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정당정치, 안철수 현상과 정당 재편

정당정치, 안철수 현상과 정당 재편 (17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만흠
서명 / 저자사항
정당정치, 안철수 현상과 정당 재편 / 김만흠 지음
발행사항
파주 :   한울아카데미,   2012  
형태사항
162 p. ; 20 cm
총서사항
한울아카데미 ;1414
ISBN
9788946054141
서지주기
참고문헌: p. 160-162
주제명(개인명)
안철수   安哲秀,   1962-  
000 00711camcc2200253 c 4500
001 000045692882
005 20120227172434
007 ta
008 120224s2012 ggk b 000c kor
020 ▼a 9788946054141 ▼g 03340
035 ▼a (KERIS)BIB000012663069
040 ▼a 211062 ▼c 211062 ▼d 244002 ▼d 211009
082 0 4 ▼a 324.2519 ▼2 22
085 ▼a 324.253 ▼2 DDCK
090 ▼a 324.253 ▼b 2012
100 1 ▼a 김만흠 ▼0 AUTH(211009)103633
245 1 0 ▼a 정당정치, 안철수 현상과 정당 재편 / ▼d 김만흠 지음
260 ▼a 파주 : ▼b 한울아카데미, ▼c 2012
300 ▼a 162 p. ; ▼c 20 cm
440 0 0 ▼a 한울아카데미 ; ▼v 1414
504 ▼a 참고문헌: p. 160-162
600 1 4 ▼a 안철수 ▼g 安哲秀, ▼d 1962-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24.253 2012 등록번호 11165848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안철수 현상이 말하는 한국 정당정치의 위기 그리고 과제는 무엇인가. 지난해 안철수 현상은 가히 신드롬이라 불릴 만하다. 안철수 현상은 정치 변화에 대한 민심의 갈망을 대변하며 2012년 초 현재까지 여당을 비롯한 각 정당과 정치 세력의 쇄신과 변혁을 요구하고 있다. 더욱이 4월 총선과 12월 대선을 앞둔 지금, 정치권은 심하게 요동치고 있다. 이 책은 혼돈의 우리 정치의 모습을 객관적이고 올바르게 판단할 수 있는 시각을 제공할 것이다.

박근혜 대세론의 위기, 무소속 박원순 후보의 서울시장 당선…
정치권 재편을 불러일으킨 ‘안철수 신드롬’은 과연 득일까, 실일까?
소용돌이치는 한국 정당정치의 현재와 미래를 분석하다!


‘안철수 현상’으로 말해지는 정당정치의 위기는 정당정치가 안고 있는 근본적 한계에다 시대 변화에 조응하지 못한 정당개혁의 지체가 가중되면서 나타난 것이다. 특히 실패한 집권여당을 대체하는 대안 야당의 실종은 정당 위기의 결정적인 요인이라 할 수 있다. 집권여당에 대한 실망은 흔히 나타난다. 그래서 야당이 대안이 되어 집권한다. 그런데 이명박 정부의 집권여당에 대한 실망에도 불구하고 대안 세력이 애매한 상태가 되어, 민주적 정당정치의 순환구조가 깨진 것이다.
-본문 중에서

지난해 안철수 현상은 가히 신드롬이라 불릴 만하다. 안철수 현상은 정치 변화에 대한 민심의 갈망을 대변하며 2012년 초 현재까지 여당을 비롯한 각 정당과 정치 세력의 쇄신과 변혁을 요구하고 있다. 더욱이 4월 총선과 12월 대선을 앞둔 지금, 정치권은 심하게 요동치고 있다. 이 책은 혼돈의 우리 정치의 모습을 객관적이고 올바르게 판단할 수 있는 시각을 제공할 것이다.

이 책은

▶ 안철수 현상이 말하는 한국 정당정치의 위기 그리고 과제는 무엇인가?


“한국정치에 대한 불만의 한가운데에는 늘 정당이 있었다. 물론 우리 정치의 중심이 과연 정당인가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없지 않다. 그러나 대통령, 국회의원, 지방자치단체장, 지방의원 같은 한국 대의기구의 공식적인 충원 통로는 외형상 정당이 거의 독점하고 있다. 그런 만큼 정치에 대한 불만이 그대로 정당으로 이어지고 있다. (……)
기성 정치 영역에 대한 불신과 맞물려 기대를 받고 있는 안철수 교수가 정치현장에서 활동을 하게 된다면 과연 성공을 거둘 수 있을까? 바람직한 지도력을 발휘할 수 있을까? (……) 안철수 교수 개인에 대한 평가나 정치적 기대보다는 이제 ‘안철수 현상’이 던지고 있는 한국 정당정치의 과제에 주목했으면 한다.”

2012년은 이른바 ‘정치의 해’다. 4월에 총선과 12월 대선을 앞두고 정당과 정치인들은 자신의 자리를 찾아 분주히 움직이고, 국민들은 이들의 모습을 유심히 관찰하고 있다. 지난해부터 몰아친 안철수 현상과 서울시장 보궐선거, 나꼼수 열풍은 그동안 정치에 관심 없거나 멀어져간 사람들을 다시 정치 앞에 불러 앉혔다. 그러나 한편으로 최근의 정치 열풍 또는 ‘닥치고 달려’ 식의 정치평론들은 정치를 위정자의 꼼수로만 혹은 즉물적인 현상으로만 이해하게 만든 측면도 없지 않다. 이제는 바야흐로 객관적이고 공정한 분석을 바탕으로 한 정치평론이 필요한 시대인 것이다.
이 책의 저자 김만흠 박사는 오랫동안 한국정치를 냉철히 통찰해온 정치학자이자 정치평론가로 한국정치, 특히 한국의 정당정치에 대해 10가지 주제와 1가지 추가 주제를 통해 일반인이 알기 쉽게 설명한다. 정치는 단지 현재의 모습만이 아니라 과거로부터 이어져온 큰 흐름 속에 자리하고 있음을 설명하고 이를 통해 더 나은 미래의 정치를 제언한다. 이 책은 독자들에게 혼돈의 한국정치, 소용돌이치는 우리 정치의 모습을 객관적이고 올바르게 판단할 수 있는 시각을 제공할 것이다.

