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휴먼 퍼포먼스와) 운동생리학 = 전정판

(휴먼 퍼포먼스와) 운동생리학 = 전정판 (Loan 101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정일규 윤진환, 저
Title Statement
(휴먼 퍼포먼스와) 운동생리학 = Human performance & exercise physiology / 정일규, 윤진환 저
판사항
전정판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대경북스,   2011   (2019 5쇄)  
Physical Medium
600 p. : 천연색삽화, 도표 ; 29 cm
ISBN
9788956763262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551-565)과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690976
005 20200326152445
007 ta
008 110530s2011 ulkad b 001c kor
020 ▼a 9788956763262 ▼g 93690
035 ▼a (KERIS)BIB000012340668
040 ▼a 243001 ▼c 243001 ▼d 243001 ▼d 244002 ▼d 211009
082 0 4 ▼a 612.044 ▼2 23
085 ▼a 612.044 ▼2 DDCK
090 ▼a 612.044 ▼b 2011z1
100 1 ▼a 정일규 ▼0 AUTH(211009)81292
245 2 0 ▼a (휴먼 퍼포먼스와) 운동생리학 = ▼x Human performance & exercise physiology / ▼d 정일규, ▼e 윤진환 저
246 3 1 ▼a Human performance and exercise physiology
250 ▼a 전정판
260 ▼a 서울 : ▼b 대경북스, ▼c 2011 ▼g (2019 5쇄)
300 ▼a 600 p. : ▼b 천연색삽화, 도표 ; ▼c 29 cm
504 ▼a 참고문헌(p. 551-565)과 색인수록
700 1 ▼a 윤진환, ▼e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612.044 2011z1 Accession No. 11166426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612.044 2011z1 Accession No. 11173240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612.044 2011z1 Accession No. 111826663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10-21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No. 4 Location Centennial Digital Library/Stacks(Preservation5)/ Call Number 612.044 2011z1 Accession No. 11171490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5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cience & Technology/ Call Number 612.044 2011z1 Accession No. 15129968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612.044 2011z1 Accession No. 11166426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612.044 2011z1 Accession No. 11173240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612.044 2011z1 Accession No. 111826663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10-21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Centennial Digital Library/Stacks(Preservation5)/ Call Number 612.044 2011z1 Accession No. 11171490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cience & Technology/ Call Number 612.044 2011z1 Accession No. 15129968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정일규(지은이)

