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언어의 연기와 마음의 사회성 : 언어 기호·마음·세계에 관한 동서 철학의 융합

언어의 연기와 마음의 사회성 : 언어 기호·마음·세계에 관한 동서 철학의 융합 (Loan 6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남경희 南京熙
Title Statement
언어의 연기와 마음의 사회성 : 언어 기호·마음·세계에 관한 동서 철학의 융합 / 남경희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12   (2013)  
Physical Medium
565 p. ; 23 cm
ISBN
9788973009428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540-548)과 색인수록
000 00811camcc2200241 c 4500
001 000045694487
005 20131226170951
007 ta
008 120307s2012 ulk b AR 001c kor
020 ▼a 9788973009428 ▼g 93100
035 ▼a (KERIS)BIB000012674883
040 ▼a 241050 ▼c 241050 ▼d 244002 ▼d 211009
082 0 4 ▼a 401 ▼2 23
085 ▼a 401 ▼2 DDCK
090 ▼a 401 ▼b 2012
100 1 ▼a 남경희 ▼g 南京熙 ▼0 AUTH(211009)116848
245 1 0 ▼a 언어의 연기와 마음의 사회성 : ▼b 언어 기호·마음·세계에 관한 동서 철학의 융합 / ▼d 남경희
260 ▼a 서울 : ▼b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c 2012 ▼g (2013)
300 ▼a 565 p. ; ▼c 23 cm
504 ▼a 참고문헌(p. 540-548)과 색인수록
536 ▼a 본 저서는 2008년도 정부(교육과학기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945 ▼a KLPA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401 2012 Accession No. 11165931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401 2012 Accession No. 11170907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401 2012 Accession No. 12121800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4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1/ Call Number 401 2012 Accession No. 15131804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401 2012 Accession No. 11165931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401 2012 Accession No. 11170907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401 2012 Accession No. 12121800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1/ Call Number 401 2012 Accession No. 15131804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20세기 이후 전개되어온 현대 서양철학의 언어적 전회는 철학사에서 가장 중요한 정신적 변혁이라 일컬어진다. 이 책은 이러한 언어적 전회의 성과를 적극 수용하여, 언어적 전회 이후의 서구 존재론과 인식론, 언어관 등을 동아시아적 사유과 접목시켜 독자적으로 고찰하는 과정을 통해 궁극적으로 동서 철학의 융합 가능성을 제시한 주목할 만한 연구서이다.

정신과 사유, 이성과 논리, 경험 등에 대한 사유가 주축이 되던 그간의 철학사에서 언어는 단지 이성이 인식한 바를 표현하고 전달하는 정신의 도구에 불과했다. 저자는 그런 통념을 뒤집고 철학에 대한 근본적 탐구를 위해서는 그 출발점에 언어를 두어야 한다고 역설한다. 또한 정신과 언어, 세계와 언어 간의 관계를 재검토하면서 언어 활동을 통해 유기되는 우리의 마음과 언어 공간 속에서 영위되는 인간의 삶을 면밀히 관찰한다. 저자는 이를 통해 언어 기호와 인간의 마음, 인간을 둘러싼 세계 사이의 유기적 연결성을 짚어낸다.

독자적인 언어관을 통해 제안하는 동서 철학의 융합
20세기 이후 전개되어온 현대 서양철학의 언어적 전회(linguistic turn)는 철학사에서 가장 중요한 정신적 변혁이라 일컬어진다. 이 책은 이러한 언어적 전회의 성과를 적극 수용하여, 언어적 전회 이후의 서구 존재론과 인식론, 언어관 등을 동아시아적 사유과 접목시켜 독자적으로 고찰하는 과정을 통해 궁극적으로 동서 철학의 융합 가능성을 제시한 주목할 만한 연구서이다.
정신과 사유, 이성과 논리, 경험 등에 대한 사유가 주축이 되던 그간의 철학사에서 언어는 단지 이성이 인식한 바를 표현하고 전달하는 정신의 도구에 불과했다. 저자는 그런 통념을 뒤집고 철학에 대한 근본적 탐구를 위해서는 그 출발점에 언어를 두어야 한다고 역설한다. 또한 정신과 언어, 세계와 언어 간의 관계를 재검토하면서 언어 활동을 통해 유기되는 우리의 마음과 언어 공간 속에서 영위되는 인간의 삶을 면밀히 관찰한다. 저자는 이를 통해 언어 기호와 인간의 마음, 인간을 둘러싼 세계 사이의 유기적 연결성을 짚어낸다.