신간 출간의의

한국의 정당정치는 매우 복합적인 전환기를 맞고 있다. 정당의 역할과 조직 환경이 바뀌고 있다. 언론과 시민단체가 기존 정당의 영역을 공유한 지 오래되었지만, 인터넷과 SNS 시대는 또 다른 차원의 전환기를 만들고 있다. 여기에 정당정치에 내재된 근본적 한계가 정당개혁의 지체로 더욱 가중되어 나타나고 있다.
이 책은 정당정치에 관한 고전적 논란을 아주 간단히 소개하고, 한국 정당의 발생과정을 정리했다. 또한 한국 정당정치가 안고 있는 딜레마들, 대통령제와 여당의 역할, 반복되는 정권 말 레임덕, 거대정당 독과점과 정치적 양극화, 불안정한 양당제와 다당제 등 여러 쟁점들을 다뤘다. 한국 정당정치의 이해와 실천에 참고가 되는 핸드북이자, 기계적으로 인용해온 정당정치에 대한 기존 지식들을 새롭게 성찰하는 하나의 촉매제가 될 것이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김만흠(지은이)

정당 및 선거와 한국 정치를 전공한 정치학자로, 국회입법조사처 처장을 지냈으며 현재 한성대학교 석좌교수다. 서울대학교 정치학과와 대학원을 졸업하고, 동 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에서 특별연구원을 지냈다. 가톨릭대학교 정치학 교수로 연구와 강의를 했으며, 국가인권위원회 인권위원으로 활동했다. 서울신문 독자권익위원장, KBS, CBS 객원 해설위원, 국회방송의 의정종합뉴스 [뉴스N]의 앵커를 역임했으며, tbs FM, MBN,국회방송(NATV), Ktv의 시사토론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등 각종 방송에서 정치평론가로 활동했다. 주요 저서로 『김만흠의 15분 정치학 강의』, 『정당정치, 안철수 현상과 정당재편』, 『새로운 리더십, 분열에서 소통으로』, 『민주화 이후의 한국정치와 노무현 정권』, 『한국의 언론정치와 지식권력』, 『전환시대의 국가체제와 정치개혁』, 『한국정치의 재인식』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머리말 = 5
1 '안철수 현상'과 정당정치 = 13
 정당정치 환경의 변화
 야당의 실종과 정당정치의 위기
 '안철수 현상' 그리고 기성 정치와 정치신인
2 대의민주주의와 정당정치 = 23
 정당의 양면성, 순기능과 역기능
 정당이란 무엇인가?
 정당제도의 역할
3 한국 정당정치의 전개 = 29
 교섭단체제도의 도입과 정당결성의 촉진
 '일민주의'에서 '자유당' 창당으로
 '자유당'은 노동자ㆍ농민 대중의 당?
 여촌야도 현상과 근대화 가설
4 대통령제의 여당과 책임정치의 딜레마 = 41
 정당정치를 본격화한 5ㆍ16세력
 여당, 관변단체, 정보기관의 공조
 여소야대의 정당정치와 3당합당
 'DJP연합'과 정권교체
 당청분리와 직접 동원의 정치
 의회정치를 경사한 '탈여의도정치'론
 반복되는 레임덕과 무책임의 정치
5 여ㆍ야 대결의 정치와 정치균열의 변화 = 60
 여ㆍ야 대립의 속성과 변화
 민주 진영의 지역적ㆍ이념적 분화
 갈등과 계승의 두 '민주정부'
 소수 진보정당의 도약
6 민주적 정당체제와 진보정당론 = 73
 정당체제 평가의 두 기준
 이념적 차별성 부족의 문제인가?
 정당체제의 보수화 문제
 독과점 구조 개편과 제도개혁
7 지역균열과 정당민주주의 논란 = 84
 민주주의와 정치균열 현상의 이해
 정치적 지역주의가 부른 지역균열
 전환기의 정치균열
 승자독식의 정치제제 개편해야
 지역주의와 지역균열의 미래
8 정당 특권의 기호순번제 = 97
 불평등한 후진적 제도
 특권 완화를 통한 정당체제 유연화
9 세대균열의 정당정치와 '불후의 명곡' = 103
 시대의 전환과 세대
 월드컵 응원 에너지와 2002년 대선
 정치적 세대균열의 특성
 10ㆍ26 서울시장 보궐선거의 세대균열
 '불후의 명곡'과 세대 공감
10 야권통합과 정당연합 = 118
 야권 재편의 세 모습과 '민주통합'의 내막
 의원내각제의 연합정치와 승자독식의 한국정치
 정당연합과 정당통합
 민주 진영의 추락과 수권야당의 실종
 야당의 재편과 야권연합
 소수 진보정당과 선거제도
 +1 더 나은 정당정치 또는 정당을 넘어서 = 140
 정당의 역할 괴리와 '카르텔 정당'의 위기
 정당 개방화와 당의 정체성
 '탈정당 예비선거제' 도입 논란
 대중정당의 역설과 지지자 정당
 너무 강한 '조직으로서의 정당'
 '해적당'의 등장과 녹색당
 정당 시장의 유연화, 정당을 넘어
 전선(戰線)의 정치, 공생의 사회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