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학교폭력의 개념과 원인 = 13
1. 학교폭력의 개념과 심각성 = 13
2. 학교폭력의 원인 = 14
1) 학교폭력행위의 의미 = 14
2) 학교폭력의 발생 원인 = 14
(1) 개인적 및 심리적 요인 = 14
(2) 가정적 요인 = 14
(3) 학교적 요인 = 15
(4) 사회적 요인 = 15
3) 청소년의 폭력행위 실태 = 16
(1) 폭력을 당한 경험 = 16
(2) 폭력을 당한 장소 = 16
(3) 폭력을 당한 대상자 = 17
(4) 폭력을 당한 이유 = 17
(5) 폭력피해 내용 = 17
(6) 폭력을 당한 후의 심리적 상태 = 18
(7) 폭력을 당한 후 피해사실을 알린 대상 = 18
(8) 피해사실을 알리지 않았다면 그 이유 = 18
(9) 피해사실을 알렸을 때의 해결 정도 = 19
(10) 우리 사회의 학교폭력의 정도 = 19
(11) 학교폭력을 근절하기 위한 방안 = 19
4) 학교폭력 예방방법 = 20
(1) 개인 수준의 조치사항 = 20
(2) 학급 수준의 조치사항 = 20
(3) 학교 수준의 조치사항 = 20
(4) 가정 수준의 조치사항 = 21
(5) 유해환경 제거 및 유익환경 증진 방안 = 21
3. 세계적 교육전문가의 학교폭력 원인진단과 관련좌담회 = 21
1) 학교폭력의 원인 = 22
2) 학교폭력의 대처 = 22
3) 학교폭력의 예방방법 = 23
4. 학교폭력의 구체적 원인 = 26
5. 학교폭력의 원인분석 = 27
1) 학교폭력의 원인 = 27
2) 학교폭력의 해결방안 = 27
6. 학교폭력의 요인과 파장 = 30
1) 가정적 요인 = 30
2) 학교 교육적 요인 = 31
3) 사회적 요인 = 31
7. '알맹이 없던' 학교폭력 대책과 기대 = 32
8. 학교측의 '학교폭력' 숨기기 = 33
9. 학교폭력의 현실과 현장 = 35
1) 학교폭력과 청소년 폭력 = 35
2) 부모교육보다 앞서야 할 것이 부부교육 = 42
3) 교육이라는 목표하에 모인 학교로의 접근 = 48
10. 왕따 무서워 아빠 금고 턴 중학 1년생 = 59
11. "너희 왕따 둘, 서로 때려" 가해학생들이 폭력조종 = 61
12. 학교폭력을 담임의 시각으로 본 견해 = 64
13. 자살 중학생 사건을 보며 = 65
제2장 학교폭력의 실태와 사례 = 67
1. 국무총리실 명예기자단의 학교폭력 실태보고서 = 67
1) 학교폭력의 가해 이유 = 67
2) 학교폭력 전문상담기관 필요성의 여부 = 69
2. 학교폭력의 실태 및 현황 = 70
3. 교과위의 학교폭력 부실대응 추궁 = 71
4. 학교폭력 피해자의 가해학생ㆍ학교 고소 = 72
5. 교실은 무법천지와 대책없는 학교폭력 = 73
1) 학교폭력 피해건수 갈수록 증가 = 75
2) 관계당국 대책마련 고심 = 76
6. 성적 폭력 급증과 동영상 유포의 심각성 = 78
7. "다 무릎꿇어", "교무실로 와"의 왕따학생 위험성 = 79
8. 전주 자살 고교생 유족 "1년 동안 학교폭력 당해, 담임 알고도 쉬쉬" = 80
9. 2010년 학교폭력 실태 발표 및 대책강화 촉구 기자회견 - 실태현황 및 특징 = 81
1) 학교폭력 파해율, 가해율의 지속 및 심각화 = 81
2) 학생 10명 중 2명은 재학 중 학교폭력 피해경험, 저연령화 = 83
3) 학생 10명 중 2명은 재학 중 학교폭력 가해경험, 저연령화 = 83
4) 학생들의 학교폭력 심각성에 대한 체감도 지속적 증가 = 85
5) 폭력의 둔감화 : 신종 학교폭력 유형 인식 저조(졸업빵, 계급층, 사이버폭력) = 85
6) "죽을만큼 고통스러워요"(학교폭력 이후 피해고통 호소) = 86
7) 학교폭력으로 인한 죽음의 고통(자살, 자살충동 여부의 심각성) = 88
8) 학교폭력으로 인한 일상생활의 어려움(등교거부의 심각성) = 89
9) 학교폭력 피해유형(성별 차이에 따른 피해 대책 및 차등적 예방필요) = 89
