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21세기 사회주의

21세기 사회주의 (5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Meszaros, Istvan, 1930-
단체저자명
전태일을따르는민주노동연구소, 역
서명 / 저자사항
21세기 사회주의 / 이스트번 메자로스 지음 ; 전태일을 따르는 민주노동연구소 옮김
발행사항
파주 :   한울아카데미,   2012  
형태사항
213 p. ; 24 cm
총서사항
한울아카데미 ;1411
원표제
(The) challenge and burden of historical time : socialism in the twenty-first century. Chapter 9. Socialism in the twenty-first century
ISBN
9788946054110
일반주기
색인수록  
일반주제명
Capitalism Imperialism Socialism
000 01090camcc2200337 c 4500
001 000045692914
005 20120225162810
007 ta
008 120224s2012 ggk 001c kor
020 ▼a 9788946054110 ▼g 93330
035 ▼a (KERIS)BIB000012660879
040 ▼a 211023 ▼c 211023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4 ▼a 335 ▼2 22
085 ▼a 335 ▼2 DDCK
090 ▼a 335 ▼b 2012
100 1 ▼a Meszaros, Istvan, ▼d 1930- ▼0 AUTH(211009)115635
245 1 0 ▼a 21세기 사회주의 / ▼d 이스트번 메자로스 지음 ; ▼e 전태일을 따르는 민주노동연구소 옮김
246 1 9 ▼a (The) challenge and burden of historical time : ▼b socialism in the twenty-first century. ▼n Chapter 9. ▼p Socialism in the twenty-first century
246 3 ▼a 이십일세기 사회주의
260 ▼a 파주 : ▼b 한울아카데미, ▼c 2012
300 ▼a 213 p. ; ▼c 24 cm
440 0 0 ▼a 한울아카데미 ; ▼v 1411
500 ▼a 색인수록
650 0 ▼a Capitalism
650 0 ▼a Imperialism
650 0 ▼a Socialism
710 ▼a 전태일을따르는민주노동연구소, ▼e
900 1 0 ▼a 메자로스, 이스트번, ▼e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5 2012 등록번호 11165845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소련 사회주의를 비판하면서 새로운 사회주의를 ‘21세기 사회주의’로 모색한 최초의 사람은 1960년대 쿠바의 체 게바라였다. 그는 자본주의를 넘어선 새로운 사회로서 사회주의를 건설하려면 물질적 토대를 변혁해야 할 뿐 아니라 사람도 사회적 개인 또는 ‘사회주의적 인간’으로 변혁되어야 함을 강조하면서 ‘21세기 사회주의’를 꿈꾸었다.

제국주의와 초국적 자본 세력이 세계 정복의 야욕을 가지고 전쟁을 세계적 범위로 확장해가는, 다시 말해 자본주의의 모순이 인류를 파멸로 몰아가는 이때, 무엇보다도 절실히 요청되는 것은 자본주의 자체에 대한 대안이다. 이 책의 저자는 사회주의 변혁에서 요구되는 주요 목표와 특징을 여덟 가지 지향원리로 제시하여 21세기 사회주의 상(像)과 원리를 소상히 밝히고 있다.

21세기 사회주의, 그 변혁이 지향할 여덟 가지 원리와 특징
‘합리적인 살림살이’에 기초한 지속 가능한 발전은
실질적으로 평등한 사회의 바깥에서는 불가능하다


소련 사회주의를 비판하면서 새로운 사회주의를 ‘21세기 사회주의’로 모색한 최초의 사람은 1960년대 쿠바의 체 게바라(Che Guevara)였다. 그는 자본주의를 넘어선 새로운 사회로서 사회주의를 건설하려면 물질적 토대를 변혁해야 할 뿐 아니라 사람도 사회적 개인 또는 ‘사회주의적 인간’으로 변혁되어야 함을 강조하면서 ‘21세기 사회주의’를 꿈꾸었다.

제국주의와 초국적 자본 세력이 세계 정복의 야욕을 가지고 전쟁을 세계적 범위로 확장해가는, 다시 말해 자본주의의 모순이 인류를 파멸로 몰아가는 이때, 무엇보다도 절실히 요청되는 것은 자본주의 자체에 대한 대안이다.
이 책의 저자는 사회주의 변혁에서 요구되는 주요 목표와 특징을 여덟 가지 지향원리로 제시하여 21세기 사회주의 상(像)과 원리를 소상히 밝히고 있다.

이 책은
비틀거리는 세계자본주의의 대안, ‘21세기 사회주의’


우리는 21세기 초에 살고 있지만 20세기 전반기와 본질적으로 같은 처지에 놓여 있다. 100년 전인 20세기 초 제1차 세계대전을 눈앞에 두고 독일 혁명가 로자 룩셈부르크는 “사회주의냐 야만이냐”라는 물음으로 당시 정세를 압축적으로 표현했다. 그리고 21세기 초, 우리는 다시 똑같은 갈림길에 서 있다.
돌이켜 보면, 세계자본주의는 이미 21세기로 넘어오면서 세계 대공황과 제국주의 침략전쟁의 국면에 들어섰다. 2000년 미국의 IT 거품 붕괴, 2001년 ‘9.11 테러’와 그에 이은 미 제국주의의 아프가니스탄 침략전쟁 및 ‘악의 축’ 공세, 2003년 이라크 침략전쟁이 그것이다. 세계자본주의는 이미 비틀거리기 시작했던 것이다.

