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편 행정학 일반
제1장 행정의 개념 및 특성 = 27
Ⅰ. 행정의 정의와 변천 = 27
1. 행정의 정의 = 27
2. 행정개념의 변천 = 29
Ⅱ. 행정학의 특성과 행정이념 = 38
1. 행정의 특성 = 38
2. 행정학의 특성 = 43
3. 행정이념 = 46
Ⅲ. 행정환경 = 58
1. 내부적 환경 = 58
2. 외부적 환경 = 60
제2장 행정학의 발달과 주요 이론 = 72
Ⅰ. 행정학 접근방법 = 72
1. 역사적 접근방법 = 73
2. 법률적ㆍ제도론적 접근방법 = 73
3. 관리기능적 접근방법 = 74
4. 행태론적 접근방법 = 75
5. 생태론적 접근방법 = 77
6. 체제론적 접근방법 = 79
7. 공공선택론적 접근방법 = 82
8. 현상학적 접근방법 = 84
9. 신제도론적 접근방법 = 85
Ⅱ. 행정학의 발달 = 86
1. 고전적 행정학 = 87
2. 신고전적 행정학 = 92
3. 현대적 행정학 = 97
Ⅲ. 행정학 패러다임의 변화 = 101
1. 패러다임 Ⅰ: 정치ㆍ행정의 분리(1900∼1926) = 101
2. 패러다임 Ⅱ: (1927∼1937) = 102
3. 패러다임 Ⅲ: 정치학으로서의 행정학(1950∼1970) = 106
4. 패러다임 Ⅳ: 관리과학으로서의 행정학(1956∼1970) = 107
5. 패러다임 Ⅴ: 행정학으로서의 행정학(1970∼) = 108
6. 평가 및 결론 = 109
Ⅳ. 행정학의 주요 이론 = 109
1. 과학적 관리론 = 111
2. 인간관계론 = 113
3. 비교행정론 = 116
4. 발전행정론 = 118
5. 신행정론 = 119
6. 공공선택이론 = 122
7. 신공공관리론 = 124
제3장 포스트모더니즘과 신행정과학 = 130
Ⅰ. 포스트모더니즘(Post-Modernism) = 130
1. 포스트모더니즘의 개념 = 130
2. 포스트모더니즘의 전개 및 특징 = 140
Ⅱ. 포스트모더니즘과 신행정과학 = 149
1. 양자이론(quantum theory) = 150
2. 카오스이론(chaos theory) = 156
제4장 행정윤리 및 부패 = 163
Ⅰ. 행정윤리 = 163
1. 공직윤리와 행정윤리의 개념 = 163
2. 공직자윤리의 필요성 = 165
3. 공직윤리와 청백리사상 = 169
4. 공직윤리 규범체계의 현황 및 문제점 = 171
Ⅱ. 행정부패 = 176
1. 부패의 정의 = 176
2. 부패의 유형 = 182
3. 부패의 인식 = 191
4. 부패요인 = 196
5. 아시아 각국의 부패방지전략 = 201
6. 부패문화 개선과 공직윤리 제고방안 = 206
제2편 정책론
제5장 정책학의 본질 = 211
Ⅰ. 정책의 정의 = 211
1. 정책의 개념 = 211
2. 정책의 구성요소 = 212
3. 정책의 특징 = 216
4. 정책의 분류 = 217
Ⅱ. 정책의 주요 이론 = 218
1. Lowi의 정책의 분류 = 218
2. AlmondㆍPowell의 정책유형 = 222
Ⅲ. 정책학의 본질 = 223
1. 정책학의 개념 = 223
2. 정책학의 등장배경 = 224
3. 정책학의 연구목적 = 227
4. 정책학의 연구대상과 연구방법 = 228
5. 정책학의 특성 = 229
Ⅳ. 정책과정 = 230
1. 정책과정의 의의 = 230
2. 정책과정의 단계 = 231
3. 정책분석의 절차 = 234
Ⅴ. 정책참여자 = 237
1. 공식적 참여자 = 237
2. 비공식적 참여자 = 240
제6장 정책과정 = 242
Ⅰ. 정책형성 = 242
1. 정책형성의 의의 = 242
2. 정책의제의 설정 = 243
3. 정책의제의 과정에 따른 유형 = 243
4. 주도집단에 따른 유형 = 244
5. 의제설정에 영향에 미치는 요인 = 246
Ⅱ. 정책결정 = 248
1. 정책결정의 정의와 특징 = 248
2. 정책결정의 과정 = 249
Ⅲ. 정책결정모형 = 265
1. 정책결정모형의 의의 = 265
2. 정책결정모형의 유형 = 266
Ⅳ. 정책집행 = 279
1. 정책집행의 의의와 집행단계 = 279
2. 정책집행의 중요성 = 280
3. 정책집행의 연구방법 = 281