10) 학교폭력 피해와 가해경험이 모두 있는 학생의 현황 = 90
11) 실제적 도움과 지원체계 강화 시급 = 91
12) 폭력에 대한 일상화와 관대적 문화 및 가해행동의 심각성 = 92
13) "나만 아니면 된다" 학교폭력 방관하는 학생들 = 93
14) 실질적인 학교폭력 예방교육 필요성, 대처방안 보급 필요 = 94
15) 학생들 "학교폭력전문상담기관 필요하다" 절실 = 95
10. 보복폭력과 학교폭력의 위험성 = 97
1) 학부모 대처방법의 소개 = 97
2) 가해학새의 무조건 감싸기 금지 = 97
11. 학교폭력 '0건'의 통계적 허구성 = 98
1) 착한 교사들이 아이들의 미래를 위해서 은폐 = 99
2) 교원평가의 역설, 원칙대로 하면 평가에 불이익 = 100
12.학교폭력의 '수술게임', 아이들의 '위험한 게임' = 103
1) 장난도 폭력 = 103
2) '위험한 게임에의 강제 참여'는 게임 빙자 폭력 = 103
3) '아이가 지갑에 손을 대면' 금품갈취 의심 = 104
4) '약한 아이를 놀리는 것도 언어적 및 정서적 폭력' = 104
5) 인터넷 명의도용도 사이버 폭력 = 105
(1) 얼굴에 상처내기 = 105
(2) 주먹서열 정하기 = 106
6) 학교폭력에 대한 시사점 = 107
7) 학교폭력의 해법 = 108
13. 등돌린 학교와 학교폭력의 원인 = 108
14. 학교폭력에 대한 정부의 책임 = 111
15. 학교폭력의 대책마련 = 114
16. 학교폭력 자살이 피해자의 부모탓인가 = 115
17. 진화하는 학교폭력, 보이지 않는 폭력의 위험성 = 116
18. 자살 중학생 학교폭력 못견딘 듯 = 117
19. 개학 한달 활발한 '무리짓기', 무리 결속된 뒤 집단따돌림 시작 = 119
제3장 학교폭력의 예방방법 = 122
1. 학교폭력의 심각성과 대처방법 = 122
1) 학교폭력의 심각성 = 122
2) 우리 아이의 안전성 = 123
3) 우리 아이의 보호방법 = 124
4) 우리 아이가 피해자일 경우의 대처방법 = 124
2. 학교폭력을 예방하는 방법 = 125
1) 부모의 무한책임 = 125
2) 학교폭력 신고시 = 125
3. 학교폭력 예방기법 = 126
1) 학교폭력에 대한 범위 = 126
2) 학교폭력의 문제점 = 126
3) 학교폭력 대처방안 = 126
4) 추가적 필요사항 = 126
5) 학교폭력 예방 글짓기 예시 = 127
4.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 = 132
1) 기본계획 = 132
2) 친구들과의 친근감 = 134
3) 학교폭력 예방수업 = 136
4) 배려와 희생의 결여 = 139
5) 편안한 상담교사의 필요성 = 140
6) 학교폭력의 예방은 관심과 사랑 = 141
7) 지속적인 연수 및 상담활동 = 144
8) 피해학생에 대한 안정책 강구 = 148
9) 학교폭력의 해결방법은 가정의 동참 = 151
10) 인성교육의 필요성 = 157
11) 예절교육의 필요성 = 159
12) 업그레이드된 교육을 통한 학교폭력의 감소 = 163
13) 학생, 학부모, 교사의 공조 필요성 = 166
5. 졸업식 등 대비, 학교폭력 예방활동 강화, 폴리스 타임즈 = 169
6. 2012년 학교폭력관련 교과부의 역할 = 173
1) 전문상담인력 배치 = 173
2) 공익근무요원 활용 = 173
3) 학교폭력 실태조사 = 174
4) 학교폭력 예방 스마트폰 어플 활용 강화 = 174
5) 학교폭력 신고센터 설치ㆍ운영 = 174
7. 학교폭력에 대처하는 학교의 역할 = 175
8. 학교폭력 예방은 고양이 목에 방울달기식 = 175
1) 우리나라에는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 부존재 = 176
2) 가해자를 순진하게 보는 태도는 잘못됨 = 176
3) 전학의 대안학교 = 176
4) 학교징계위원회의 견해 청취 필요성 = 177