고려대학교 대학원 이학박사 미국 Auburn University Visiting Professor. 미국 Texas Woman’s University Research Scholar 미국 Master Fitness Specialist(Cooper Institute, Dalllas, Tx) 대한스포츠의학회 이사, 한국통합의학회 이사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간행위원, 전문위원 대전시 대덕구보건소 자문위원 한국운동생리학회 학술이사 한국발육발달학회 부회장 한국운동영양학회 부회장 대한건강운동관리사 협회 부회장 한국사회체육학회 편집위원장 겸 부회장 국민생활체육회 자문위원회 부위원장 한국체육학회 부회장 한국사회체육학회 회장 및 명예회장 역임 한남대학교 생명나노과학대 스포츠과학과 교수 역임 현 한남대학교 명예교수 서울송도병원 면역진료팀 자문교수 저서 휴먼퍼포먼스와 운동생리학 휴먼퍼포먼스와 운동영양학 트레이너가 꼭 알아야 할 99가지 진실과 거짓 굿다이어터를 위한 지혜서 뇌섹트를 위한 고급지식 외 다수 국내외 논문 및 학술발표 One-year Aerobic Interval Training Improves Endothelial Dysfunction in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A Randomized Trial. Internal Medicine(advanced publication): doi: 10.2169/internalmedicine.0947-22. 2023. 01. 외 260여 편.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제1장 운동생리학 입문
 1. 운동생리학의 정의 = 22
 2. 운동생리학의 필요성 = 23
 3. 인체구조의 도식화 = 24
  1) 인체의 외환경 = 24
  2) 인체의 내환경 = 25
 4. 반응과 적응 = 27
 5. 항상성과 음성되먹이기기전 = 28
 6. 운동반응의 일반적 경로 = 31
  1) 신경성 경로 = 31
  2) 호르몬 경로 = 31
  3) 내인성 경로 = 32
제2장 생리학의 기초
 제1절 생리학의 화학적 기초
  1) 원소와 원자 = 36
  2) 원자의 구조 = 36
  3) 동위원소 = 37
  4) 원자 간 결합 = 38
  5) 분자와 화합물 = 41
  6) 산, 염기, 염 = 42
  7) 유기물과 무기물 = 43
  8) 유기물 = 44
 제2절 세포 = 51
  1. 인체의 구조적 단계 = 51
  2. 세포의 구조 = 53
  3. 세포막을 통한 물질이동 = 63
  4. 세포 내 대사과정과 효소 = 72
제3장 에너지대사
 1. 인체의 에너지 = 78
  1) 생물학적 주기 = 78
  2) ATP(아데노신삼인산) : 에너지의 현금 = 79
 2. ATP 생성체계 = 80
  1) 무산소성 과정 = 80
  2) 유산소과정 = 88
 3. 인체연료의 상호전환 = 107
제4장 에너지대사 적응과 운동 시 연료의 이용
 1. 인체 에너지대사의 특징과 적응 = 115
 2. 운동시 연료의 이용과 피로 = 122
  1) 운동수행시간에 따른 연료의 이용 = 123
  2) 탄수화물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130
 3. 운동시 탄수화물의 섭취 = 133
  1) 운동전 탄수화물의 섭취 = 133
  2) 장시간운동 중 탄수화물의 섭취 = 133
  3) 경기 후 근육글리코겐의 회복 = 134
  4) 탄수화물용액의 섭취방법 = 135
 4. 대사기능에 미치는 운동훈련의 효과 = 137
  1) 탄수화물 대사 기능의 개선 = 137
  2) 지질대사기능의 개선 = 140
제5장 운동과 근육계통
 1. 뼈대근육의 구조 = 151
  1) 근육섬유 = 151