4. 정책집행의 연구유형 = 282
5. 정책집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285
6. 정책집행의 순응과 불응 = 287
Ⅴ. 정책평가 및 변동 = 289
1. 정책평가의 의의와 필요성 = 289
2. 정책평가의 유형 = 290
3. 정책평가의 한계 = 291
4. 정책변동과 유형 = 292
제3편 조직론
제7장 조직의 본질과 관료제 = 297
Ⅰ. 조직의 본질 및 현대조직이론의 특징 = 297
1. 조직의 본질 = 297
2. 현대조직이론의 특징 = 302
3. 조직의 유형 = 305
Ⅱ. 관료제 = 315
1. 관료제의 의의와 발달 = 315
2. 관료제의 특성 = 316
3. 관료제의 유형 = 317
4. 관료제의 순기능과 역기능 = 318
Ⅲ. 애드호크라시(Adhocracy) = 321
1. 애드호크라시의 발달 = 322
2. 애드호크라시의 특징 = 322
3. 애드호크라시의 조직형태 = 324
제8장 조직관리와 조직발전 = 327
Ⅰ. 동기부여이론 = 327
1. 내용이론 = 328
2. 과정이론 = 332
Ⅱ. 의사전달과 조직관리 = 335
1. 의사전달의 의의와 기능 = 335
2. 의사전달의 유형 = 336
3. 의사전달의 저해요인 = 338
4. 조직관리 = 339
Ⅲ. 리더십 = 341
1. 리더십의 의의 = 341
2. 리더십의 주요 이론 = 341
3. 리더십의 유형 = 342
Ⅳ. 조직갈등과 조직발전 = 345
1. 조직갈등 = 345
2. 정보화 시대의 조직개혁 = 354
3. 조직발전 = 359
제4편 인적자원관리론
제9장 인사행정 본질과 중앙인사기관 = 365
Ⅰ. 인사행정의 본질 = 365
1. 인사행정의 개념과 목표 = 365
2. 인사행정의 과정 = 368
3. 인사행정의 특징과 발달 = 370
Ⅱ. 공직의 분류 = 379
1. 경력직과 특수 경력직 = 380
2. 개방형 공무원과 폐쇄형 공무원 = 382
3. 직위분류제와 계급제 = 384
Ⅲ. 중앙인사기관 = 389
1. 중앙인사기관의 의의 = 389
2. 중앙인사기관의 유형 = 391
제10장 공무원의 임용과 능력발전 = 396
Ⅰ. 공무원 임용 = 396
1. 임용의 의의 = 396
2. 임용의 유형 = 397
Ⅱ. 능력발전 = 406
1. 교육훈련 = 406
2. 근무성적평정 = 408
Ⅲ. 사기앙양 = 412
1. 공무원의 사기 = 412
2. 공무원의 보수 = 414
3. 공무원의 연금과 고충처리 = 416
Ⅳ. 공무원의 단체행동과 정치적 중립성 = 417
1. 공무원의 단체행동 = 417
2. 공무원의 정치적 중립성 = 418
제5편 재무행정론
제11장 재무행정의 본질과 예산과정 = 423
Ⅰ. 재무행정의 본질 = 423
1. 예산 = 423
2. 예산결정이론 = 433
Ⅱ. 예산과정 = 435
1. 예산편성 = 435
2. 예산심의와 집행 = 438
제12장 예산제도의 종류와 구매행정 = 445
Ⅰ. 예산제도 = 445
1. 품목별 예산제도 = 445
2. 성과주의 예산(실적예산) = 446
3. 기획예산제도 = 449
4. 영기준예산제도 = 452
Ⅱ. 조세제도 = 454
1. 조세의 기본원칙 = 454
2. 조세의 종류 = 458
Ⅲ. 구매행정 = 465
1. 구매행정의 의의와 원칙 = 465
2. 구매의 방식 = 466
제6편 지방자치론
제13장 지방자치의 본질과 역사 = 471
Ⅰ. 지방자치의 본질 = 471
1. 지방자치의 의의 = 471
2. 지방자치의 목적 = 473
3. 자치권의 근거 = 474
Ⅱ. 지방자치의 이념 = 476
1. 지방자치와 민주성 = 476
2. 지방자치와 효율성 = 482
Ⅲ. 지방자치의 구성과 유형 = 485
1. 지방자치의 구성요소 = 485
2. 지방자치의 유형 = 488
Ⅳ. 우리나라 지방자치의 역사 = 492
1. 근대 이전의 지방자치 = 492
2. 근대 이후의 지방자치 = 494
3. 현대의 지방자치 = 496
Ⅴ. 집권과 분권 = 509
1. 집권과 분권의 의의 = 509
2. 집권(중앙집권)과 분권(지방분권)의 장ㆍ단점 = 510
3. 집권화와 분권화의 촉진요인 = 513