언어 철학적 해석으로 재조명한 연기(緣起)의 개념
무엇보다 본서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점은 이렇게 유기적으로 얽혀 있는 언어와 마음의 주요 특색을 집약하는 원리로 연기(緣起)라는 개념을 제안한 것이다. 연기의 개념은 불교에서 유래했지만 중국과 한국 등지에서 수용과 변용을 거치면서 특정 종교를 넘어 동아시아인들의 주요 사유 범주가 되었다. 본서는 이를 언어 철학적 관점에서 재해석하고 재조명한다. 연기의 개념은 언어의 규정적이고 창조적인 성격을 적절히 포착하면서 언어 기호가 어떻게 마음의 세계를 전개하고 연기적 세계를 구축해가는지를 설명한다. 언어의 근본 작동 원리로서 재해석해낸 연기성의 개념을 기반으로 동서 철학의 창조적인 융합 가능성을 타진하고 마음의 사회성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안한다.

20여 년간의 연구를 집대성한 의미 있는 철학연구서
본서는 비교철학의 방법을 통해 철학과 언어학, 생물학, 심리학, 문헌학, 불교 등 인문학 전반의 괄목할 만한 연구 성과를 취해 새로운 언어관을 제시, 지금까지의 철학을 다시 읽는 새롭고 참신한 패러다임을 제안해냈다. 철학자로서 특히 언어철학 분야에 꾸준한 관심을 기울여온 저자가 20여 년에 걸쳐 집대성한 본서의 철학적 성취는 학계는 물론이고 우리 철학사에도 의미 있는 성과가 되리라 기대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남경희(지은이)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문학석사학위를, 미국 텍사스대학교(오스틴)에서 철학박사학위를 받았다. 오랫동안 이화여자대학교 철학과에서 재직하며 서양 고대철학, 정치철학, 언어철학 등을 가르쳤다. 서양고전학회장, 한국분석철학회장을 역임했고, 현재는 정년퇴임하여 명예교수로 있다. 철학 교육과 연구의 공로를 인정받아 2013년 이화학술상을 수상했으며, 서양고전철학, 언어와 마음, 동서 철학의 융합 등에 지속적인 관심을 기울이며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는 『서구 정신의 원형: 서구 보편주의를 넘어서』(2016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선정 추천도서), 『언어의 연기와 마음의 사회성』(2013 대한민국학술원 선정 우수학술도서), 『플라톤: 서양철학의 기원과 토대』(2006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 저술상 수상), 『비트겐슈타인과 현대 철학의 언어적 전회』(2006 문화관광부 선정 우수학술도서, 2009 열암학술상 수상), 『말의 질서와 국가』(1998 문화관광부 선정 우수학술도서), 『이성과 정치존재론』(1998 문화관광부 선정 우수학술도서, 1999 서우철학상 수상), 『주체, 외세, 이념: 한국 현대국가 건설기의 사상적 인식』 등이 있고, 기타 다수의 공저서와 논문, 역서가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머리말 = 5
1부 언어, 세계, 사회 = 19
 1장 언어 제도와 존재론 = 21
  1. 서언: 미완의 철학적 혁명 = 21
  2. 전통 존재론의 문제점 = 26
  3. 존재에서 언어로 = 32
  4. 색깔 어휘: 우리가 세계를 보는 양식 = 42
 2장 문법과 논리의 자의성 = 46
  1. 비트겐슈타인의 문법 자의성론 = 46
  2. 의미와 마음의 위상 = 58
  3. 어휘 의미 형성에서 공시성과 통시성 = 65
  4. 비트겐슈타인과 불교의 언어관 = 75
 3장 기표와 기의의 세계 독립성 = 82
  1. 소쉬르의 자의성 원리와 그 해석 = 82
  2. 자의성 원리에 대한 새로운 해석 = 88
  3. 언어와 세계 = 107
  4. 자의성 원리를 위한 논거와 그 함축 = 117
 4장 믿음과 의미: 인간 언어의 고유성 = 125
