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행정과 행정학의 이해
제1장 실제로서의 행정: 행정현상 = 5
1. 행정의 실제에서 개념으로 = 6
2. 행정의 특성: 경영과의 차이 = 10
1) 목적: 추구하는 가치 = 10
2) 주체 = 11
3) 자원의 관리활동 = 14
4) 재화와 서비스의 제공 = 15
5) 환경적 요소 = 15
제2장 현상에서 학문으로: 행정현상→행정학 = 18
1. 접근방법 = 20
1) 행태론적 접근방법 = 21
2) 체제론적 접근방법 = 27
3) 제도론적 접근방법 = 35
4) 논변적 접근방법 = 45
2. 행정학의 성격, 사명, 정체성 위기 = 49
1) 행정학의 성격 = 49
2) 행정학의 사명 = 52
3) 행정학의 정체성 위기 = 53
3. 이 책의 구성: 행정체제모형 = 57
1) 환경과 투입 = 57
2) 전환과정 = 59
3) 산출과 피드백 = 61
제2부 행정환경 = 69
제3장 일반환경 = 69
1. 정치적 환경 = 71
2. 법적 환경 = 74
3. 경제적 환경 = 76
4. 사회적 환경 = 77
5. 기술적 환경 = 78
6. 글로벌 환경 = 80
7. 행정과 환경 = 80
1) 종속적 관계 vs. 상호의존적 관계 = 80
2) 환경변화와 대응 = 82
제4장 과업환경 = 87
1. 대통령 = 87
2. 국회 = 91
3. 법원, 헌법재판소 = 93
4. 비공식 환경: 제도화되지 않은 환경 = 97
1) 언론기관 = 97
2) 국민 = 99
3) 시민단체 = 104
4) 정당 = 107
5) 이익집단 = 109
제3부 행정내부환경
제5장 공공가치 = 115
1. 공공성 = 115
1) 의의 = 115
2) 공공성의 특성 = 116
3) 공공성 개념의 약화 = 121
4) 한국행정의 공공성 정립 = 122
2. 공익 = 125
1) 의의 = 125
2) 학설 = 126
3) 개념의 절충과 관리적 의미 = 129
3. 행정이념 = 132
1) 의의 = 132
2) 합법성과 민주성 = 132
3) 형평성 = 136
4) 능률성과 효과성 = 140
4. 과제 = 143
제6장 정부관: 정부의 규모와 역할 = 147
1. 정부관의 변천 = 147
1) 근대국가 = 147
2) 현대복지국가 = 148
3) 행정국가: 큰정부 = 144
2. 작은 정부 = 151
1) 등장 배경 = 151
2) 의의 = 157
3. 신공공관리: 작지만 '효율적인' 정부 = 159
1) 개념 = 159
2) 특성 = 161
3) 한계 = 166
4. 뉴거버넌스: 적정 규모와 역할의 유연한 정부 = 169
1) 개념 = 169
2) 특성 = 171
3) 한계 = 174
5. 한국적 맥락에서의 이해 = 176
1) 작은정부: 양적 측면 = 176
2) 작지만 '강한 정부': 질적 측면 = 181
3) NPM과 뉴거버넌스의 적실성 = 187
4) 국민이 원하는 정부 = 189
제7장 행정문화 = 195
1. 의의 = 195
2. 관료제 = 196
1) 의의 = 196
2) 관료문화 = 198
3. 한국문화 = 201
1) 호프스테드의 문화차원 = 201
2) 트롬페나르의 문화차원 = 203
4. 한국행정문화 = 207
1) 특성 = 207
2) 과제 = 215
제4부 결정시스템
제8장 정책결정 = 221
1. 정책의 의의 = 221
1) 개념 = 221
2) 유형 = 222
3) 정책과정 = 225
2. 결정모형 = 227
3. 좋은 정책결정 = 234
1) 의의 = 234
2) 정책결정과정 = 235
3) 정책분석 = 243
4) 정책결정의 장과 참여자 = 248
제9장 미션ㆍ비전ㆍ전략, 리더십 = 261
