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825camcc2200253 c 4500 | |
001 | 000045696291 | |
005 | 20120319094849 | |
007 | ta | |
008 | 120309s2012 ulkad b 001c kor | |
020 | ▼a 9788958624608 ▼g 03330 | |
035 | ▼a (KERIS)REQ000022407148 | |
040 | ▼a 211023 ▼c 211023 ▼d 244002 ▼d 211009 | |
082 | 0 4 | ▼a 301 ▼2 22 |
085 | ▼a 301 ▼2 DDCK | |
090 | ▼a 301 ▼b 2012z4 | |
100 | 1 | ▼a 김윤태 ▼0 AUTH(211009)137948 |
245 | 2 0 | ▼a (새로운 세대를 위한) 사회학 입문 = ▼x Introduction of sociology : ▼b 이론과 현실을 아우르는 생동감 넘치는 사회학을 만나다 / ▼d 김윤태 지음 |
260 | ▼a 서울 : ▼b Humanist, ▼c 2012 | |
300 | ▼a 703 p. : ▼b 삽화, 도표 ; ▼c 23 cm | |
500 | ▼a 이 책은 2006년 출간한 '사회학의 발견'의 개정판임 | |
504 |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 |
653 | ▼a 사회학 | |
740 | 2 | ▼a 사회학의 발견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01 2012z4 | 등록번호 11166036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01 2012z4 | 등록번호 11166036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301 2012z4 | 등록번호 12121912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301 2012z4 | 등록번호 15130642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01 2012z4 | 등록번호 11166036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01 2012z4 | 등록번호 11166036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301 2012z4 | 등록번호 12121912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301 2012z4 | 등록번호 15130642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사회학자 김윤태 교수의 사회학 입문 강의. 2006년 출간되어 지속적인 관심을 받았던 <사회학의 발견>의 개정판이다. 사회학이란 어떤 학문이며, 왜 우리가 사회학을 배워야 하는지, 어떻게 사회학적 지식을 우리가 사는 현실에 적용할 수 있는지를 답하고 있다. 사회학적 분석의 기본 원칙과 주요 이론적 시각에 대해 다룬 후 문화, 경제, 정치, 사회변동 등 사회학의 주요 주제별로 나누어 그 이론과 실제를 설명하는 구성이다.
사회학이 다루는 주제는 무척 다양하나 이 책에서 모두 다룰 수 없기에 사회학의 핵심적인 주제를 우선적으로 선택했다. 사회학의 모든 주제와 연관되어 현재까지 깊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고전사회학자 마르크스와 베버의 이론을 깊이 있게 다뤘다. 또한 일상생활, 조직, 소유와 통제, 국가, 혁명, 사회변동, 발전, 지구화, 정보화 등 다른 책에서는 깊이 있게 다루지 않았지만 한국사회를 이해하는 데 있어 주요한 주제들을 가려 뽑아 충분히 다루었다.
이 책은 무엇보다 사회학에 처음 입문하는 사람들이 좀더 친숙하게 사회학을 만나볼 수 있도록 쉽게 풀어 쓰고 한국의 사례를 들어 이해를 돕고 있다. 이런 이유로 사회학 이론을 일반인들의 교양 수준으로 풀어 썼다는 호평을 받으며 사회학 전공 또는 교양 과목의 강의 교재로 많이 활용되었다. 이번 개정판에 변화하는 사회와 학계의 흐름을 충분히 반영하여 시대에 맞는 사회학 입문서로서 손색이 없도록 하였다.
“새로운 세대와 소통하는 사회학 입문서”
- 사회학자 김윤태 교수의 사회학 입문 강의
2006년 출간되어 지속적인 관심을 받았던 《사회학의 발견》의 개정판이다. 이 책은 사회학이란 어떤 학문이며, 왜 우리가 사회학을 배워야 하는지, 어떻게 사회학적 지식을 우리가 사는 현실에 적용할 수 있는지를 답하고 있다. 사회학적 분석의 기본 원칙과 주요 이론적 시각에 대해 다룬 후 문화, 경제, 정치, 사회변동 등 사회학의 주요 주제별로 나누어 그 이론과 실제를 설명하는 구성이다.
사회학이 다루는 주제는 무척 다양하나 이 책에서 모두 다룰 수 없기에 사회학의 핵심적인 주제를 우선적으로 선택했다. 사회학의 모든 주제와 연관되어 현재까지 깊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고전사회학자 마르크스와 베버의 이론을 깊이 있게 다뤘다. 또한 일상생활, 조직, 소유와 통제, 국가, 혁명, 사회변동, 발전, 지구화, 정보화 등 다른 책에서는 깊이 있게 다루지 않았지만 한국사회를 이해하는 데 있어 주요한 주제들을 가려 뽑아 충분히 다루었다.
