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 11
1. 연구 목적과 의의 = 13
2. 선행 연구 = 17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 23
3.1. 연구 대상 = 23
3.2. 연구 방법 = 28
Ⅱ 이론적 배경 = 35
1. 인지언어학에서의 문법관 = 37
2. 모습과 바탕의 분화 인지 능력 = 40
3. 물체와 관계의 윤곽화 = 44
4. 당구공 모형과 사태 단위 = 48
Ⅲ 한국어의 동사적 표현구조와 일본어의 명사적 표현구조 = 53
1. 명사적 표현구조와 동사적 표현구조 = 55
2. 인지언어학에서의 품사의 범주화 = 59
3. 한국어 상태동사에 대한 일본어의 대응 = 64
3.1. [N+A] 구문과 [A+N] 구문 = 64
3.2. [A+N] 구문과 한국어의 종결어미 = 66
3.3. 실험조사 분석 = 73
3.4. 실험조사 결과 = 82
4. 한국어 존재사에 대한 일본어의 대응 = 84
4.1. 한국어의 존재사 = 85
4.2. 일본어의 존재사 = 88
4.3. 실험조사 분석 = 90
4.4. 실험조사의 결과 = 100
5. 한국어 동작동사에 대한 일본어의 대응 = 101
5.1. 대응 양상의 분류 = 101
5.2. '하다'와 'する' = 108
5.3. 실험조사 분석 = 113
5.4. 실험조사 결과 = 122
6. 한국어의 동사적 관형절에 대한 일본어의 대응 = 124
6.1. 대응 양상의 분류 = 124
6.2. 한국어의 '의'와 일본어의「の」 = 128
6.3. 실험조사 분석 = 139
6.4. 실험조사 결과 = 146
Ⅳ 한국어의 능동구조와 일본어의 피동구조 = 149
1. 격, 의미역, 문법기능의 상관 관계 = 151
1.1. 문법기능 층위와 격 층위 = 152
1.2. 격 층위와 의미역할 층위 = 160
1.3. 의미역할 층위와 문법기능 층위 = 170
2. 의미역할과 타동성 = 174
2.1. 의미역할 설정과 정의 = 174
2.2. 원형적 타동성과 비원형적 타동성 = 181
2.3. 인지모형으로 보는 비원형적 타동성과 문법 관계 = 182
3. 한국어 자동사 표현에 대한 대응 = 185
3.1. 타동성으로 보는 자ㆍ타동사의 경계 = 185
3.2. 실험조사 분석 = 190
3.3. 실험조사 결과 = 206
4. 한국어 타동사 표현에 대한 대응 = 208
4.1. 타동사 실험조사 분석 = 211
4.2. 타동사피동 실험조사 분석 = 223
4.3. 실험조사 결과 = 244
5. 한국어 사동 표현에 대한 대응 = 246
5.1. 양국어의 사동의 특징 = 246
5.2. 실험조사 분석 = 252
5.3. 실험조사 결과 = 265
6. 한국어 수여 표현에 대한 대응 = 267
6.1. 양국어의 수여 표현의 특징 = 267
6.2. 실험조사 분석 = 273
6.3. 실험조사 결과 = 283
Ⅴ 결론 = 287
참고 문헌 = 305
부록 = 331
색인 = 3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