5) 방관하는 학생들 = 177
6) 보편타당한 사회적 기준의 필요성 = 178
9. 대구의 중학생 자살과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전직 학생부장의 호소 = 179
1) 학교폭력대책위원회의가 열린 횟수를 공시하라는 정책의 폐지 = 180
2) 중학생의 출석정지 범위를 재설정 = 182
3) 학생부장에 대한 특별배려 = 183
제4장 학교폭력 대책과 학교의 역할 = 186
1. 학교폭력 대책과 학교의 입장 = 186
2. 학교폭력 대책과 '군 가산점' 부활 여부 = 187
3. 학교폭력대책, '수박 겉핥기식' 비난 = 189
4. 늘어가는 학교폭력, 대책의 실효성 여부 = 190
5. 학교폭력 대책 법률개정안 통과 = 191
6. 친구야, 두려워마 = 192
7. 학교폭력 피해를 입었던 20살 청년 = 193
8. 학급내 따돌림 극복사례 = 195
9. 저희반 왕따사건 문제 = 198
10. 경찰, 학교폭력 상습범 선별ㆍ특별관리 = 201
11. 학교폭력 은폐한 교사ㆍ교장 엄중조치 = 202
12. '그린 마일리지' 제도로 학교폭력 잡기 = 204
13. 학교폭력, 어른들은 잘 모르는 아이들의 숨겨진 삶 = 205
14. 학교폭력 추방과 '사랑의 캠프' = 208
15. 인천보호관찰소 학교폭력 가해학생 심리치료 '가족 상황극' 현장 = 209
16. 학교폭력이 어제 오늘 일이 아닌데 = 211
17. 학교폭력, 교권도 위협 침해사례 4년간 4배 증가 = 211
18. 경기도교육청, 성폭력ㆍ학생인권 보호에 적극 나서 = 212
19. 친구사랑 운동으로 바람직한 또래문화 형성 = 213
20. 학원폭력의 양상 = 215
21. 빵셔틀 등 학교폭력 처벌 = 215
22. "교사 주도로 가해ㆍ피해 증거 확보, 학부모 협조로 문제해결" = 216
23. 서울시교육청 '교권침해 예방 매뉴얼' 제작 = 219
24. 전국 중학교 3000여곳 전문 상담교사 배치 = 219
25. 학교폭력 대처 못배우고 교단에 서는 예비교사들 = 221
26. 학교폭력 당사자 부모의 대처법 = 223
27. 학교폭력 중의 왕따대처법 = 225
28. 학교에서 괴롭히는 아이 대처법 = 227
1) 장난으로 괴롭히는 아이 = 227
2) 폭력을 쓰는 아이 = 227
29. 대전서 후배 집단 성폭생 중학생 7명 검거 3명 구속 = 228
30. 퇴학이나 강제전학이 학교폭력의 대안 여부 = 229
31. 친구 '아픔'에 무감각 = 232
32. 불행하게 사는 법을 가르치는 우리의 교육현실 = 233
33. 자살 고교생 유족 "학교측이 사건을 덮으려는 시도" = 236
34. 성주교육지원청, 학부모 만족도 등 3개 부문 '도내 1위' = 237
35. 조현오 경찰청장, 학교폭력에 적극적 대처 = 238
36. '학교폭력 담당장학사' 학교별 배치 = 238
37. 경북교육청의 학교폭력 추방에 학부모 학교장이 앞장 = 240
38. 따돌림 생중계 당하는 왕따, "사이버공간서 피눈물" = 241
39. 법보다 주먹, 신고학생 70%"보복당해" = 242
40. 학교폭력 대처와 예방법 = 244
1) 학교폭력의 징후 = 245
2) 학교폭력의 사례와 대처방법 = 246
41. 중학생이 말하는 학교폭력 예방법 = 247
1) 경범죄를 소탕하고 대형범죄를 막는 "자동차 유리창 효과" = 248
2) 부모님의 관심과 학교의 적극적 대처가 필요 = 250
42. 학교폭력 실태와 예방법 = 251
제5장 학교폭력대책 관련법 및 해결방법 = 253
1.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의 문제점 및 개정 = 253
1) 문제의 소재 = 253
2) 법률의 개정방향과 패러다임 = 254
(1) 법 개정의 세가지 의미 = 254
(2) 법 개저의 패러다임 = 254
(3) 구체적인 문제점 및 개정방향 = 256
