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평생교육론 : 모든 이를 위한 평생학습

평생교육론 : 모든 이를 위한 평생학습 (Loan 40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차갑부
Title Statement
평생교육론 : 모든 이를 위한 평생학습 = Lifelong education for all / 차갑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교육과학사,   2012  
Physical Medium
462 p. : 삽화, 도표 ; 24 cm
ISBN
9788925405506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423-433)과 색인, 부록수록
000 00628namcc2200217 c 4500
001 000045692763
005 20120227195529
007 ta
008 120224s2012 ulkad b 001c kor
020 ▼a 9788925405506 ▼g 9337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74 ▼2 22
085 ▼a 374 ▼2 DDCK
090 ▼a 374 ▼b 2012
100 1 ▼a 차갑부 ▼0 AUTH(211009)100304
245 1 0 ▼a 평생교육론 : ▼b 모든 이를 위한 평생학습 = ▼x Lifelong education for all / ▼d 차갑부
260 ▼a 서울 : ▼b 교육과학사, ▼c 2012
300 ▼a 462 p. : ▼b 삽화, 도표 ; ▼c 24 cm
504 ▼a 참고문헌(p. 423-433)과 색인, 부록수록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4 2012 Accession No. 11165857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차갑부(지은이)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교육학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명지전문대학교 청소년교육복지과 명예교수이며, 평생교육, 교수법 및 부모교육 전문강사로 활동하고 있다. ▩ 저서 및 역서 학교교육과 사회(역), 한서출판사, 1985. 평생교육론(역), 교육과학사, 1990. 교육과 선발(역), 양서원, 1992. 신교육학개론(저), 형설출판사, 1992. 성인교육방법론(저), 양서원, 1993. 열린사회의 평생교육(저), 양서원, 1997. 사회교육방법의 탐구(저), 양서원, 1999. 성인교육사회학(저), 양서원, 2002. 평생교육의 이해(저), 학지사, 2004. 텔리아고지(저), 교육과학사, 2009. (2010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선정) 명강의를 위한 40가지 이야기(저), 교육과학사, 2010. 평생교육론(저), 교육과학사, 2012. 예화로 푸는 공감교수법(저), 교육과학사, 2013. 평생학습자본의 인문학적 통찰(저), 교육과학사, 2015. (2015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선정) 平生斅學(저), 교육과학사, 2017. 문제해결을 위한 창의적 교수법(저), 교육과학사, 2018. 학습력사회의 평생교육(저), 교육과학사, 2020.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책머리에 
제1강 평생교육론의 등장 = 15
 1. 학교교육의 한계 = 17
  1) 학교교육제도의 문제 = 17
  2) 학교비판론의 등장 = 22
  3) 교육기회균등론의 등장 = 27
 2. 유네스코의 세계성인교육회의 = 29
  1) 유네스코의 탄생 = 29
  2) 세계성인교육회의 = 32
 3. 한국의 평생교육 도입 = 38
  1) 유네스코 한국위원회의 활동 = 38
  2) 법적ㆍ학문적 체계화 = 40
제2강 평생교육이란 장르 = 43
 1. 평생교육의 기초 = 45
  1) 이념으로서의 평생교육 = 45
  2) 평생교육 개념 정의 = 48
  3) 평생교육의 특성 = 50
 2. 평생교육관련 용어 = 58
  1) 평생학습 = 58
  2) 성인교육 = 62
  3) 계속교육 = 64
  4) 비형식교육 = 66
  5) 순환교육 = 68
  6) 앤드라고지ㆍ텔리아고지 = 70
  7) 학습조직 = 71
  8) 생애교육 = 72
  9) 지역사회교육 = 73
  10) 사회교육 = 74
  11) 학습사회 = 76
제3강 평생교육의 필요 및 목적 = 81
 1. 구조기능론과 평생교육의 목적 = 83
  1) 구조기능론의 관점 = 83
  2) 사회적응을 위한 평생교육 = 86
 2. 갈등론과 평생교육의 목적 = 95
  1) 갈등론의 관점 = 95
  2) 사회변혁을 위한 평생교육 = 98
제4강 평생교육의 내용 = 109
 1. 자유교양형 평생교육 = 111
  1) 문해교육 = 118
  2) 가족생활주기 교육 = 119
  3) 여가 및 취미생활 교육 = 121
  4) 소비자교육 = 123
  5) 지구시민교육 = 127
 2. 인적자원개발형의 평생교육 = 127