  1. 자의성 원리와 인간 언어의 특질 = 125
  2. 바벨은 언어의 기원 = 132
  3. 해석 조건으로서 기표에 대한 믿음 = 142
  4. 사회성의 기초로서 의미와 마음 = 151
2부 인간 삶의 언어 의존성 = 155
 5장 언어와 마음의 형성 = 157
  1. 보이기 않는 존재자와 진정한 언어 = 157
  2. 언어의 자율성과 연기성 = 162
  3. 리바이어던적인 언어 = 169
  4. 인식 방식과 통신 방식의 동조화 = 172
  5. 언어 활동은 인간적 행위 방식 = 179
 6장 언어의 공시성 = 192
  1. 공시성의 기초성 = 192
  2. 언어의 진화와 자연종의 진화 = 197
  3. 공시성의 이유 = 203
  4. 공시적 언어 상태와 진리의 장 = 210
 7장 언어 공간의 자율성 = 215
  1. 배타적 공시성과 의미 형성 = 215
  2. 언어 공간의 자율성과 자유의 근거 = 221
  3. 시간에 대한 공간의 기초성 = 225
  4. 기억과 진리, 그리고 언어 상태의 변화 = 233
 8장 언어 상태와 인간 삶 = 239
  1. 자연 상태와 언어 상태 = 239
  2. 언어는 척도이자 주인 = 247
  3. 공시적 언어의 효과와 함의 = 254
  4. 언어의 공시성과 윤리 규범 = 258
3부 언어의 연기와 언어의 진화 = 265
 9장 연기성: 서사 전개와 세계 생성의 원리 = 267
  1. 언어의 외적 무연성과 내적 연기성 = 267
  2. 연기성의 원리 = 275
  3. 언어 연기론의 연관 논제들 = 283
  4. 연기적 공간의 불확정성 = 288
  5. 연기성, 역사성, 합리성 = 293
 10장 언어의 연기와 불교적 연기 = 308
  1. 연기는 상(相)의 연기이다 = 308
  2. 불교적 연기 개념의 재해석: 마음에서 말로 = 319
  3. 윤리성의 근원적 기반 = 326 
 11장 언어 진화의 구조와 기표의 중심성 = 333
  1. 개념들의 진화 = 333
  2. 언어 진화와 자연 진화 간의 유사성 = 336
  3. 언어 진화에서 기표의 주축성: 자연 진화와의 차이 = 342
  4. 언어의 진화와 기표의 의미가 = 350
4부 언어 공간의 상호 반향성과 연기 = 361
 12장 인드라망의 언어 철학적 해석 = 363
  1. 인드라망의 비유 = 363
  2. 인드라망과 화자들의 공동체 = 372
  3. 해석과 반향 = 378
  4. 마음의 사회성: 마음의 상호 반향적 형성 = 390
 13장 동물 비유와 상즉상입의 존재론 = 394
  1. 정신의 발견을 위한 반영상 = 394
  2. 대화적 타자의 필수성 = 406 
 14장 시 예술과 연기적 공간의 창출 = 409
  1. 시적 공간의 연기성 = 409
  2. 시어와 일상어의 반향성 = 420
  3. 연기적 힘의 기초는 기표 = 424 
5부 연기적 세계의 중간성과 마음 = 433
 15장 인식자의 관점 = 435
  1. 인식자의 관점과 생존방식으로서의 인식 = 435
  2. 존재자의 모습과 언어적 인식 = 440
  3. 혼돈에서 질서를 창출하는 인식자 = 445
  4. 인식의 현재주의적 관점 = 457
  5. 진화론의 언어 의존성 = 465
 16장 인식자의 관점과 존재자의 연기 = 471
  1. 창발론의 새로운 이해 = 471
  2. 언어학과 생물학에서 창발적 현성 = 478
  3. 표현형과 유전자, 어느 것이 우선적인가? = 486 
 17장 자연 언어와 감각질의 불가환원성 = 491
  1. 불가환원론과 그 논거 = 491
  2. 인식자의 의식 상태로서의 감각질 = 500
  3. 감각질의 주관성과 객관성 = 507 
 18장 존재계의 중간성과 자율성 = 515
  1. 존재계의 사회성과 자율적 구성 = 515
  2. 실재와 현상 = 522
  3. 존재자의 중간성과 존재자의 본질로서의 결 = 533 
참고문헌 = 540
찾아보기 = 549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