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한국사료협회 50년사 : 1961-2011

한국사료협회 50년사 : 1961-2011 (Loan 2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Corporate Author
한국사료협회
Title Statement
한국사료협회 50년사 : 1961-2011 / [한국사료협회 편]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한국사료협회,   2012  
Physical Medium
729 p. : 천연색삽화, 도표 ; 26 cm
General Note
부록수록  
000 00707camcc2200241 c 4500
001 000045694826
005 20120313173500
007 ta
008 120309s2012 ulkad 000c kor
035 ▼a (KERIS)REQ000022255289
040 ▼a 244004 ▼c 244004 ▼d 244002 ▼d 211009
082 0 4 ▼a 636.085506 ▼2 22
085 ▼a 636.085506 ▼2 DDCK
090 ▼a 636.085506 ▼b 2012 ▼c 50
110 ▼a 한국사료협회
245 1 0 ▼a 한국사료협회 50년사 : ▼b 1961-2011 / ▼d [한국사료협회 편]
246 3 ▼a 한국사료협회 오십년사
260 ▼a 서울 : ▼b 한국사료협회, ▼c 2012
300 ▼a 729 p. : ▼b 천연색삽화, 도표 ; ▼c 26 cm
500 ▼a 부록수록
910 0 ▼a Korea Feed Association, ▼e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Donation Books Coner/ Call Number 636.085506 2012 50 Accession No. 11165943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Table of Contents

한국사료협회 연혁 = 6
발간사 / 조남조[한국사료협회장] = 8
축사
  서규용(농립수산식품부장관) = 10
  최인기(국회농림수산식품위원장) = 12
  이승호(축산단체협의회장) = 14
  남호경(전국한우협회장) = 16
  이병모(대한양돈협회장) = 18
  이준동(대한양계협회장) = 20
협회상근임원 및 부회장 = 22
역대회장 = 23
사진으로 보는 한국사료협회 50년 = 25
목차 = 82
Ⅰ. 우리나라 사료산업의 시대별 발자취 = 93
  1. 축산의 시작과 사료공급의 역사 = 94
  2. 해방이후부터 1960년대까지의 축산 및 사료산업 = 95
  3. 사료산업 태동기 - 본격적인 닻을 올린 1960년대 = 97
    3.1. 사료검수요령의 제정과 사료수급계획의 수립 = 99
    3.2. 한국사료협회의 전신, 한국배합사료공업협회 설립 = 100
    3.3. 사료취급요강 시행과『사료관리법』의 제정ㆍ시행 = 102
    3.4. 사료원료 수입과 합작사료회사의 등장 = 104
  4. 사료산업의 경이적인 성장기, 1970년대 = 107
    4.1. 사료가격 조정정책 및 곡물파동 = 111
    4.2. 품질향상을 위한 공정규격 및 검사제도의 변천 = 115
    4.3. 사료원료의 수급과 사료가격안정기금의 설치 = 119
    4.4. 사료공장 증감 추이와 배합사료공장 근대화 사업 = 123
  5. 사료생산 1천만톤, 신기원을 향한 도전 - 1980년대 = 127
    5.1. 1980년대 축산업 개황 = 127
    5.2. 사료산업의 자율화 시대 = 130
    5.3. 아시아개발은행 차관도입에 의한 사료공장 건설 = 133
    5.4. 배합사료제조업의 중소기업 고유업종 지정 = 133
    5.5. 한국사료협회의 서초동 시대 및 사료기술연구소 개소 = 134
    5.6. 축산업 및 사료산업의 홍보매체 창간 러쉬 = 134
    5.7. 사료기술 및 영양관련 세미나 개최 = 135
    5.8. 배합사료 제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세제개선 추진 = 135
    5.9. 국내산 사료원료의 활발한 사용 = 136
