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한국) 행정학 제4판

(한국) 행정학 제4판 (Loan 182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유민봉
Title Statement
(한국) 행정학 = An introduction to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 유민봉 저
판사항
제4판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박영사,   2012   (2015)  
Physical Medium
xxi, 683 p. : 삽화 ; 25 cm
ISBN
9788964542507
General Note
색인수록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5697136
005 20150309151444
007 ta
008 120321s2012 ulka 001c kor
020 ▼a 9788964542507 ▼g 93350
040 ▼a 211009 ▼c 211009 ▼d 244002 ▼d 211009
082 0 4 ▼a 351.519 ▼2 23
085 ▼a 351.53 ▼2 DDCK
090 ▼a 351.53 ▼b 2012z3
100 1 ▼a 유민봉 ▼0 AUTH(211009)30047
245 2 0 ▼a (한국) 행정학 = ▼x An introduction to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 ▼d 유민봉 저
246 3 1 ▼a Introduction to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250 ▼a 제4판
260 ▼a 서울 : ▼b 박영사, ▼c 2012 ▼g (2015)
300 ▼a xxi, 683 p. : ▼b 삽화 ; ▼c 25 cm
500 ▼a 색인수록
945 ▼a KLPA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51.53 2012z3 Accession No. 11166069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51.53 2012z3 Accession No. 11166993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51.53 2012z3 Accession No. 11169304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4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51.53 2012z3 Accession No. 11173235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5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51.53 2012z3 Accession No. 15131530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6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51.53 2012z3 Accession No. 15131530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51.53 2012z3 Accession No. 11166069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51.53 2012z3 Accession No. 11166993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51.53 2012z3 Accession No. 11169304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4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51.53 2012z3 Accession No. 11173235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51.53 2012z3 Accession No. 15131530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51.53 2012z3 Accession No. 15131530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유민봉(지은이)

대전에서 태어났고 성균관대학교 행정학과를 졸업한(1980년) 후 미국 텍사스대에서 정책학석사를 오하이오주립대에서 행정학박사 학위를 받았다(1990년). 행정고시(제23회)를 합격하였고 해병대 중위로 군복무를 마쳤다(1983년). 1991년에 성균관대학교 행정학과 교수를 시작하였으며 대학의 기획조정처장․국정전문대학원장 및 한국행정학회 한국행정학보 편집위원장을 역임하였다. 2013년 박근혜 정부의 국정기획수석과 청불회(청와대불자회)장을 맡아 일했다. 제20대 국회의원(비례대표, 현 국민의힘)으로 4년간 의정활동을 하였다. 주요 저서로는 한국행정학(2021, 7판), 리콴유의 눈으로 본 세계(2017, 역서), 공공정책과 기업가형 리더십(2008, 제2저자), 나를 찾아가는 자기경영(2003) 등이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제1부 행정과 행정학의 이해
 제1장 실제로서의 행정: 행정현상 = 5
  1. 행정의 실제에서 개념으로 = 6
  2. 행정의 특성: 경영과의 차이 = 10
   1) 목적: 추구하는 가치 = 10
   2) 주체 = 11
   3) 자원의 관리활동 = 14
   4) 재화와 서비스의 제공 = 15
   5) 환경적 요소 = 15
 제2장 현상에서 학문으로: 행정현상→행정학 = 18
  1. 접근방법 = 20
   1) 행태론적 접근방법 = 21
   2) 체제론적 접근방법 = 27
   3) 제도론적 접근방법 = 35
   4) 논변적 접근방법 = 45
  2. 행정학의 성격, 사명, 정체성 위기 = 49
   1) 행정학의 성격 = 49
   2) 행정학의 사명 = 52
   3) 행정학의 정체성 위기 = 53
  3. 이 책의 구성: 행정체제모형 = 57
   1) 환경과 투입 = 57
   2) 전환과정 = 59
   3) 산출과 피드백 = 61
제2부 행정환경 = 69
 제3장 일반환경 = 69
  1. 정치적 환경 = 71
  2. 법적 환경 = 74
  3. 경제적 환경 = 76
  4. 사회적 환경 = 77
  5. 기술적 환경 = 78
  6. 글로벌 환경 = 80
  7. 행정과 환경 = 80
