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01namcc2200217 c 4500 | |
001 | 000045698351 | |
005 | 20120328203102 | |
007 | ta | |
008 | 120327s2012 ulkd b 001c kor | |
020 | ▼a 9788958325550 ▼g 9332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339 ▼2 22 |
085 | ▼a 339 ▼2 DDCK | |
090 | ▼a 339 ▼b 2012z1 | |
100 | 1 | ▼a 최명식 ▼0 AUTH(211009)5956 |
245 | 1 0 | ▼a 국제거시경제학 = ▼x International macroeconomics / ▼d 최명식 지음 |
260 | ▼a 서울 : ▼b 시그마프레스, ▼c 2012 | |
300 | ▼a x, 514 p. : ▼b 도표 ; ▼c 26 cm | |
504 | ▼a 참고문헌과 색인, 부록수록 |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39 2012z1 | Accession No. 11166131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국제금융론/외환론이 다루는 내용을 포함하여 개방경제를 강조하면서 전 세계적 거시경제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주류 이론 모형과 분석 방식을 제시한다. 학부수준의 고급 개념을 비롯하여 대학원에서 다루는 기초 이론의 수준에서 세계경제 움직임에 관한 최신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국제금융경제 전반에 대한 독자들의 이해를 돕고 분별력을 높여 준다.
1980년대 초반 이후 신자유주의가 주류 경제학을 이끌었으나, 2000년대 후반 글로벌 금융위기와 전 세계 경기침체로 인해 후기 케인즈 학파의 시각이 대안으로 제시되곤 한다. 세계화된 최근 경제에서는 주요 경제 현상이 세계시장 차원에서 나타나고 있으며, 우리나라와 같이 대외경제에 크게 의존하는 소규모 개방경제에서는 범세계적 경제활동이 필수적이다. 이에 따라 글로벌 경제 이슈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이 책은 국제금융론/외환론이 다루는 내용을 포함하여 개방경제를 강조하면서 전 세계적 거시경제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주류 이론 모형과 분석 방식을 제시한다. 학부수준의 고급 개념을 비롯하여 대학원에서 다루는 기초 이론의 수준에서 세계경제 움직임에 관한 최신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국제금융경제 전반에 대한 독자들의 이해를 돕고 분별력을 높여 줄 것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Table of Contents
목차 제1부 개방거시경제 기초 제1장 국제금융과 환율 = 3 환율 = 4 국제거시경제학 소개 = 4 국제통화 = 10 외환거래 = 15 환율 = 21 화폐와 환율변동 = 26 부록_원-달러 환율의 변동성 = 34 Headline_우리나라의 외환시장개입 = 34 금융 세계화 = 35 은행 시스템과 국제금융 = 35 펀드 : 헤지펀드 = 42 국제 단기금융 = 48 국제 자본거래 = 54 글로벌 불균형의 지속 가능성 = 59 부록_수출에 대한 환율변동성의 영향 = 64 Headline_우리나라의 외환시장개입 = 65 연습문제 = 66 제2부 개방국민경제 경험 제2장 외환시장과 정부 = 75 통화와 외환의 실제 = 76 화폐와 은행 = 776 화폐수요 = 84 외환시장의 역할 = 91 외환시장의 구조 = 95 부록_국제통화제도의 변천 = 102 Headline_기축통화의 변화 = 102 미래지향 외환거래 = 104 선물환 = 105 외환스왑 = 109 외환파생상품 : 선물, 옵션, 스왑 = 111 부록_환율변동성 충격 = 119 Headline_NDF 역외 투기거래 = 119 외환시장개입 = 120 민간은행의 시장조성 = 120 중앙은행의 시장개입 = 124 태화ㆍ불태화 시장개입 = 127 시장개입의 효과 = 132 부록_외환거래 시장조성자의 변화 = 136 Headline_외환시장개입의 긍정적ㆍ부정적 효과 = 136 연습문제 = 138 제3장 생산물시장 균형 = 145 구매력 평가 = 146 생산물시장 개방 = 146 실질환율과 교역조건 = 151 구매력 평가설 = 155 단순통화론 모형 = 158 구매력 평가설의 이탈현상 = 160 부록_빅맥지수(Big Mac Index) = 165 Headline_PPP의 경험 = 166 연습문제 = 167 제4장 자본시장 균형 = 171 금융개방과 국제투자 = 172 자본자유화 = 172 국제 포트폴리오 증권투자 = 174 해외직접투자 = 179 국제금융시장 : 자본이동성 = 181 이자율 평가 = 189 이자율 평가설 = 189 이자율 평가설의 이탈과 효율적 시장 가설 = 197 부록_우리나라의 시장효율성 = 204 Headline_역외 통화거래 = 204 연습문제 = 206 제5장 국제수지 = 211 국제수지계정 = 212 국제수지표 작성 = 214 국제수지표 기재 = 217 국제수지의 균형과 조정 = 224 불균형의 조정과 측정 = 226 국민소득과 국제수지의 연결 = 229 시점 간 경상수지 모형 = 231 부록_캐리트레이드와 환율 = 236 Headline_경상수지 불균형 = 236 연습문제 = 238 제6장 국민소득 결정 = 243 개방경제 국민소득 결정 = 244 화폐수요 모형 = 244 멘델-플레밍 모형 = 248 멘델-플레밍 모형과 거시경제정책 = 255 새 개방거시경제 모형 = 260 부록_멘델-플레밍 모형의 기초 = 267 Headline_통화정책의 비밀주의 해체 = 268 연습문제 = 270 제7장 환율결정 = 273 환율결정 이론 = 274 환율결정 원리 = 274 평가절하와 국제수지 조정 = 278 국제수지 모형 = 284 자산시장 모형 = 287 뉴스와 투기적 거품 = 300 미시 모형 = 306 부록_펀더멘털 균형환율과 소망 균형환율 = 312 Headline_김치본드와 NDF 규제 = 312 연습문제 = 314 제8장 외환위험 헤징 = 319 환위험 = 320 환율변동성 = 320 환노출과 환위험 = 322 헤징 모형 = 332 환율예측과 환위험 평가 = 332 환위험 관리 = 334 선물헤징 모형 = 347 부록_환위험 헤징에 대한 부정적 가설 = 355 Headline_우리나라 통화 부문의 Macro-Data(2009년) = 355 연습문제 = 358 제9장 금융위기 대응 = 363 외환보유액과 채무 = 364 국제 금융통제와 대외준비자산 = 364 외환보유액 = 367 적정 외환보유액 모형 = 370 재정 건전성과 채무의 지속 가능성 = 377 재정적자와 국가채무 = 378 국가부채 모형 = 382 대외채무와 외채상환 능력 = 384 부록_잠재 국가부채와 포괄적 국가부채 = 394 Headline_우리나라 외환보유액(IMF 신기준 적정 규모) = 395 금융위기 = 396 외환위기ㆍ금융위기와 실물경제 변동 = 396 세계 금융위기에 대한 논의 = 401 외환위기ㆍ금융위기 모형 = 412 부록_금융위기 해결 방안과 거시경제 국제협력 = 421 Headline_국가 간 자본이동과 IMF = 422 연습문제 = 424 제10장 국제통화제도 = 429 환율제도 = 430 화폐제도와 국제통화제도 = 430 환율제도의 종류 = 437 환율제도의 선택 = 443 국제통화제도의 변천 = 447 부록_국제통화제도의 문제점 = 460 Headline_국제통화제도 개혁의 윤곽 = 460 국제통화 공조 = 463 국제통화제도의 개선 방안 = 463 목표환율대 모형 = 465 최적통화지역 = 469 아시아 통화협력 = 474 부록_금 가격 추이와 글로벌 경기 흐름 = 478 Headline_유로존 = 479 연습문제 = 481 찾아보기 = 4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