 한국의 대응 = 437 6. 맺음말: 환경ㆍ에너지 국제정치의 미래 = 441 제14장 세계정치 운영 방식의 변환과 한국의 참여 1. 머리말: 현대 세계정치의 초국가성과 한국 = 446 2. 현대 세계정치 운영 방식의 변환 = 447 3. 현대 세계정치 운영 행위자의 변환 = 454 4. 현대 세계정치 운영 준거의 변환 = 459 5. 동아시아 지역 정치 운영의 변환 = 463 6. 현대 세계정치 운영과 한국의 참여 = 467 7. 맺음말 = 471 참고문헌 = 473 찾아보기 = 4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