  2) 근육미세섬유 = 153
 2. 근육수축기전 = 155
  1) 근육수축과정 = 156
  2) 교차결합주기 - 근육수축의 지속 = 157
  3) 근육이완과정 = 158
 3. 근육섬유의 종류 = 160
  1) 수축속도의 차이 = 162
  2) 대사적 특성의 차이 = 162
  3) 신경학적 특성의 차이 = 163
 4. 근섬유형태와 운동수행력 = 164
 5. 훈련과 근육섬유 분포 = 165
 6. 근육수축의 종류 = 166
  1) 등척성 수축 = 166
  2) 등장성 수축 = 166
  3) 등속성 수축 = 168
  4) 단축성 수축과 신장성 수축 = 170
 7. 근육수축과 근력의 발휘 = 173
 8. 근력의 결정요인 = 175
  1) 근육의 단면적 = 175
  2) 근육섬유의 종류 = 176
  3) 관절의 각도 = 178
  4) 근육의 길이 = 179
  5) 근력과 와인드업 = 179
  6) 근력과 워밍업 = 180
 9. 훈련과 근육계 적응 = 180
  1) 근육 단면적의 변화 = 180
  2) 모세혈관밀도의 증가 = 182
  3) 마이오글로빈 함량의 증가 = 183
  4) 미토콘드리아 수와 크기의 증가 = 183
  5) 결합조직의 변화 = 183
  6) 근량과 근력 증대로 인한 뼈밀도의 증가 = 184
제6장 운동과 신경계통
 1. 말초신경의 개요 = 194
 2. 신경세포의 구조와 기능 = 196
 3. 신경세포의 재생과 운동 = 198
 4. 세포막전압과 자극전달의 원리 = 202
  1) 안정막전압 = 202
  2) 활동전압 = 203
 5. 신경연접부 = 205
  1) 시냅스의 구조 = 205
  2) 시냅스전압 = 207
  3) 신경전달물질과 신경근육연접 = 207
 6. 근력의 신경성 조절 = 210
  1) 신경섬유로의 억제성·흥분성 자극 = 210
  2) 운동단위와 근력조절 = 212
  3) 근력의 말초성 조절자 = 213
 7. 자율신경계통과 운동 = 220
  1) 자율신경계의 구조와 기능 = 220
  2) 신경전달물질과 수용체 = 222
 8. 중추신경계와 운동 = 224
  1) 뇌의 구조와 기능 = 224
  2) 척수와 척수신경의 연결 = 230
  3) 중추신경계통과 운동의 학습 = 231
 9. 근력향상과 신경계통 트레이닝 = 233
제7장 운동과 순환계
 1. 심장의 구조와 기능 = 243
  1) 심장주기 = 244
  2) 심전도 = 247
  3) 심장혈관과 심장근육의 대사 = 248
 2. 심장의 조절기전 = 249
  1) 심박수의 조절 = 249
 3. 운동 시 심박수의 조절 = 251
  1) 운동 전 심박수의 상승 = 251
  2) 운동 시 심박수의 상승 = 252
  3) 운동 후 심박수 = 253
 4. 운동과 심박출량 = 254
  1) 심박출량 = 254
  2) 1회박출량 = 255
 5. 운동과 혈류변화 = 256
  1) 활동근육 혈류의 변화 = 256
  2) 내장영역의 혈류 = 259
  3) 피부혈류 = 259
  4) 심장의 혈류 = 260
  5) 지방조직의 혈류 = 261
  6) 뇌혈류 = 262
 6. 운동과 혈압 = 262
  1) 혈압과 혈류순환 = 262
  2) 운동 시 혈압변화 = 265
 7. 운동과 혈액 = 267
  1) 혈액의 일반적 구성과 기능 = 267
  2) 적혈구의 생산과 순환 = 268
  3) 백혈구의 종류와 기능 = 269
  4) 운동 시 혈액변화 = 271
  5) 혈액도핑 = 273
  6) 운동성빈혈 = 274
 8. 훈련과 순환계통 적응 = 276
  1) 심장의 형태적·기능적 변화 = 276
  2) 뼈대근육 모세혈관밀도의 증가 = 277
  3) 안정 시 및 운동 시 혈압의 변화 = 278
  4) 혈액성분에 미치는 영향 = 279
 9. 순환계의 개선과 최대산소섭취량 = 280
제8장 운동과 호흡계통
 1. 호흡기관의 구조와 기능 = 288
  1) 기도와 허파꽈리 = 288
  2) 가슴안과 가슴막공간 = 290
 2. 호흡역학 = 290
  1) 들숨(흡기)작용 = 290
  2) 날숨(호기)작용 = 291
 3. 안정 시 및 운동 시 환기작용 = 293
  1) 분당환기량 = 293
  2) 운동성 과호흡의 조절기전 = 295
  3) 환기량과 무산소성역치 = 297
  4) 폐용적과 폐용량 = 299
  5) 기능적 환기량 = 300
 4. 가스교환 = 302
