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741camcc2200241 c 4500 | |
001 | 000045697918 | |
005 | 20121018104955 | |
007 | ta | |
008 | 120326s2009 ggkad b 001c kor | |
020 | ▼a 9788925401034 ▼g 93370 | |
035 | ▼a (KERIS)BIB000011656528 | |
040 | ▼a 211062 ▼c 211062 ▼d 222001 ▼d 244002 ▼d 211009 | |
082 | 0 4 | ▼a 374 ▼2 23 |
085 | ▼a 374 ▼2 DDCK | |
090 | ▼a 374 ▼b 2009z8 | |
100 | 1 | ▼a 권두승 ▼g 權斗承 ▼0 AUTH(211009)130540 |
245 | 1 0 | ▼a 평생교육경영론 = ▼x Management in lifelong education / ▼d 권두승, ▼e 최운실 |
260 | ▼a 파주 : ▼b 교육과학사, ▼c 2009 ▼g (2010) | |
300 | ▼a 441 p. : ▼b 삽화, 도표 ; ▼c 24 cm | |
504 |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 |
653 | ▼a 평생교육 | |
700 | 1 | ▼a 최운실 ▼g 崔云實, ▼e 저 ▼0 AUTH(211009)45052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4 2009z8 | 등록번호 11167737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374 2009z8 | 등록번호 15130655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4 2009z8 | 등록번호 11167737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374 2009z8 | 등록번호 15130655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권두승(지은이)
명지전문대 청소년교육복지과 교수. 명지전문대 부총장과 한국평생교육학회 제26대 학회장을 지냈고, 2017년부터 전국평생학습연석회의 대변인 겸 홍보위원장을 맡고 있으며, 2012년부터 한국청소년지원네트워크 이사장으로 재직하면서 지역사회의 시설 중심으로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평생교육운동에 참여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평생교육론』 『사회교육법규론』 『성인교육자론』 등이 있고, 공저로는 『평생교육경영론』 『성인학습 및 상담』 등이 있다.
최운실(지은이)
이화여대학교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교육학으로 석사와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한국평생교육학회 회장, 국가평생교육진흥원 원장 등을 역임하였으며, 현재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수로 재직하면서 대한민국평생교육진흥재단 대표와 『평생학습타임즈』 발행인을 맡고 있다. 저서로 『한국의 평생교육』(1990), 『평생교육경영론』(2014, 공저), 『노인교육론』(2017, 공저) 외 다수가 있다.

목차
목차 머리말 = 3 제1부 평생교육 기관경영의 이해 제1장 평생교육 경영의 본질 = 17 제1절 평생교육 경영의 본질 = 19 제2절 평생교육 경영의 필요성 = 28 제3절 평생교육 경영의 원리 = 31 제2장 학습권 보장:평생교육경영의 원리 = 39 제1절 기본적 인권으로서의 학습권 = 41 제2절 학습권 보장과 교육권 = 50 제3절 학습권 보장을 위한 평생교육 경영의 과제 = 54 제3장 평생교육 기관의 법적 기반 = 69 제1절 헌법 및 교육기본법의 이해 = 71 제2절 평생교육법의 이해 = 86 제4장 평생교육 지원체제의 이해 = 97 제1절 평생교육 정책의 이해 = 99 제2절 평생교육 지원 행정조직 = 103 제3절 평생교육 추진체제 = 109 제5장 평생교육 기관론 = 129 제1절 평생교육 기관의 개념 = 131 제2절 평생교육 기관의 유형 = 137 제3절 한국 평생교육 기관의 특징 = 151 제2부 평생교육 기관의 경영과정 제6장 평생교육 기관 경영자론 = 159 제1절 평생교육 경영자의 유형과 역할 = 161 제2절 평생교육 기관 경영자의 자질과 능력 = 167 제3절 평생교육 기관 경영자의 사회적 책임 = 175 제7장 평생교육 기관 목적론 = 185 제1절 평생교육 기관의 비전과 경영목적 = 187 제2절 평생교육 기관의 경영이념 = 193 제3절 평생교육 기관의 목적과 유형 = 197 제8장 평생교육 조직론 = 215 제1절 조직의 일반적 이해 = 217 제2절 교육조직의 특징 = 223 제3절 평생교육 조직의 유형과 특성 = 231 제9장 평생교육의 리더십론 = 239 제1절 리더십의 본질 = 241 제2절 리더십 이론의 전개과정 = 246 제3절 평생교육 리더십의 유형과 특성 = 265 제10장 평생교육 경영전략론 = 275 제1절 평생교육 기관 경영전략의 이해 = 277 제2절 조직의 내부 및 외부 환경 분석 = 282 제3절 평생교육 기관의 경쟁전략 = 290 제3부 평생교육 기관 경영관리론 제11장 마케팅 관리론 = 307 제1절 평생교육 기관 마케팅관리의 이해 = 309 제2절 평생교육 기관 마케팅 경영관리의 주요단계 = 317 제3절 마케팅 경영관리의 과제 = 334 제12장 평생교육 서비스 질 관리론 = 339 제1절 프로그램 관리의 단계 = 341 제2절 교육 프로그램 서비스의 질 관리 = 351 제3절 고객만족 경영관리 = 361 제13장 평생교육 조직 관리론 = 371 제1절 인적 자원 관리 = 373 제2절 직무만족도와 조직헌신도 제고를 위한 조직관리 = 380 제3절 조직의 변화관리 = 389 제14장 지역사회와의 관계 관리론 = 409 제1절 평생교육 기관경영과 지역사회 관계의 성격 = 411 제2절 평생교육기관과 지역사회 관계에의 접근 = 421 제3절 평생교육 기관 경영에의 주민 참여 체제 = 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