    5.10. 해외사료자원 개발사업의 타당성 추진 = 137
    5.11. 배합사료 생산실적 1,000만톤 시대 돌입 = 137
  6. 사료산업, 개방화의 거센 파도에 직면 - 1990년대 = 140
    6.1. 1990년대 축산업 개관 = 140
    6.2. 수입자유화에 따른 사료용 원료 수입제도의 변화 = 143
    6.3. 사료에 대한 부가가치세 영세율 적용 = 147
    6.4. IMF관리체제와 사료산업의 대응 = 148
    6.5. 사료범위 확대 = 150
    6.6. 사료산업의 저성장 시대 = 152
  7. 패러다임 전화기에 선 사료산업 - 2000년대 = 157
    7.1. 2000년대 사료산업을 둘러싼 여건 = 157
    7.2. 고곡가 시대 = 163
    7.3. 세계 사료원료 수급동향 = 166
    7.4. 사료기업의 글로벌 시대 = 170
    7.5. 독립 사료공장을 자회사로 하는 사료기업의 그룹화 진행 = 173
    7.6 사료의 안전성 확보 = 175
    7.7. 배합사료생산 1,700만톤 돌파 그리고 그 이후 = 179
    7.8. 배합사료의 유통현황 = 181
  8. 사료산업 50년 결산과 과제 = 186
Ⅱ. 사료관리법령의 제ㆍ개정사 = 189
  1. 개황 = 190
  2. 사료관리법의 제정 및 개정 = 191
    2.1. 사료관리법의 제정 = 191
    2.2. 사료관리법 개정 = 195
  3. 사료관리법 시행령 및 시행규칙의 제정 및 개정 = 219
    3.1. 사료관리법 시행령의 제정 = 219
    3.2. 사료관리법 시행령의 개정 = 221
    3.3. 사료관리법 시행규칙의 제정 = 233
    3.4. 사료관리법 시행규칙의 개정 = 235
Ⅲ. 한국사료협회가 걸어온 길 = 263
  【사료산업 경영환경 개선을 위한 관련제도 및 정책개선 사업】
    1.『사료관리법』관련 제규정 개정 = 264
      1.1. 수입육골분 검역기준 변경 = 264
      1.2. 사료관리법 개정안(배합사료제조업의 등록제)에 대한 의견제출 = 264
      1.3. 사료관리법 개정안(등록제 및 혼합사료 신설)에 대한 의견제출 = 265
      1.4. 사료의 공정규격 개정안에 대한 의견제출 = 265
      1.5. 사료관리법령(시행령ㆍ시행규칙ㆍ검사제도)의 합리적 개선 = 266
      1.6. 사료관리법 시행령 개정안에 대한 의견제출 = 267
      1.7. 사료관리법 시행규칙 개정안(시설기준 등)에 대한 의견제출 = 268
      1.8. 사료관리법 시행규칙 개정안(사료의 검사관련)에 대한 의견제출 = 269
      1.9. 사료검사요령 신설 고시 = 270
      1.10. 사료관리법ㆍ시행령ㆍ시행규칙 전부개정 공포 = 271
      1.11. 유해사료의 범위와 기준 별도 고시 = 273
      1.12. 사료공정서 제정 고시 = 274
      1.13. 유해사료의 범위와 기준 개정 고시 = 274
      1.14. 사료공장 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 제정 고시 = 275
      1.15. 사료공정서 개정 고시 = 276
      1.16. BSE관련 사료검사요령 개선 추진 = 276
    2. 사료산업 관련 세제(稅制) 개선 = 277
      2.1. 사료원료에 대한 할당관세 적용 = 277
      2.2. 사료에 대한 부가가치세 영세율 적용 실현 = 282
      2.3. 부가가치세 의제매입세액공제 유지 및 적용대상 확대 = 285
      2.4. 수출사료에 대한 관세 환급 실현 = 288
    3. 회원사 경영자금 지원 = 289
      3.1. 미국 GSM-102 자금 호가보 = 289
      3.2. 축산발전기금 중 사료원료구매자금 지원 = 290
      3.3. 수출입금융지원자금 사용을 통한 유동성 확보 = 292
    4.『유전자변형생물체의국가간이동등에관한법률』의 합리적 제정 및 운영 = 294
      4.1. LMO법의 합리적 제정 추진 = 294
      4.2. 관계부처와의 협조체제 유지 및 대 회원사 홍보 = 295
      4.3. 사료용 LMO손상품 처리방안 강구 = 296