  1) 가스교환과 분압 = 302
  2) 가스교환에 영향을 미치는 기타 요인 = 305
 5. 가스의 운반 = 305
  1) 산소의 운반 = 305
  2) 이산화탄소의 운반 = 308
 6. 환기능력과 기타 고려사항 = 311
  1) 세컨드윈드 = 311
  2) 수의적 과환기 = 311
  3) 흡연과 호흡기능 = 312
제9장 인체수행력의 지표와 평가
 1. 에너지대사량의 측정 = 318
  1) 산소소비량의 측정 = 320
  2) 들숨량(날숨량)의 측정 = 321
  3) 이산화탄소생성량 측정 = 322
 2. 호흡교환율 = 322
  1) 호흡교환율의 개념 = 322
  2) 호흡교환율 해석상의 주의점 = 324
 3. 운동 시 에너지소비 = 325
  1) 운동 중 각 연료의 기여도 = 326
  2) 운동이 대사율에 미치는 효과 = 327
  3) METs와 체중당 에너지소비량 = 328
  4) 운동 시 에너지소비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328
  5) 심박수를 이용한 에너지소비량 추정 = 330
  6) 걷기·달리기운동 시 에너지소비량의 측정 = 332
 4. 산소부채 : 운동 후 초과산소소비량 = 335
  1) 산소부채의 고전적 개념 = 335
  2) 산소부채량의 산출 = 335
  3) 산소부채의 원인 = 338
 5. 최대산소섭취량 검사와 유산소성 지구력 = 339
  1) 운동부하검사의 형태 = 339
  2) 최대산소섭취량의 부하법 = 340
  3) 최대산소섭취량과 유산소성 지구력 = 345
 6. 무산소성역치 = 348
  1) 혈중젖산수준과 유산소성 지구력 = 348
  2) 환기역치와 젖산역치 = 349
  3) 젖산축적개시점(OBLA) = 350
 7. 무산소성 파워와 무산소성 능력 = 352
  1) 무산소성 파워의 측정 = 352
  2) 무산소성 능력과 산소부채능력 = 354
 8. 최대하검사를 통한 최대유산소능력의 측정 = 357
  1) Fox의 최대하검사 = 357
  2) PW$$C_170$$ 검사 = 357
  3) YMCA 자전거 최대하검사 = 358
  4) Åstrand-Ryhming 검사 = 360
  5) 스텝검사를 통한 최대하운동검사 = 362
 9. 필드에서의 유산소능력검사 = 364
  1) 12분 달리기검사 = 364
  2) Rockport 1마일 검사 = 364
제10장 운동과 내분비계통
 1. 호르몬의 종류와 분비양식 = 370
 2. 호르몬의 작용기전 = 372
 3. 호르몬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375
  1) 호르몬 혈장농도 = 375
  2) 수용체의 작용 = 376
 4. 내분비샘과 호르몬 = 377
  1) 시상하부호르몬 = 377
  2) 뇌하수체호르몬 = 378
  3) 송과체호르몬 = 386
  4) 갑상샘호르몬 = 386
  5) 부신겉질호르몬 = 388
  6) 부신속질호르몬 = 393
  7) 이자호르몬 = 395
  8) 생식샘호르몬 = 399
제11장 콩팥과 산·염기평형
 1. 콩팥의 구조 = 408
 2. 콩팥의 기능 = 409
  1) 콩팥의 토리여과 = 411
  2) 세관, 집합관에서의 재흡수 = 412
  3) 콩팥과 호르몬 = 412
  4) 콩팥의 pH조절 = 413
 3. 운동과 콩팥의 반응 = 415
  1) 콩팥혈류랑 = 415
  2) 토리여과율(사구체여과울) = 415
  3) 소변생성량 = 416
  4) 소변 중 물질의 배출 = 416
 4. 운동과 산·염기 평형 = 418
  1) 산과 염기 = 419
  2) 수소이온의 생성 = 420
  3) 완충제 = 421
  4) pH의 호흡성 조절 = 422
  5) 염기예비량 = 423
제12장 체성분과 체지방
 1. 체성분의 측정 = 430
  1) 수중체중측정법 = 431
  2) 피부두겹집기법 = 433
  3) 체성분의 추정방정식 = 436
  4) 생체전기저항측정법 = 437
  5) 초음파측정방법 = 438
  6) 적외선반응법 = 439
  7) 전산단층조영술 = 439
  8) 핵자기영상공명법 = 440
  9) 이중에너지흡수계측법 = 440
  10) BOD POD법 = 441
 2. 비만 = 441
  1) 체지방률과 비만 = 442
  2) 비만의 종류 = 442