   1) 종속적 관계 vs. 상호의존적 관계 = 80
   2) 환경변화와 대응 = 82
 제4장 과업환경 = 87
  1. 대통령 = 87
  2. 국회 = 91
  3. 법원, 헌법재판소 = 93
  4. 비공식 환경: 제도화되지 않은 환경 = 97
   1) 언론기관 = 97
   2) 국민 = 99
   3) 시민단체 = 104
   4) 정당 = 107
   5) 이익집단 = 109
제3부 행정내부환경
 제5장 공공가치 = 115
  1. 공공성 = 115
   1) 의의 = 115
   2) 공공성의 특성 = 116
   3) 공공성 개념의 약화 = 121
   4) 한국행정의 공공성 정립 = 122
  2. 공익 = 125
   1) 의의 = 125
   2) 학설 = 126
   3) 개념의 절충과 관리적 의미 = 129
  3. 행정이념 = 132
   1) 의의 = 132
   2) 합법성과 민주성 = 132
   3) 형평성 = 136
   4) 능률성과 효과성 = 140
  4. 과제 = 143
 제6장 정부관: 정부의 규모와 역할 = 147
  1. 정부관의 변천 = 147
   1) 근대국가 = 147
   2) 현대복지국가 = 148
   3) 행정국가: 큰정부 = 144
  2. 작은 정부 = 151
   1) 등장 배경 = 151
   2) 의의 = 157
  3. 신공공관리: 작지만 '효율적인' 정부 = 159
   1) 개념 = 159
   2) 특성 = 161
   3) 한계 = 166
  4. 뉴거버넌스: 적정 규모와 역할의 유연한 정부 = 169
   1) 개념 = 169
   2) 특성 = 171
   3) 한계 = 174
  5. 한국적 맥락에서의 이해 = 176
   1) 작은정부: 양적 측면 = 176
   2) 작지만 '강한 정부': 질적 측면 = 181
   3) NPM과 뉴거버넌스의 적실성 = 187
   4) 국민이 원하는 정부 = 189
 제7장 행정문화 = 195
  1. 의의 = 195
  2. 관료제 = 196
   1) 의의 = 196
   2) 관료문화 = 198
  3. 한국문화 = 201
   1) 호프스테드의 문화차원 = 201
   2) 트롬페나르의 문화차원 = 203
  4. 한국행정문화 = 207
   1) 특성 = 207
   2) 과제 = 215
제4부 결정시스템
 제8장 정책결정 = 221
  1. 정책의 의의 = 221
   1) 개념 = 221
   2) 유형 = 222
   3) 정책과정 = 225
  2. 결정모형 = 227
  3. 좋은 정책결정 = 234
   1) 의의 = 234
   2) 정책결정과정 = 235
   3) 정책분석 = 243
   4) 정책결정의 장과 참여자 = 248
 제9장 미션ㆍ비전ㆍ전략, 리더십 = 261
  1. 미션ㆍ비전ㆍ전략 = 261
   1) 미션 = 262
   2) 비전, 핵심가치 = 267
   3) 전략 = 271
  2. 리더십 = 280
   1) 의의 = 281
   2) 이론의 전개: 자질론-행태론-상황론 = 282
   3) 리더십에 대한 새로운 시각 = 292
제5부 집행시스템
 제10장 정책집행 = 305
  1. 의의 = 305
   1) 특성 = 305
   2) 연구경향 = 308
  2. 정책집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312
   1) 정책결정 = 312
   2) 집행주체 = 316
   3) 정책대상집단 = 319
   4) 집행환경 = 322
  3. 정책(집행)수단 = 325
   1) 의의 = 325
   2) 정책수단별 이해 = 328
   3) 선택 = 343
 제11장 행정서비스 = 348
  1. 서비스의 전달주체 = 348
   1) 의의 = 348
   2) 지방자치단체 = 349
   3) 특별지방행정기관 = 355
  2. 서비스의 전달대상 = 356
   1) 주민에서 고객으로 = 356
   2) 고객지향 행정서비스 = 358
   3) 민원행정서비스 = 367
제6부 조직시스템
 제12장 조직: 구조차원 = 379
  1. 조직구조 = 379
   1) 의의 = 379
   2) 조직구조의 차원 = 382
   3) 조직구조의 설계 = 384
  2. 조직구조의 유형 = 391
   1) 이론적 유형 = 391
   2) 실제 유형: 한국 행정조직구조 = 396
 제13장 조직: 관리차원 = 406
  1. 개인 측면의 관리 = 406
   1) 개인의 이해 = 406
   2) 동기부여 = 412
  2. 조직 측면의 관리 = 423
   1) 커뮤니케이션 = 423
   2) 갈등관리 = 432
   3) 변화관리 = 442
제7부 지원시스템
 제14장 인사 = 463
  1. 제도적 기반 = 465
   1) 실적주의제 = 465
   2) 직업공무원제 = 471
   3) 공직의 분류제도 = 476
  2. 인적자원 관리활동 = 487
   1) 확보: 선발 = 487
   2) 개발: 교육훈련과 인사이동 = 492
   3) 유지ㆍ활용: 공무원의 행동과 권리 = 501
   4) 평가: 근무성적평정 = 509
   5) 보상: 보수 = 519
 제15장 예산 = 534
  1. 예산과정 = 536
   1) 예산편성 = 537
   2) 예산심의 = 549
   3) 예산집행 = 554
   4) 결산 = 561
  2. 예산제도 = 565
   1) 품목별 예산제도 = 567
   2) 성과주의 예산제도 = 569
   3) 계획 예산제도 = 571
   4) 영기준 예산제도 = 575
   5) 새로운 대안: 성과관리 예산제도 = 578
 제16장 행정정보화: 전자정부 = 588
  1. 개념적 기반 = 592
   1) 행정(조직)혁신 = 592
   2) 전자민주주의: 온라인 시민참여 = 597
  2. 전자정부 유형 = 601
   1) G2G = 601
   2) G2C: 대민 전자정부 = 612
   3) 전자정부 2.0 = 617
  3. 실제적 기반 = 626
   1) 정보통신기술 자원 = 626
   2) 자원: 조직ㆍ인력ㆍ예산 = 630
   3) 법적 기반 = 633
제8부 산출과 피드백
 제17장 평가 = 649
  1. 의의 = 649
   1) 평가의 대상과 차원 = 649
   2) 능률성과 효과성 = 651
   3) 성과평가의 의의 = 653
  2. 성과평가시스템: 균형성과표 = 654
   1) 개념 = 654
   2) BSC의 4대 관점 = 655
   3) 특성 = 656
   4) BSC의 정부부문 적용 = 658
   5) 우리나라 성과관리시스템 = 662
  3. 우리나라 평가제도 = 664
   1) 의의 = 664
   2) 중앙행정기관평가의 구성과 내용 = 668
   3) 정부업무평가제도의 평가와 개선방향 = 668
찾아보기 = 673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