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한국어와 일본어의 인지언어학적 대조 연구

한국어와 일본어의 인지언어학적 대조 연구 (19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조은숙
서명 / 저자사항
한국어와 일본어의 인지언어학적 대조 연구 / 조은숙 著
발행사항
서울 :   인문사,   2012  
형태사항
373 p. ; 23 cm
ISBN
9788997255320
일반주기
부록: 실험조사자료  
서지주기
참고문헌(p. 307-330)과 색인수록
000 00738camcc2200265 c 4500
001 000045692754
005 20120227161006
007 ta
008 120224s2012 ulk b 001c kor
020 ▼a 9788997255320 ▼g 93710
035 ▼a (KERIS)REQ000022197598
040 ▼a 211052 ▼c 211052 ▼d 211009
041 0 ▼a kor ▼a jpn
082 0 4 ▼a 415 ▼2 22
085 ▼a 415 ▼2 DDCK
090 ▼a 415 ▼b 2012
100 1 ▼a 조은숙 ▼0 AUTH(211009)135135
245 1 0 ▼a 한국어와 일본어의 인지언어학적 대조 연구 / ▼d 조은숙 著
260 ▼a 서울 : ▼b 인문사, ▼c 2012
300 ▼a 373 p. ; ▼c 23 cm
500 ▼a 부록: 실험조사자료
504 ▼a 참고문헌(p. 307-330)과 색인수록
546 ▼a 본문은 한국어, 일본어가 혼합수록됨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15 2012 등록번호 11165858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본 논문은 석사 때의 연구 테마를 확장시켜 한국어와 일본어의 표현구조를 대조 연구한 것이다. 유사하다고 하는 한국어와 일본어의 표현 중에서 서로 다른 표현구조를 갖는 것이 무엇이며, 그 연유가 무엇인지 밝히고자 하였다. 스승님 한분이 이런 말씀을 주셨다. 박사 학위 논문은 연구의 끝이 아니라 시작일 뿐이라고.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조은숙(지은이)

일본 와세다 대학교 졸업 한국외국어대학교 일어학 석사, 박사수료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어학 박사 전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어 강사 전 중앙대학교 국제교육원 한국어 강사 전 중앙대학교 해외파견 교수(중국 산동대학교) 2012년 현재 연세대학교 BK21 연구원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Ⅰ 서론 = 11
 1. 연구 목적과 의의 = 13
 2. 선행 연구 = 17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 23
  3.1. 연구 대상 = 23
  3.2. 연구 방법 = 28
Ⅱ 이론적 배경 = 35
  1. 인지언어학에서의 문법관 = 37
  2. 모습과 바탕의 분화 인지 능력 = 40
  3. 물체와 관계의 윤곽화 = 44
  4. 당구공 모형과 사태 단위 = 48
Ⅲ 한국어의 동사적 표현구조와 일본어의 명사적 표현구조 = 53
 1. 명사적 표현구조와 동사적 표현구조 = 55
 2. 인지언어학에서의 품사의 범주화 = 59
 3. 한국어 상태동사에 대한 일본어의 대응 = 64
  3.1. [N+A] 구문과 [A+N] 구문 = 64
  3.2. [A+N] 구문과 한국어의 종결어미 = 66
  3.3. 실험조사 분석 = 73
  3.4. 실험조사 결과 = 82
 4. 한국어 존재사에 대한 일본어의 대응 = 84
  4.1. 한국어의 존재사 = 85
  4.2. 일본어의 존재사 = 88
  4.3. 실험조사 분석 = 90
  4.4. 실험조사의 결과 = 100
 5. 한국어 동작동사에 대한 일본어의 대응 = 101
  5.1. 대응 양상의 분류 = 101
  5.2. '하다'와 'する' = 108
  5.3. 실험조사 분석 = 113
  5.4. 실험조사 결과 = 122
 6. 한국어의 동사적 관형절에 대한 일본어의 대응 = 124
  6.1. 대응 양상의 분류 = 124
  6.2. 한국어의 '의'와 일본어의「の」 = 128
  6.3. 실험조사 분석 = 139
  6.4. 실험조사 결과 = 146
Ⅳ 한국어의 능동구조와 일본어의 피동구조 = 149
 1. 격, 의미역, 문법기능의 상관 관계 = 151
  1.1. 문법기능 층위와 격 층위 = 152
  1.2. 격 층위와 의미역할 층위 = 160
  1.3. 의미역할 층위와 문법기능 층위 = 170
 2. 의미역할과 타동성 = 174
  2.1. 의미역할 설정과 정의 = 174
  2.2. 원형적 타동성과 비원형적 타동성 = 181
  2.3. 인지모형으로 보는 비원형적 타동성과 문법 관계 = 182
 3. 한국어 자동사 표현에 대한 대응 = 185
  3.1. 타동성으로 보는 자ㆍ타동사의 경계 = 185
  3.2. 실험조사 분석 = 190
  3.3. 실험조사 결과 = 206
 4. 한국어 타동사 표현에 대한 대응 = 208
  4.1. 타동사 실험조사 분석 = 211
  4.2. 타동사피동 실험조사 분석 = 223
  4.3. 실험조사 결과 = 244
 5. 한국어 사동 표현에 대한 대응 = 246
  5.1. 양국어의 사동의 특징 = 246
  5.2. 실험조사 분석 = 252
  5.3. 실험조사 결과 = 265
 6. 한국어 수여 표현에 대한 대응 = 267
  6.1. 양국어의 수여 표현의 특징 = 267
  6.2. 실험조사 분석 = 273
  6.3. 실험조사 결과 = 283
Ⅴ 결론 = 287
참고 문헌 = 305
부록 = 331
색인 = 3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