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939camcc2200289 c 4500 | |
001 | 000045697373 | |
005 | 20120323114843 | |
007 | ta | |
008 | 120322s2012 ulkd 000c kor | |
020 | ▼a 9788996813606 ▼g 03300 | |
035 | ▼a (KERIS)BIB000012712638 | |
040 | ▼a KYOBO ▼c KYOBO ▼d 211046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324.2172 ▼2 22 |
085 | ▼a 324.2172 ▼2 DDCK | |
090 | ▼a 324.2172 ▼b 2012 | |
245 | 0 0 | ▼a 좌파의 정부참여, 독인가 약인가 : ▼b 라틴아메리카와 유럽, 현장의 목소리 / ▼d 비르지트 다이버 엮음 ; ▼e 이승숙, ▼e 김은령, ▼e 박나실 번역 |
246 | 1 9 | ▼a (The) left in government Latin America and Europe compared |
260 | ▼a 서울 : ▼b 서울민주아카이브, ▼c 2012 | |
300 | ▼a 324 p. : ▼b 도표 ; ▼c 22 cm | |
700 | 1 | ▼a Daiber, Birgit, ▼d 1944-, ▼e 편 ▼0 AUTH(211009)14017 |
700 | 1 | ▼a 이승숙, ▼e 역 ▼0 AUTH(211009)108060 |
700 | 1 | ▼a 김은령, ▼e 역 ▼0 AUTH(211009)78804 |
700 | 1 | ▼a 박나실, ▼e 역 ▼0 AUTH(211009)10556 |
900 | 1 0 | ▼a 다이버, 비르지트, ▼e 편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24.2172 2012 | 등록번호 11166082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좌파정당의 오랜 역사를 가진 유럽에서 현재 이뤄지고 있는 좌파정당의 정부참여 현황, 지구상 가장 활발하게 좌파정당의 집권이 이뤄지고 있는 라틴아메리카 국가들이 직면한 과제들에 대해 각 정당 활동가들의 연구물을 엮은 것이다.
2008년 로자 룩셈부르크 재단 브뤼셀지부가 개최한 ‘좌파의 정부참여: 전략 프로젝트는?’ 세미나에 참여한 활동가들의 발표문들로 생생한 현장의 목소리와 고민들로 채워져 있다. 특히 우리와 비교적 상황이 비슷하다고 볼 수 있는 유럽에서의 정당, 정파 간 연대연합의 문제와 정권을 잡았다고 생각했던 라틴아메리카에서 직면한 과제들은 최근 좌파, 진보정당이 급부상하고 있는 한국 상황에 적용시켜 함께 고민하고 토론해 볼만한 주제들이다.
재야세력에서 어느덧 정치의 중심부로 진격한 좌파.
그들의 정부참여, 무엇을 얻고 무엇을 잃을 것인가
유럽 좌파정당의 오랜 역사와 라틴아메리카 좌파정당의 최근 승리에 대한
생생한 현장 보고서.
출판사서평
좌파, 재야에서 정부의 주체로
소련붕괴 이후 특히 한국에서는 ‘좌파’란 ‘재야’를 의미하는 것이었다. 그들은 ‘마이너’였으며 비판적 소수로 ‘정부’ 바깥에 존재하는 것이 당연하게 여겨졌다. 그러나 유럽에서 좌파정당이 여러 가지 형태로 정부에 참여하게 되고, 라틴아메리카에서 잇달아 좌파정부가 수립되면서 ‘정부 안의 좌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게 되었다.
또한 2008년 이후 심각해진 세계 자본주의경제 위기에 대안에 대한 모색과 토론이 활발해지면서 과연 ‘좌파’가 진보적 정책과 정치적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정부’를 통해 이뤄야 할 것과 이룰 수 있는 것에 대한 논쟁도 치열하게 벌어지고 있다.
역사적 경험, 현재의 과제
이 책은 좌파정당의 오랜 역사를 가진 유럽에서 현재 이뤄지고 있는 좌파정당의 정부참여 현황, 지구상 가장 활발하게 좌파정당의 집권이 이뤄지고 있는 라틴아메리카 국가들이 직면한 과제들에 대해 각 정당 활동가들의 연구물을 엮은 것이다.
2008년 로자 룩셈부르크 재단 브뤼셀지부가 개최한 ‘좌파의 정부참여: 전략 프로젝트는?’ 세미나에 참여한 활동가들의 발표문들로 생생한 현장의 목소리와 고민들로 채워져 있다. 특히 우리와 비교적 상황이 비슷하다고 볼 수 있는 유럽에서의 정당, 정파 간 연대연합의 문제와 정권을 잡았다고 생각했던 라틴아메리카에서 직면한 과제들은 최근 좌파, 진보정당이 급부상하고 있는 한국 상황에 적용시켜 함께 고민하고 토론해 볼만한 주제들이다.