      4.4. 법률 개정 및 사료용 LMO 승인 EVENT = 297
    5. 원료의 수입ㆍ사용에 대한 규제사항 개선 = 298
      5.1. 동물약품으로 관리되던 사료첨가제, 사료로 관리 = 298
      5.2. 양허관세 적용품목에 대한 충분한 수입물량 확보 = 299
      5.3. 동물성사료(어분)의 수입자유화 품목 전환 = 300
      5.4. 품목번호 신설을 통한 사료용 대두(콩) 등 양허물량 확보 = 300
      5.5. 사료용 보리(대맥) 수입 사용 = 301
      5.6. 루핀시드 품목번호(稅番) 변경 및 수입자유화 품목 전환 = 302
    5.7. 사료공정서의 범위 확대(식품관련 규정 준용) = 303
      5.8. 우리 품목번호 변경으로 인한 관세추징 대응 = 303
      5.9. 사료원료에 원당 추가 신설 = 304
      5.10. 국산 보리의 경제적 사용 = 305
    6. 가축전염병 발생시 사료이동 관련 제도 개선 = 306
      6.1. 구제역 방역실시요령 개선(위험지역 사료공장내 사료반출 허용) = 306
      6.2. 구제역 긴급 행동지침(SOP) 개정 추진 = 306
      6.3. 조류인플루엔자 긴급행동 지침(SOP) 개정 = 308
    7. 기타사업 = 310
      7.1. 제조업체간 임가공에 의한 사료생산방식 도입 = 310
      7.2. 곡물수송 지정차량 제도 시행 = 310
      7.3. 민간투자 활성화를 위한 항만법 개정 = 312
      7.4. 배합사료 제조업체, 산란자조금 거출기관에서 배제 = 312
      7.5. 사료원료, 폐기물관리법에 의한 관리대상에서 제외 = 313
      7.6. 한국ㆍ일본ㆍ대만 3국 사료공업교류회 설립 = 314
  【원료의 경제적ㆍ안정적 확보사업】
    1. 사료원료 도입 시스템의 변화 = 316
    2. 국제곡물 수급 및 가격변동 정보분석 = 319
    3. 사료원료 수입창구의 변화 = 321
    4. 사료원료의 수입절차와 공급체계 = 323
    5. 사료원료의 공동구매 = 330
    6. 사료원료의 수입 재원 = 332
    7. 원료구매 관련 사고발생과 해결 = 337
      7.1. 중국산 옥수수 선적서류 위조사건 = 338
      7.2. 태국산 옥수수 공급 불이행 = 339
      7.3. 중국산 옥수수 계약보증금 반환청구 = 339
      7.4. 중국산 파쇄 옥수수 계약 불이행 = 340
      7.5. 중국산 옥수수 공급불이행 = 341
      7.6. 품질저하 브라질산 대두박 인수거부 및 클레임 = 341
    8. 원료구매(특별)운영위원회 및 주요 현안 T/F팀 활동 = 342
  【사료의 물류체계 개선 사업】
    1. 사료 원료의 항만하역 = 350
      1.1. 항만하역관련 제 계약체결 = 350
      1.2. 우리나라의 양곡터미널 = 350
      1.3. 인천항 사일로 증설 추진 = 352
      1.4. 인천항 갑문수리기간 동안의 무료 보관기간 조정 = 353
      1.5. 사료 부원료의 하역 = 354
      1.6. 사료 부원료 비산먼지 발생에 따른 민원 해결 = 355
      1.7. 사료 부원료 비산먼지 관련 하역거부 사태 해결 = 356
      1.8. 인천항 사료 부원료 야적금지 완화 = 356
      1.9. 사료 부원료 보관시설 확충 = 358
      1.10. 인천항 체선ㆍ체화 방지 대책 = 359
      1.11. 다층구조선박 인천항 선거내 입거제한 및 완화 = 360
      1.12. 인천항 수입사료 체선ㆍ체화 해소 대책 = 361
    2. 사료원료 수입 관련 사후 업무 및 관련 환경 개선 = 361
      2.1. 조출료 정산 체계 개선 = 361
      2.2. 인수량 조정 정산 = 362
      2.3. 수입신고 수리물품 반출의무기간 연장 = 363
      2.4. 군산항 항만시설 운영세칙 개정 = 363
      2.5. 수입 사료원료 계근대 관리체계 개선(방안) 시행 = 364
      2.6. 수입 사료원료의 손상품 처리절차 개선방안 마련 = 365