  3) 비만의 발달특성 = 444
  4) 비만의 원인 = 444
  5) 질병위험인자로서 비만 = 449
 3. 체중조절 시 고려사항 = 449
  1) 수분균형의 문제 = 450
  2) 기초대사율의 변화 = 451
  3) 섭취하는 영양소의 열효과 = 451
  4) 환경기온이 대사율에 미치는 영향 = 452
 4. 체중조절과 운동 = 452
  1) 운동과 식욕 = 452
  2) 운동과 식이제한에 따른 감량의 체성분 = 453
  3) 체중보다는 체력이 중요 = 455
 5. 운동과 국부지방 = 456
 6. 체중감량을 위한 적정운동강도 = 457
 7. 체중감량을 위한 운동계획의 수립 = 459
  1) 목표체중의 결정 = 459
  2) 체중감량의 적정속도 = 459
  3) 1일 추가 에너지소비량 = 459
 8. 체중감량을 위한 운동의 이점 = 461
  1) 체중감량의 효과가 식이제한 보다 지속적이다 = 461
  2) 제지방 및 근육의 위축을 초래하지 않고 근육량을 유지 또는 발달시킨다 = 461
  3) 운동을 통해 심혈관기능, 근력 및 근지구력 개선, 대사기능의 개선 등 생리기능의 개선효과를 거둘 수 있다 = 462
  4) 운동은 체중감량을 지속시키도록 하는 동기부여 면에서 식이제한보다 우월하다 = 463
  5) 정기적인 운동은 생활습관을 규칙적으로 만들고, 건강에 대한 전반적인 관심제고와 태도변화에 도움을 준다 = 463
제13장 운동과 환경조건
 1. 체온조절 = 470
 2. 열전도의 물리적 기전 = 471
  1) 복사 = 471
  2) 전도 = 471
  3) 대류 = 471
 3. 체온조절 기전 = 472
  4) 증발 = 472
 4. 열환경에서의 운동 = 474
  1) 열손실기전 = 474
  2) 열환경과 운동수행력 = 475
  3) 체액과 운동 = 477
  4) 열환경운동 시 수분섭취지침 = 481
  5) 운동과 열환경 조건 = 485
  6) 열순화 = 485
 5. 추운 환경에서의 운동 = 489
  1) 추위에 대한 생리적 반응 = 489
  2) 추운 환경에서의 운동시 고려사항 = 489
  3) 추위와 운동수행력 = 490
 6. 고지환경과 운동 = 491
  1) 고지환경과 산소공급 = 491
  2) 고지환경과 경기력 = 491
  3) 고지환경과 생리적 반응 = 492
  4) 고지적응 = 495
  5) 고지 트레이닝 = 497
  6) 고지대 저산소 훈련장비 = 498
 7. 수중에서의 운동 = 499
  1) 다이빙 깊이와 압력 = 499
  2) 잠수반사 = 499
  3) 심호흡다이빙 = 500
  4) 스쿠버다이빙 = 502
 8. 대기오염과 운동 = 505
  1) 일산화탄소 = 505
  2) 오존 = 506
  3) 이산화황 = 506
제14장 운동과 면역계통
 1. 림프계통 = 513
  1) 림프관 = 513
  2) 림프기관 = 513
  3) 편도 = 514
  4) 림프절 = 514
  5) 지라 = 515
  6) 가슴샘 = 515
 2. 면역계통 = 516
  1) 비특이적 저항 = 516
  2) 특이적 저항 = 521
  3) 면역반응 = 527
  4) 알러지반응 = 528
  5) 조직이식과 거부반응 = 529
 3. 운동과 면역 = 530
  1) 과립형 백혈구에 미치는 운동의 영향 = 531
  2) 무과립형 백혈구에 미치는 운동의 영향 = 532
  3) 면역글로불린(항체)에 미치는 운동의 영향 = 534
  4) 사이토카인에 미치는 운동의 영향 = 535
  5) 면역과 신경내분비 반응에 미치는 운동의 영향 = 536
 4. 암과 운동 = 539
  1) 운동의 암 억제기전에 대한 연구 = 539
  2) 암관련 피로의 원인 = 543
  3) 암치료 과정에서 운동처치 = 545
참고문헌 = 551
찾아보기 = 567
표 차례 = 585
그림 차례 = 587
Plus 차례 = 593
Zoom 차례 = 595
초판과 전정판에서 사용된 용어 비교 = 597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Adee, Sally (2023)
McConell, Glenn (2022)
Hansen, Anders (2022)
Talus (2023)
Siddhartha, Bikram Panday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