이 책에 실린 정당들의 정치적 스펙트럼은 사실 다양하다. 개혁주의, 사회민주주의, 사회주의까지. 그러나 용어가 생소하다고 해서 현재 지구상에서 벌어지고 있는 가장 중요한 정치분야의 화학작용에 대해 외면해서는 안 될 것이다. 또한, 다양한 형태의 사회주의적 국가들이 이미 지구상에 존재하고 있고, 세계경제위기와 미국 중심의 세계질서에 대응해 의미심장한 실험들은 계속 되고 있으므로 진보정당과 대안 시스템에 대해 관심있어 하는 독자라면 편견을 털고 읽어볼 만하다.
독자 여러분께서는 이 책을 통해 프랑스, 독일, 노르웨이, 키프러스, 이탈리아, 스웨덴, 브라질, 파라과이, 에콰도르, 베네주엘라, 엘살바도르, 칠레의 실제 경험과 과제들을 생생하게 만나볼 수 있는 기회를 가져보기를 바란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비르지트 다이버(엮은이)
로자 룩셈부르크 재단 브뤼셀 지부의 대표. 로자 룩셈부르크 재단은 대표적인 독일의 정치재단이다. 정당과는 독립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지만 정치와 긴밀한 관계를 가지고 정책적 대안, 정치적 대안에 대한 연구를 지속하고 있다. 이들은 독일에 한정되지 않고 전 세계적 범위에서 연구하고 있으며 활발한 교류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이 재단은 자본주의 사회가 가지고 있는 한계를 극복하고 새로운 사회를 실현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브뤼셀 지부는 서울민주아카이브와 긴밀한 협력을 통해 아시아의 진보세력과 소통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또한 활발한 컨퍼런스와 세미나를 개최하여 라틴아메리카와 유럽 사이 진보정당 간 연대를 실현하고 있다.

목차
목차 한국어판 서문 = 5 편집자 서문 = 9 들어가는 말 = 13 정부참여를 통한 사회주의정치가 가능할까? : 로자 룩셈부르크의 5대 반대 이유와 토론을 위한 5대 제안 : 미하엘 브리, 독일 = 35 라틴아메리카 좌파운동의 다양한 전략들 : 발터 포마르, 브라질 = 50 브라질의 성공적인 사회경제 발전과 새 모델을 실행하기 위한 도전과 정치적 관점 : 이올레 일리아다, 브라질 = 72 위기의 자본주의와 탈자본주의 한계 : 페드로 파에즈 페레스, 에콰도르 = 83 파라과이의 좌파와 신정부의 도전 : 로시오 카스코, 파라과이 = 97 변화하는 정치 그리고 우리의 길: 적적연대를 통한 프로젝트와 우리의 경험 : 스테판 리비히, 독일 = 108 프랑스 좌파정부와 헤게모니의 도전 : 엘리자베스 고티에, 프랑스 = 120 이탈리아 사례: 견해 : 루치아나 카스텔리나, 이탈리아 = 129 정부에 참여한 비(非)집권당: 민중의 기대와 권력의 배타적 균형 사이에서 곤경에 처한 좌파정당들 : 아스보른 발, 노르웨이 = 142 좌파의 국가계획: 파라분도마르티민족해방전선의 정치 경험 : 카를로스 카스타네다 마가나, 엘살바도르 = 155 엘살바도르 좌파의 역사적인 선거 승리 : 에르네스토 젤라얀디아, 엘살바도르 = 164 좌파정부, 키프로스의 경험 : 이오안니스 콜로카시데스, 키프로스 = 175 정당과 비의회조직 간의 관계 변화: 멕클렌베르그-히서 포메라니아의 사례 : 스테펜 보크한, 독일 = 185 좌파정부: 현재 변화에 대한 문화적, 정치적 관점 : 릴리안 첼리베르티, 우루과이 = 193 좌파: 위기의 관리자인가 혹은 구조 개혁의 선동자인가? : 게르만 로다스 차베스, 에콰도르 = 206 좌파정부: 지속적인 변화를 위한 프로그램의 요소 : 그라시엘라 가라시아 베라, 우루과이 = 219 좌파연합과 변화를 위한 새로운 프로그램을 향한 투쟁: 브라질 사례의 특성을 중심으로 : 호세 레이날도 카르발료, 브라질 = 230 볼리바르 사회주의에 대한 전망 : 엑토르 로드리게스 카스트로, 베네수엘라 = 241 최근 국제 유가 하락에 따른 석유 사회주의 국가 베네수엘라의 대응책 : 마르가리타 로페스마야, 루이스 E. 랜더, 베네수엘라 = 253 칠레의 신자유주의와 좌파정부의 도전 과제 : 카를로스 아르루에, 칠레 = 277 노르웨이 적녹연합정부와 노조 및 사회운동의 연대 : 다그 사이어르스타드, 노르웨이= 292 파라과이의 수력전기 주권 : 호세 피네다, 파라과이 = 304 금융 및 경제 구조를 바꾸는 힘: 권력 균형에 변화를 가져오는 주요 요인들 : 프란시스코 콘트레라스, 스웨덴 = 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