이 책은 무엇보다 사회학에 처음 입문하는 사람들이 좀더 친숙하게 사회학을 만나볼 수 있도록 쉽게 풀어 쓰고 한국의 사례를 들어 이해를 돕고 있다. 이런 이유로 사회학 이론을 일반인들의 교양 수준으로 풀어 썼다는 호평을 받으며 사회학 전공 또는 교양 과목의 강의 교재로 많이 활용되었다. 저자는 이번 개정판에 변화하는 사회와 학계의 흐름을 충분히 반영하여 시대에 맞는 사회학 입문서로서 손색이 없도록 하였다.
이 책은 각 장마다 사회학의 핵심 개념, 이론, 방법론, 그리고 주요 사회학적 연구에 관한 내용으로 구성하였으며, 각 부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1부는 사회학의 연구 범위, 기원, 방법, 고전사회학의 등장에 대해 다룬다. 특히 19세기 고전사회학에서 가장 중요한 이론을 제공한 마르크스와 베버의 주요 이론을 집중적으로 고찰한다.
2부는 문화와 사회에 대한 내용으로, 문화, 일상생활, 성과 젠더, 가족에 대한 사회학적 설명과 사례를 살펴본다.
3부는 경제와 사회에 관한 내용으로 노동과 산업, 소유와 통제, 계급, 빈곤과 복지, 조직 등을 체계적으로 다루고 있다.
4부는 국가와 사회에 관한 내용으로 현대 국가와 정치에 관한 이론과 정치체제의 유형 등을 살펴봄과 동시에 사회의 변화를 추진하는 혁명과 사회운동에 대해서도 다룬다.
5부는 현대사회의 변화에 관한 사회학적 분석을 제공한다. 탈산업사회, 대중사회, 포스트모던 사회 등 새로운 사회변동에 관한 이론을 소개하고, 발전에 관한 담론, 지구화와 정보사회에 대해 자세히 다뤘다.
1. 사회의 변화와 학계의 흐름을 반영한 최신 사회학 입문서
현대 사회의 변화 속도가 어느 때보다 빠른 만큼, 사회학계에서는 하루가 멀다 하고 최신의 연구가 쏟아져 나오고 있다. 저자는 이 같은 흐름을 놓치지 않고, 《새로운 세대를 위한 사회학 입문》에서 사회의 변화와 최신 학계의 연구를 십분 반영하였다.
‘일상생활’(6장)에서는 감정노동에 관한 내용을 추가하고, ‘사회운동’(17장)에서는 신사회운동의 주요 이론을 검토하면서 한국의 시민사회와 지구시민사회의 형성에 관한 논의를 새로 포함했다. ‘사회변동’(18장)에서 현대 자본주의의 변화에 관한 논쟁을 소개했으며, ‘정보사회’(21장)에서는 인터넷의 등장과 정보사회의 새로운 변화를 둘러싼 논의를 다양하게 평가했다.
특히 이번 개정판에서는 저자가 그동안 관심을 두고 지속적으로 연구해 오던 주제인 ‘빈곤과 복지’(12장)에 관한 장을 새로 추가했다. 빈곤의 개념과 측정 방식에 대한 이론적 틀을 정리하고, 나아가 다양한 복지국가 유형을 분석하여 한국형 복지국가의 미래를 전망해 보았다. 이외에도 각 장에서 상당한 내용을 새로 작성했다.
2. 국내학자의 집필로 우리 사회에 밀착한 사회학 입문서
주요 사회학 이론이 서양의 것이다 보니, 입문서 역시 주로 외국학자들이 쓴 것이 많았다. 그래서 사회학이 강의실과 학회에서 벗어나 일반인들이 우리 사회를 읽는 유용한 도구로 삼기가 어려웠다. 이 같은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저자는 외국학자들의 이론이 주를 이루는 사회학 지식을 한국 사회에 대입해 우리 삶에 밀착한 ‘살아 있는’ 사회학 지식을 전하는 데 주력하였다. 추상적인 사회학 이론이 우리의 구체적인 현실에 들어옴으로써 독자와의 거리감을 좁힐 수 있었다는 점은 이번 개정판의 성과 가운데 하나이다.