4. 중앙집권과 지방분권의 한국적 상황 = 515
Ⅵ. 신중앙집권과 신지방분권 = 518
1. 신중앙집권(新中央集權) = 518
2. 신지방분권(新地方分權) = 521
제14장 지방자치단체의 구성 = 526
Ⅰ. 지방자치단체의 기관구성 = 526
1. 지방자치단체의 의의 = 526
2. 지방자치단체의 구성요소 = 529
3.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의 종류 및 현황 = 530
Ⅱ. 지방자치단체의 계층구조 = 536
1. 지방자치단체의 계층구조의 의의 = 536
2. 한국의 지방자치단체 계층구조 = 540
3. 지방자치단체의 기관구성 형태 = 542
Ⅲ. 지방의회(의결기관) = 548
1. 지방의회(地方議會)의 의의 = 548
2. 지방의회의 조직 = 550
3. 지방의회의 권한과 운영 기본원칙 = 554
Ⅳ. 지방자치단체장과 집행기관 = 557
1. 지방자치단체집행기관의 의의 = 557
2. 지방자치단체장의 지위와 권한 = 558
3. 지방자치단체장과 기타 기관 = 563
Ⅴ. 지방의회와 지방자치단체장의 관계 = 565
1. 지방의회와 집행기관 관여 = 565
2. 지방의회와 집행기관의 갈등 및 대립 = 566
3. 지방의회와 집행기관의 갈등해소 = 568
제15장 지방선거와 지방재정 = 570
Ⅰ. 지방선거 = 570
1. 지방선거의 정의 = 570
2. 지방선거제도의 유형 = 574
Ⅱ. 우리나라의 지방선거 = 577
1. 지방선거와 선거구 = 577
2. 우리나라 지방선거의 특징 = 578
3. 지방선거의 문제점과 미래 = 582
Ⅲ. 지방재정 = 584
1. 지방재정의 이론적 기초 = 584
2. 지방자치단체의 수입(지방재원) = 590
3. 지방재정의 문제와 해결 = 593
제7편 행정개혁 및 지식정보사회
제16장 세계화와 행정개혁 = 599
Ⅰ. 세계화의 본질 = 599
1. 세계화의 의의 = 599
2. 세계화의 충격과 과정 = 603
Ⅱ. 자유무역협정 = 605
1. 자유무역협정(FTA)의 의의 = 605
2. 자유무역협정의 종류 = 606
3. 자유무역협정의 효과 = 607
4. 우리나라의 자유무역협정 = 610
Ⅲ. GATT와 WTO = 612
1. GATT(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협정, General Agreement on Tariffs and Trade) = 612
2. WTO(World Trade Organization, 세계무역기구) = 615
Ⅳ. 행정개혁 = 617
1. 행정개혁의 의의 = 617
2. 행정의 환경변화 = 622
3. 우리나라 행정개혁의 발전방안 = 631
Ⅴ. NPM과 New Governance를 통한 행정개혁 = 639
1. 신공공관리론(New Public Management)과 행정개혁 = 639
2. NEW 거버넌스(New Governance)와 행정개혁 = 644
Ⅵ. 행정경영화의 전략 = 647
1. 행정경영화의 개념 및 필요성 = 647
2. 경영화의 한계와 사업형태 = 648
3. 총체적품질관리제(TQM, Total Quality Management) = 650
4. CI(Community Identity) 전략 = 652
5. 벤치마킹(Bench Marking) = 653
제17장 지식정보사회와 지식행정 = 655
Ⅰ. 정보사회와 전자정부 = 655
1. 정보사회 = 656
2. 전자정부 = 662
3. 전자정부의 유형과 장ㆍ단점 = 671
4. 전자정부에서 행정의 변화와 역할 = 677
5. 정보자원관리 = 684
Ⅱ. 지식행정 = 689
1. 지식 = 689
2. 지식행정 = 693
제18장 국가정보화와 지역정보화 = 696
Ⅰ. 정보화와 정보화정책 = 696
1. 정보화의 의의 = 696
2. 정보화정책의 의의 = 697
3. 한국 정보화의 현실 = 699
Ⅱ. 국가정보화와 지역정보화 = 700
1. 국가정보화 = 700
2. 지역정보화 = 715
3. 녹색정보화 = 725
참고문헌 = 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