  1) 지식경제와 노동시장의 요구변화 = 127
  2) 직무능력 향상교육 = 131
 3. 의식함양을 통한 사회변혁형의 평생교육 = 136
  1) 프레이리의 의식화론 = 136
  2) 호톤의 하이랜더 민중학교 = 141
  3) 프레이리와 호톤의 공통점 = 145
  4) 버스승차거부 사건 = 147
  5) 한국의 의식화 교육 = 148
제5강 평생교육의 대상 = 153
 1. 평생학습자로서 인간 = 155
  1) 인생단계 구분 = 155
  2) 인생단계별 평생학습 과제 = 156
 2. 평생학습의 가능성 = 167
  1) 연령과 지적 능력 = 167
  2) 다중지능 = 171
 3. 평생학습 참여 = 175
  1) 평생학습 참여 = 175
  2) 참여동기 = 178
  3) 참여 장애요인 = 181
제6강 평생학습시설 = 185
 1. 학교형태의 평생교육시설 = 187
  1)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 = 187
  2) 학력 미인정 평생교육시설 = 190
 2. 사내대학형태의 평생교육시설 = 200
  1) 개관 = 200
  2) 평생교육 프로그램 현황 = 202
 3. 사업장부설 평생교육시설 = 203
  1) 개관 = 203
  2) 평생교육 프로그램 현황 = 204
 4. 시민사회단체부설 평생교육시설 = 205
  1) 개관 = 205
  2) 평생교육 프로그램 현황 = 209
 5. 학교부설 평생교육시설 = 210
  1) 학교부설 평생교육 = 211
  2) 대학부설 평생교육시설 = 212
 6. 언론기관부설 평생교육시설 = 216
  1) 개관 = 216
  2) 평생교육 프로그램 현황 = 217
 7. 지식ㆍ인력개발관련 평생교육시설 = 218
  1) 개관 = 218
  2) 평생교육 프로그램 현황 = 220
제7강 학위취득형 평생학습 = 223
 1. 전통형 고등교육 = 225
  1) 학생의 특성변화 = 225
  2) 경험학습의 인정 = 230
 2. 원격형 고등교육 = 231
  1) 한국방송통신대학교 = 231
  2) 원격대학 = 235
 3. 학점은행제에 의한 학위취득 = 23
  1) 개관 = 237
  2) 표준교육과정 및 학위수여 =  240
 4. 독학에 의한 학위취득 = 242
  1) 개관 = 242
  2) 학위취득 과정 = 244
제8강 평생교육사 양성체계 = 249
 1. 평생교육사 개관 =251
  1) 평생교육사 양성체계의 변화 = 251
  2) 평생교육사의 역할 및 업무 = 254
 2. 평생교육사 자격취득 = 257
  1) 평생교육사 등급 및 이수교육과목 = 257
  2) 평생교육실습 = 259
  3) 자격증 발급 = 263
 3. 평생교육사의 배치 및 연수 = 267
  1) 평생교육사의 배치 = 267
  2) 평생교육사 연수 = 270
제9강 평생교육법 = 273
 1. 법과 교육 = 275
  1) 법의 기초 = 275
  2) 헌법 = 277
  3) 교육관계법 = 280
 2. 평생교육법체제 구축 = 292
  1) 사회교육법 제정 = 292
  2) 평생교육법 제정 = 296
  3) 평생교육법 제정 취지 = 299
  4) 평생교육법 개정 = 300
  5) 평생교육법의 주요 내용 = 309
제10강 평생교육행정 = 321
 1. 평생교육행정의 기초 = 232
  1) 평생교육행정의 개념 및 원칙 = 323
  2) 평생교육행정의 성격 = 325
 2. 중앙의 평생교육행정체계 = 326
  1) 평생교육행정체계의 변천 = 326
  2) 평생교육행정의 조직 및 주요 업무 = 327
  3) 평생교육지원 조직 = 343
 3. 지방자치단체의 평생교육행정체계 = 345
  1) 평생교육행정 조직 = 345
  2) 평생교육지원 조직 = 353
제11강 평생학습문화 = 355
 1. 평생학습도시 = 357
  1) 평생학습도시 개관 = 357
  2) 국제교육도시 연합 = 361
 2. 해외의 평생학습도시 = 365
  1) 일본 = 365
  2) 영국 = 366
  3) 핀란드 = 370
  4) 호주 = 372
 3. 한국의 평생학습도시 = 376
  1) 평생학습도시 선정 = 376
  2) 평생학습도시 지원 사업 = 378
 4. 평생학습축제 = 385
  1) 목적 및 의의 = 385
  2) 축제 개최지 = 388
제12강 국제기구별 평생교육 전개동향 = 393
 1. 유네스코의 동향 = 395
  1) 제15차 총회 = 395
  2) 제16차 총회 = 396
  3) 포르 보고서 = 397
  4) 제3차 세계성인교육회의 = 399
  5) 제19차 총회 = 400
  6) 제4차 세계성인교육회의 = 401
  7) 21세기 세계교육위원회 = 402
  8) 제5차 세계성인교육회의 = 403
  9) 제6차 세계성인교육회의 = 405
 2. 경제개발협력기구의 동향 = 407
  1) 순환교육 = 408
  2) 신자유주의의 채택 = 410
  3) 인간자본론에 대한 관신 = 411
 3. 유럽연합의 동향 = 414
  1) 유럽 평생학습의 해 선포 = 415
  2) 쾰른현장 = 417
  3) 소크라테스 프로그램 = 418
  4) 리스본 전략 = 420
참고문헌 = 423
부록: 평생교육법 = 435
찾아보기 = 457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