1. 미션ㆍ비전ㆍ전략 = 261
1) 미션 = 262
2) 비전, 핵심가치 = 267
3) 전략 = 271
2. 리더십 = 280
1) 의의 = 281
2) 이론의 전개: 자질론-행태론-상황론 = 282
3) 리더십에 대한 새로운 시각 = 292
제5부 집행시스템
제10장 정책집행 = 305
1. 의의 = 305
1) 특성 = 305
2) 연구경향 = 308
2. 정책집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312
1) 정책결정 = 312
2) 집행주체 = 316
3) 정책대상집단 = 319
4) 집행환경 = 322
3. 정책(집행)수단 = 325
1) 의의 = 325
2) 정책수단별 이해 = 328
3) 선택 = 343
제11장 행정서비스 = 348
1. 서비스의 전달주체 = 348
1) 의의 = 348
2) 지방자치단체 = 349
3) 특별지방행정기관 = 355
2. 서비스의 전달대상 = 356
1) 주민에서 고객으로 = 356
2) 고객지향 행정서비스 = 358
3) 민원행정서비스 = 367
제6부 조직시스템
제12장 조직: 구조차원 = 379
1. 조직구조 = 379
1) 의의 = 379
2) 조직구조의 차원 = 382
3) 조직구조의 설계 = 384
2. 조직구조의 유형 = 391
1) 이론적 유형 = 391
2) 실제 유형: 한국 행정조직구조 = 396
제13장 조직: 관리차원 = 406
1. 개인 측면의 관리 = 406
1) 개인의 이해 = 406
2) 동기부여 = 412
2. 조직 측면의 관리 = 423
1) 커뮤니케이션 = 423
2) 갈등관리 = 432
3) 변화관리 = 442
제7부 지원시스템
제14장 인사 = 463
1. 제도적 기반 = 465
1) 실적주의제 = 465
2) 직업공무원제 = 471
3) 공직의 분류제도 = 476
2. 인적자원 관리활동 = 487
1) 확보: 선발 = 487
2) 개발: 교육훈련과 인사이동 = 492
3) 유지ㆍ활용: 공무원의 행동과 권리 = 501
4) 평가: 근무성적평정 = 509
5) 보상: 보수 = 519
제15장 예산 = 534
1. 예산과정 = 536
1) 예산편성 = 537
2) 예산심의 = 549
3) 예산집행 = 554
4) 결산 = 561
2. 예산제도 = 565
1) 품목별 예산제도 = 567
2) 성과주의 예산제도 = 569
3) 계획 예산제도 = 571
4) 영기준 예산제도 = 575
5) 새로운 대안: 성과관리 예산제도 = 578
제16장 행정정보화: 전자정부 = 588
1. 개념적 기반 = 592
1) 행정(조직)혁신 = 592
2) 전자민주주의: 온라인 시민참여 = 597
2. 전자정부 유형 = 601
1) G2G = 601
2) G2C: 대민 전자정부 = 612
3) 전자정부 2.0 = 617
3. 실제적 기반 = 626
1) 정보통신기술 자원 = 626
2) 자원: 조직ㆍ인력ㆍ예산 = 630
3) 법적 기반 = 633
제8부 산출과 피드백
제17장 평가 = 649
1. 의의 = 649
1) 평가의 대상과 차원 = 649
2) 능률성과 효과성 = 651
3) 성과평가의 의의 = 653
2. 성과평가시스템: 균형성과표 = 654
1) 개념 = 654
2) BSC의 4대 관점 = 655
3) 특성 = 656
4) BSC의 정부부문 적용 = 658
5) 우리나라 성과관리시스템 = 662
3. 우리나라 평가제도 = 664
1) 의의 = 664
2) 중앙행정기관평가의 구성과 내용 = 668
3) 정부업무평가제도의 평가와 개선방향 = 668
찾아보기 = 6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