‘전태일을 따르는 민주노동연구소’는 바로 이러한 정세적 요구에 복무하려고 이 번역본을 내놓았다. 1929년에 비견되는 대공황으로 세계자본주의가 비틀거리고, 그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제국주의와 초국적 자본 세력이 세계 정복의 야욕을 가지고 전쟁을 세계적 범위로 확장해가는, 다시 말해 자본주의의 모순이 인류를 파멸로 몰아가는 이때, 무엇보다도 절실히 요청되는 것은 자본주의 자체에 대한 대안이다. 대공황의 원인이 금융투기나 신자유주의 세계화가 아니라 자본주의 그 자체에 있기 때문이다.

소련의 붕괴를 전후해 마르크스주의 학자들은 대부분 마르크스주의와 사회주의를 버리고 자본주의에 투항해 사회민주주의 수준으로 후퇴했다. 이런 대세와는 반대로, 이 책의 저자는 자본주의의 내적 모순에 대한 과학적 분석을 토대로 세계자본주의가 구조적 위기에 직면해 있고 이로 인해 제3차 세계대전과 같은 세계적 차원의 전쟁으로 나아감으로써 인류를 파멸로 몰아갈 것이라고 경고했다. 다른 한편 소련의 내부 파열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20세기 사회주의의 오류와 한계를 비판적으로 성찰함으로써 자본주의에 대한 대안으로서의 사회주의를 ‘21세기 사회주의’로 복원해냈다.
이렇듯 ‘21세기 사회주의’에는 두 가지 의미가 담겨 있다. 20세기 현실사회주의에 대한 성찰을 토대로 재정립된 사회주의라는 의미와, 21세기의 주.객관적 조건을 반영한 사회주의라는 의미다.

이 책은 사회주의적 현세성의 필연적 형태와 역사의 근본적 개방성을 다룬다. 저가가 마르크스의 혁명적 세계관의 규정적 특징으로서 역사의 근본적 개방성을 지목한 이래, 역사의 근본적 개방성은 그의 사상에서 중심적 주제였다. 이 책이 자본주의에 대한 대안을 갈망하고 전망을 고민하는 활동가들에게 운동의 새로운 활력소가 되길 기대한다.

신간 출간의의

노동운동 활동가들과 진보적 교수들로 구성된 전태일을 따르는 민주노동연구소의 인간해방연구팀은 자본주의에 대한 대안과 이행전략 등을 연구하고 모색해왔다. 이 책은 이들이 The Challenge and Burden of Historical Time(<역사적 시간의 도전과 책무-21세기 사회주의>)(2008)의 가장 핵심적인 내용인 제9장 <21세기 사회주의>를 우선적으로 옮긴 것이다. 이 제9장에서 이 책에서 저자는 사회주의 변혁에서 요구되는 주요 목표와 특징을 여덟 가지 지향원리로 제시하여 21세기 사회주의의 상(像)과 원리를 소상히 밝히고 있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이스트번 메자로스(지은이)

1930년 헝가리 출생. 부다페스트 대학에서 죄르지 루카치의 조교로 수학했으며, 1956년 소련의 침공 직후 영국으로 망명해 서식스 대학의 철학 교수로 정착했다. 그 후 마르크스, 루카치, 사르트르에 관한 저작을 포함해 많은 철학, 정치경제학, 문화 저작을 저술했으며 『마르크스의 소외론(Marx’s Theory of Alienation)』으로 1971년 아이작 도이처 상을 수상했다. 그 밖의 주요 저작으로는 『자본의 구조적 위기(The Structural Crisis of Capital)』(2009), 『역사적 시간의 도전과 책무: 21세기 사회주의(The Challenge and Burden of Historical Time: Socialism in the Twenty First Century)』(2008), 『자본을 넘어서(Beyond Capital)』(1995), 『이데올로기의 힘(The Power of Ideology)』(1989) 등이 있다. 특히 작고한 우고 차베스 베네수엘라 전 대통령이 그의 사상으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태일을 따르는 민주노동연구소(옮긴이)

1990년 2월 설립. 전태일 열사의 인간해방 사상을 따라, 변혁적 노동운동을 발전시키고 자본주의를 넘어선 새로운 사회를 모색하는 실천적 이론을 연구, 보급하고 있다. 『신자유주의와 세계민중운동』(1998)과 『경제 대공황과 IMF 신탁통치』(1997)를 펴낸 바 있으며, 웹사이트(dli.nodong.net)를 통해 정세와 투쟁 방향에 관한 분석과 논평도 제공하고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글을 옮기며 = 5
들어가기 전에 = 10
이 책에 나오는 주요 핵심용어 = 26
1. 불가역성: 역사적으로 지속 가능한 대안 질서의 불가피함 = 33
2. 참여: 연합한 생산자들에게 의사결정을 점진적으로 이전하는 것 = 39
3. 실질적 평등: 지속 가능성의 절대적 조건 = 47
4. 계획: 자본의 시간 남용을 극복하는 데 꼭 필요한 것 = 58
5. 이용(利用)에서의 질적 성장: 유일하게 실행 가능한 경제 = 72
6. 민족적인 것과 국제적인 것: 우리 시대의 그 변증법적 상호보완성 = 107
7. 의회주의에 대한 대안: 물질적 재생산 영역과 정치 영역의 통일 = 136
8. 교육: 사회주의 의식의 지속적인 발전 = 167
찾아보기 = 211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