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장 직업영역개발 사업 8
1. 직업영역개발 history 10
가. 사업 흐름 10
나. 사업 연혁 11
2. 2011 년 사업개요 12
가. 추진 방향 12
나. 추진 개요 13
3. 2011년 사업성과 14
가. 장애유형별 직업영역개발 14
나. 중증장애인의 일자리 확대 14
다 . 현 장지향적인 프로그램 개발 17
라. 전략적 홍보 및 보급사업을 통한 고용인프라 개선 18
2장 2011년 추진 사례 22
I. 정부 부문 24
1. 정신적 장애인 고용창출 프로젝트 / 홍자영 24
가. 추진배경 24
나. 추진방향 26
다. 추진과정 26
라. 추진성과 37
마. 제언 39
2. “커리어점프 희망일자리 만들기” 프로젝트 / 이효성 41
가. 사업의 필요성 41
나. 사업방향 및 기관별 협력체계 42
다. 사업추진과정 44
라. 사업추진결과 49
마. 사업추진 성과 및 확산을 위한 제언 50
II. 민간부문 54
1. 금융 및 보험업 / 김경애 54
가. 사업추진배경 54
나. 사업방향 55
다. 사업추진절차 55
라 . 사 업추진내용 56
마. 사업추진결과 65
바 . 사 업추진성과 66
사. 제언 66
아. 향후 기대효과 68
III. 新 직업개발 69
4. e스포츠심판 / 김세현 69
가. 사업의 필요성 69
다. 사업 추진절차 70
라 . 추 진내용 72
마. 사업 추진성과 및 제언 77
5. 원격 컴퓨터강사 / 김세현 79
가. 사업의 필요성 79
나. 추진방향 79
다. 사업 추진절차 80
라 . 추 진내용 82
마. 사업 추진성과 및 제언 86
6. 인형극 배우 직무탐색 / 김영준 88
가. 인형극 배우 직무탐색의 필요성 88
나. 인형극 배우의 직무탐색 89
나. 제작 방향 91
다 . 보 고서가 개발되기까지 92
라. 제작 과정 93
마. 인형극배우 직무탐색 보고서 제작 94
바. 기대효과 95
[부록] 인형극 배우 직무 분석 96
1. 인형극 배우 직무교육 단계 98
2. 단계별 인형극 배우 직무 내용 99
STEP 1. 연극놀이 99
STEP 2. 인형만들기 100
STEP 3. 이야기 만들기 101
STEP 4. 역할나누기 102
STEP 5. 인형만들기 103
STEP 6. 배경 만들기 104
STEP 7. 무대만들기 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