3) 학교폭력의 현황 = 258
4) 학교폭력의 원인 = 258
(1) 가정의 해체 = 258
(2) 학생들의 정신건강 = 259
(3) 현재 정부의 대처사항 = 259
(4) 대책 = 260
(5) 학부모 입장에서 노력해야 할 사항 = 261
2. 긴급점검, 학교폭력 대책, "사랑한다" 아빠 한마디에 '폭행 아들' 눈물범벅 = 262
1) 부모가 아이를 아프게 하는 행위 = 263
2) 가해학부모 교육의 의무화 검토와 예산확보 = 265
3. 교실서 담뱃불 끄랬더니 "에이 씨.." 대든 일진 = 266
1) 학생주임 8명이 밝히는 학교폭력 실상과 자기반성 = 266
2) 학생주임들의 뒤늦은 반성 = 266
3) 학생주임이 본 실전 대책 = 267
4. 가해학생과 피해학생의 징후 = 268
1) 친구가 고가의 물건을 빌려줬다는 가해학생 = 268
2) 학교가기 싫다고 전학보내 달라는 피해학생 = 268
5. 학교폭력의 실태분석과 대응방안 = 269
1) 학교폭력의 의의 = 269
(1) 학교폭력의 개념 = 270
(2) 특징 = 270
6. 학교폭력의 해결방안 = 272
1) 학교폭력의 현상 = 272
2) 학교폭력의 정의 = 272
3) 학교폭력의 발생원인 = 273
(1) 가정, 학교, 사회에서 폭력에 대한 직접경험 = 273
(2) 매체를 통한 폭력의 간접경험 = 273
(3) 학생들의 문화시설과 여가 프로그램 부족 = 273
(4) 개인과 집단의 대립에서 오는 소외감 = 274
(5) 사회적 요인 = 274
7. 폭력에 멍든 학교의 구제방법 = 274
1) 학교폭력의 심각성 = 275
2) 학교폭력의 통계적 오류 = 275
3) 공권력 개입, 신종 '계엄령' = 275
4) 말하지 못하는 아이들, '대처교육' 필요 = 276
5) 부모교육, 예방프로그램 강화 = 277
6) 교화 프로그램 실효성 확대필요 = 277
7) 학생인권조례 '정치적' 공방 불필요 = 278
8) 상담교사 확대, 담임교사 역할 강화 = 278
8. 대구서 '폭력없는 학교 위한 추모집회' 열려 = 279
9. 김홍도의 풍속도첩, 서당도의 왕따 = 280
10. 학교방화와 살인미수는 따돌림 때문에 발생한 사건 = 281
1) 왕따의 역사적 추세 = 281
2) 왕따없는 교육풍토 가능의 시기 = 285
11. '학교폭력' 학생생활기록부 기록, 입시반영 = 286
12. '강제전학' '학부모소환제', 학교폭력에 대한 정부대책 = 287
1) 처벌과 학생ㆍ학부모 의무 '강화' = 287
2) 학교폭력 책임교사에 승진 가산점 부여 = 288
3) "처벌만 강화는 역효과 우려" 지적 = 289
13. 학교폭력기록 3월부터 학생부에 기록 = 289
14. 교육감들 강제전학ㆍ과징금ㆍ학생부기재 등 건의 = 291
15. 학생인권조례, 학교폭력 해결책 될 수 있어 = 293
16. 따뜻한 한마디, 고1 승현ㆍ중3 민수의 일진 탈출기 = 294
17. 학교폭력 바라보는 평교사의 '푸념' = 239
18. 열네 살 어린 학생의 비참한 학교폭력 취재사례 인용 = 298
19. 학교폭력에 관한 우수도서 소개 및 서평 = 306
1) 폭력없는 평화로운 학교만들기 = 306
(1) 학교폭력 발생 후 심리적 이해 = 310
(2) 가해학생의 심리 = 311
2) 이선생 학교폭력 평정기 = 312
20. 학교폭력 대응 위해 교사ㆍ학부모ㆍ학생 간담회 = 315
21. 학교폭력 토론회와 해결대책 = 316
22. '소탕' 의지 보여야 학교폭력 근절대책 = 319
23. 학교폭력에 관한 현직교사의 해결방법 = 322
〈부록 1〉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 = 326
〈부록 2〉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 시행령 = 3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