또한 주변에서 흔히 경험할 수 있는 풍부한 사례와 예시들을 더해 독자들의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고, 통계와 도판, 사진 등의 보조적인 자료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독자들이 사회학과 자신의 삶을 구체적으로 연결시켜 명확한 상을 그릴 수 있도록 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저자는 이 과정에서 학술서나 논문뿐만 아니라 언론, 문화예술 등 다각화된 매체에서 자료를 찾아 소개했다. 특히 영화, 소설, 인터넷 등 젊은 세대에게 익숙한 매체에서 다양한 사례와 예시들을 가져옴으로써 독자들이 사회학을 좀 더 자신의 삶에 밀착시켜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각 장의 끝에는 해당 주제에 대해 더 깊이 공부하고자 하는 독자들을 위해 참고 문헌과 자료, 웹사이트를 정리해 놓았다. 마지막 부록에는 사회학의 주요 인물과 기본 용어를 요약 정리하여, 사전처럼 필요한 부분을 골라서 찾아볼 수 있도록 보완하였다. 이제 막 사회학의 매력을 알아가기 시작한 독자들에게 《새로운 세대를 위한 사회학 입문》은 즐겁고 유익한 길잡이가 되어 줄 수 있을 것이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김윤태(지은이)
고려대학교 공공정책대학 사회학 교수이다. 고려대학교와 영국 케임브리지대학 대학원을 졸업하고 런던정경대학(LSE)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국회 정책연구위원, 국회도서관장, 베를린자유대학(FUB) 초빙교수와 컬럼비아대학, 홍콩중문대학, 캘리포니아대학 로스앤젤레스 캠퍼스(UCLA)의 객원연구원을 역임했다. 사회학과 사회과학이 평범한 시민의 삶을 개선해야 한다고 믿으며, 전문적 학문의 대중화를 위해 노력했다.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동아일보> 등 다양한 언론에 기고하거나 인터뷰를 했다. 교육부 ‘대규모 온라인 공개강좌(K-MOOC)’, 네이버 ‘열린 연단’, KBS ‘이슈 픽 쌤과 함께’, KNN ‘최강 1교시’ 방송 프로그램에서 강연했으며, KBS ‘심야토론’과 MBC ‘백분토론’, EBS, KBS1 라디오 시사프로그램 등에 출연했다. 교육부 대규모 온라인 공개강좌 최우수강의상, 블루리본상과 고려대학교 우수강의상, 석탑강의상을 받았으며, 2022년 교육부장관 표창을 받았다. 1980년대 이후 세계의 정치와 학문을 지배한 자유시장 만능주의를 비판하고 사회경제적 민주화와 복지국가의 강화를 주장했다. 주요 저서로 『한국의 발전국가와 재벌』, 『빈곤: 어떻게 싸울 것인가』(공저,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복지국가의 변화와 빈곤정책』(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불평등이 문제다』(문화부 세종도서), 『정치사회학』 등을 출간했다. 편집한 책으로 『한국 복지국가의 전망』(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와 『사회복지의 전환』(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한국의 불평등: 현황, 이론, 대안』 등이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정치사회학, 복지국가, 불평등, 민주주의, 사회정의 등이다.

목차
목차 개정판 서문 = 5 초판 서문 = 9 감사의 글 = 13 1부 사회학의 기초 1장 사회학이란 무엇인가? = 23 사회학의 기원 = 26 콩트의 실증주의 = 29 뒤르켐과 사회적 통합 = 31 마르크스와 사회 갈등 = 34 베버와 합리화 = 37 현대 사회학―푸코와 하버마스 = 40 사회학의 주요 문제 = 43 사회학의 제도화 = 48 사회학의 역할 = 50 2장 사회학의 방법 = 56 주요 개념 = 57 과학적 방법 = 61 조사의 단계 = 63 조사 방법 = 64 사회과학의 철학 = 74 3장 카를 마르크스 = 83 마르크스의 생애 = 88 마르크스 이론의 세 가지 요소 = 90 마르크스의 정치경제학 = 92 역사적 유물론 = 97 마르크스주의 정치학 = 101 마르크스의 사회주의 = 107 마르크스주의의 문제 = 108 4장 막스 베버 = 117 베버 사회학의 기초 = 121 관료제 = 124 가치중립성 = 125 종교와 사회적 행동 = 126 계급, 지위, 정당 = 128 지배양식 = 132 국민국가 = 133 베버의 사회학 = 135 2부 문화와 사회 5장 문화 = 145 동물과 인간 = 146 문화의 개념 = 148 자민족중심주의 = 150 문화 상대주의 = 153 문화적 정체성 = 158 사회화 = 159 개인과 집단 = 163 문화의 구분 = 164 지배 문화가 존재하는가? = 167 문화의 변화 = 170 6장 일상생활 = 179 사회적 상호작용 = 182 고프먼의 연극적 방법 = 183 가핑클의 민속학방법론 = 186 미시사회학과 거시사회학 = 188 일상생활의 사회학 = 189 문명화 과정 = 193 7장 성과 젠더 = 198 남성성과 여성성 = 200 젠더 사회화 = 205 성적 노동 분업 = 206 섹슈얼리티의 사회적 성격 = 209 성에 관한 주요 이론 = 213 동성애 = 218 성매매 = 220 포르노그래피 = 223 페미니즘 = 225 한국의 여성 = 227 8장 가족 = 233 가족의 형태 = 235 가족의 기능 = 239 현대 가족의 특징 = 243 한국의 가족 = 247 민주적 가족 = 250 3부 경제와 사회 9장 노동과 산업 = 257 테일러의 과학적 관리법 = 258 포드주의 = 259 자동화 = 262 노동 과정 = 264 포스트포드주의 = 265 팀워크 조직 = 267 노동조합과 산업갈등 = 269 한국의 노동조합운동 = 272 실업의 증가 = 274 노동의 미래 = 280 10장 소유와 통제 = 287 경영자 자본주의의 등장 = 288 기업의 다양한 유형 = 290 구공산권 경제의 변화 = 293 기업의 소유와 통제 = 296 전문 경영인 = 300 이너서클 = 306 기업지배구조의 미래 = 308 11장 계급 = 314 계급의 개념 = 315 마르크스와 베버의 이론 = 317 계급의 구성 = 319 사회이동 = 326 한국의 계급구조 = 331 12장 빈곤과 복지 빈곤의 개념 = 342 빈곤의 측정 = 347 빈곤의 원인 = 352 한국의 빈곤 현실 = 360 복지국가 = 363 13장 조직 = 374 관료제 = 375 관료제와 민주주의 = 378 기업조직 = 378 공식조직과 비공식조직 = 381 일본의 기업조직 = 382 동아시아의 기업 간 관계 = 385 네트워크 기업의 확산 = 387 초국적 기업의 네트워크 = 388 조직의 미래 = 391 4부 국가와 사회 14장 국가 = 399 국가의 개념 = 400 국가의 이론 = 403 국가의 경제 개입 = 405 신자유주의와 구조조정 = 408 사회 민주주의의 변화 = 411 한국 국가의 형성 과정 = 412 변화하는 국민국가 = 420 국가의 미래 = 424 15장 정치 = 429 민주주의란 무엇인가? = 430 정부의 형태 = 433 코퍼러티즘의 등장과 쇠퇴 = 439 한국의 민주화 = 446 민주화 이후의 정치 = 449 대의 민주주의의 위기 = 453 참여 민주주의의 확대 = 456 새로운 민주국가 = 459 세계화 시대의 민주주의 = 462 16장 혁명 = 472 혁명의 다양한 경로 = 474 사회주의의 등장과 몰락 = 479 혁명에 관한 주요 이론 = 483 혁명의 시대는 끝났는가? = 487 17장 사회운동 = 495 사회운동의 특징 = 497 사회운동의 이론 = 499 노동운동의 쇠퇴 = 503 신사회운동의 등장 = 507 신사회운동의 주요 이론 = 509 한국의 시민사회와 사회운동 = 512 신사회운동의 지구화 = 515 지구시민사회의 형성 = 516 5부 사회의 변화 18장 사회변동 = 523 사회변동 = 525 대중사회 = 529 탈산업사회 = 531 포스트모던 사회 = 533 소비사회 = 535 역사의 종말인가, 역사의 재건인가? = 537 문명의 충돌이 일어났는가? = 541 위험사회 = 542 현대 자본주의의 변화 = 545 새로운 시대가 오고 있는가? = 548 19장 발전 = 556 세계의 구분 = 558 현대화 이론과 종속 이론 = 559 신흥 공업국의 성공 = 561 발전국가의 등장 = 565 국가의 발전 전략 = 569 지구적 빈곤 = 573 지속 가능한 발전 = 578 20장 지구화 = 586 지구화란 무엇인가? = 588 세계체계 = 593 지구문화 = 596 지구체계 = 600 지구사회 = 605 지구화 시대 = 609 지구화와 민주주의 = 612 21장 정보사회 = 620 정보사회의 이론 = 622 정보사회의 새로운 변화 = 628 인터넷의 미래 = 630 디지털 격차와 정보 불평등 = 632 정보사회를 위한 자유와 민주주의 = 636 시민사회의 변화 = 639 주요 인물 = 646 기본 용어 = 665 찾아보기 = 6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