      2.7. 수입 사료원료 야적화물 품질관리 체계 개선 = 365
      2.8. 사료 부원료 보관료 산출방법 개선 = 366
      2.9. 평택당진항을 이용한 사료부원료 도입 = 366
      2.10. 인천북항을 이용한 사료부원료 도입 = 367
      2.11. 평택당진항 양곡부두 개장 = 367
      2.12. 인도 주정부 발행 사료원료 식물검역증 인정 = 368
      2.13. 사료용 수입곡물에 대한 잡초검역 실시 = 368
    3. 사료원료의 수입ㆍ수급 제도 = 370
      3.1. 수입 추천서(I/L) 발급 = 370
      3.2. 양허 및 할당관세 적용 추천 = 371
      3.3. 소비대차 승인 = 372
    4. 지역사무소를 이용한 물류사업 = 374
      4.1. 인천사무소 = 374
      4.2. 부산사무소 = 384
  【사료의 품질 및 안전성 제고 사업】
    1. 사료기술연구소의 설립 = 396
      1.1. 설립배경 및 의의 = 396
      1.2. 연구소 현황 = 397
    2. 사료검정기관 지정 및 정부위탁 검정업무 수행 = 397
      2.1. 수입사료 검정기관 지정 = 398
      2.2. 사료 수입신고 업무 = 399
      2.3. 수입사료원료에 대한 사후관리 = 401
      2.4. 사료 재검사 제도 도입에 따른 검정업무 = 402
    3. 연구소 발전 방향 설정 = 403
      3.1. 연구소 운영 방향 논의 = 403
      3.2. 독립채산조직으로의 운영방안 검토 = 403
    4. 회원사 실무담당자 교육 = 403
    5. 비교분석 프로그램 주관 및 참여 = 404
      5.1. 회원사 실험실간 비교분석 주관 = 404
      5.2. AAFCO 국제 비교분석 참여 = 405
      5.3. 국제검정사(Global Inspection Company)간 대두박 비교분석 주관 = 406
    6. 수익자부담 원칙에 따른 연구소 이용회비 유료화 = 407
    7. 사료안전성 관련 국제 심포지엄 및 교육 실시 = 408
      7.1. 제1차 국제심포지엄 = 408
      7.2. 제2차 국제심포지엄 = 409
      7.3. 사료의 품질 및 위생ㆍ안전성 교육 실시 = 409
    8. 사료공장 HACCP 교육 = 410
    9. 축산ㆍ사료 연구기술대상 수상 = 411
    10. 사료산업연구개발자문위원회(R&D 위원회)의 활성화 = 411
      10.1. 1970∼1980년대의 R&D 위원회 = 411
      10.2. 1990∼2000년대의 R&D 위원회 = 414
      10.3. 연구용역 사업 실시 = 418
      10.4. R&D 위원회 위원 명단(2011년 위촉) = 421
    11. 주요업무 실적 = 421
      11.1. 연도별 시료접수 현황 = 421
      11.2. 연구소의 주요 분석성분 및 보유 검정장비 현황 = 425
      11.3. 대두박 품질저하(과열처리 대두박)에 따른 업무 처리 = 426
      11.4. 옥수수 품질평가 한미 공동프로젝트 수행 = 427
      11.5. 농림기획연구과제 참여 = 427
      11.6. 돼지 질병 대책 전담기구(T/F Team) 활동 = 428
      11.7. 안전성 관련 물질(멜라민 등) 모니터링 활동 = 428
  【홍보 및 교육 사업】
    1. 홍보사업 = 430
      1.1. 1960년대 : 홍보사업의 시작 = 430
      1.2. 1970년대 : 산업으로서의 배합사료에 대한 홍보활동 = 430
      1.3. 1980년대 : 월간『사료』창간 = 431
      1.4. 1990년대 : 축종별 산업박람회 지원, 축산전문지 후원 = 432
      1.5. 2000년대 : 사료산업 홍보를 위한 다양한 매체 발행 = 434
    2. 교육사업 = 438
      2.1. 1960∼1970년대 : 축산ㆍ사료 강습회 주관 = 438
      2.2. 1980∼1990년대 : 사료기술 및 영양관련 세미나 주관 = 438
      2.3. 2000년대 : 사료산업 여건변화에 따른 경영세미나 주관 = 439
    3. 간행물 발간 사업 = 440.
  【업무 효율성 제고를 위한 사업】
    1. 협회 창립 및 조직의 개편 = 443
      1.1. 협회설립과 정관(定款)의 제ㆍ개정 = 443
      1.2. 사무실 이전 = 449
      1.3. 직제규정 및 조직의 변화 = 449
    2. 업무전산화 및 사무자동화 = 452
      2.1. 추진배경 및 경과 = 452
      2.2. 주컴퓨터 도입기 = 453
      2.3. 프로그램 추가 개발 = 454
      2.4. 시스템 정착기 = 455
      2.5. 전산시스템 현대화 = 455
      2.6. 웹(Web) 환경 시스템 전환기 = 457
    3. 상생발전을 위한 교류활동 = 461
      3.1. 농촌 일손 돕기 = 461
      3.2. 1社 1村 자매결연 체결 = 461
      3.3. 기부(지원) 및 위문활동 = 462
      3.4. 회원사 및 사료ㆍ축산업계 단합을 위한 교류행사 = 463
      3.5. 기타 협력 및 교육 활동 = 465
    4. 기타 복지사업 추진 = 466
      4.1. 교양강의 = 466
      4.2. 임직원 체육행사 = 466
      4.3. 직원 복지지원 = 467
Ⅳ. 회원사의 역사와 업적 = 471
  (주)카길애그리퓨리나 = 472
  CJ제일제당(주) 사료사업부문 = 476
  TS대한제당 무지개사료 = 480
  (주)팜스코 = 484
  (주)우성사료 = 487
  (주)한국축산의 희망 서울사료 = 491
  제일사료(주) = 495
  제일곡산(주) = 500
  (주)천하제일 = 503
  대한사료(주) = 505
  (주)팜스토리한냉도드람B&F = 508
  (주)삼양사 = 511
  동아원(주) = 515
  (주)선진 = 518
  고려산업(주) = 522
  두산생물자원(주) = 524
  한일사료(주) = 527
  흥성사료(주) = 530
  현대사료(주) = 533
  동원팜스(주) = 536
  (주)나농 = 539
  대주산업(주) = 541
  (주)케이씨피드 = 544
  서부사료(주) = 547
  (주)에이티(AT)생명과학 = 550
  부국사료(주) = 552
  중앙축산사료(주) = 555
  (주)나람 = 558
  (주)체리피드 = 561
  농업회사법인(주)해드림 = 563
  (주)한길바이오 = 565
  영남제분(주) = 567
  한국유업(주) = 570
  (주)이지바이오시스템 = 572
  (재)이시돌농촌산업개발협회 = 576
  남양산업(주) = 579
  동일농산(주) = 581
Ⅴ. 외부기관의 약사 및 현황 = 585
  【축산단체】
    농협중앙회(농협사료) = 586
    사단법인 전국한우협회 = 589
    사단법인 대한양돈협회 = 593
    사단법인 한국낙농육우협회 = 595
    사단법인 대한양계협회 = 598
    사단법인 한국대두가공협회 = 602
    사단법인 한국동물약품협의회 = 604
    사단법인 한국대용유사료협회 = 606
    사단법인 한국단미사료협회 = 608
    사단법인 한국계육협회 = 611
    사단법인 한국오리협회 = 614
  【외국기관】
    미국곡물협회 한국사무소 = 617
    미국대두협회 한국주재 사무소 = 620
  【교육기관】
    강원대학교 동물생명과학대학 = 623
    건국대학교 동물생명과학대학 = 630
    중앙대학교 동물생명공학전공 = 632
    국립한경대학교 = 634
    서울대학교 식품ㆍ동물 생명공학부 = 636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생명공학부 = 642
    공주대학교 동물자원학과 = 649
Ⅵ. 회고사 = 653
  정태원 = 654
  김주호 = 658
  김성훈 = 663
  이병석 = 667
  정일영 = 672
  김정호 = 678
  문철명 = 681
  김영옥 = 685
  오봉국 = 689
  맹원재 = 691
  지규만 = 695
  윤봉중 = 699
  김실중 = 702
  이인형 = 708
  박영인 = 712
  김구현 = 716
부록 = 721
  연도별 가축사육현황 = 722
  연도별 1인당 축산물 소비량 = 723
  연도별 배합사료 생산실적 = 724
  연도별 배합사료 원료사용실적 = 726
  역대 임원 현황 = 727
  조직도 = 730
  직원명단 = 731
편집후기 / 김남훈[한국사료협회 전무이사] = 734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