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3
PART Ⅰ 총론
CHAPTER 1 인간행동, 발달, 사회환경과 사회복지 = 13
1. 인간행동에 대한 이해와 관점 = 14
1) 인간행동의 개념 = 14
2) 인간 행동 이해의 관점 = 15
2. 인간발달에 대한 이해와 관점 = 16
1) 인간발달의 개념 = 16
2) 인간발달의 원리 = 17
3) 인간발달의 관점 = 20
4) 인간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개념 = 24
5) 발달과업(발달과제) = 25
6) 인간행동의 특성 = 27
7) 인간의 발달단계 = 27
3. 사회환경에 대한 이해와 관점 = 28
1) 사회환경의 개념 = 28
2) 사회환경 이해의 관점 = 30
4. 사회복지 실천에서의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31
1) 사회복지 실천과의 연관성 = 31
2) 인간행동과 사회환경의 이해 틀 = 32
PART Ⅱ 생애주기별 인간의 성장과 발달
CHAPTER 2 태내기, 영ㆍ유아기 = 37
1. 태내기(임신∼출산) = 37
1) 태아의 발달 = 37
2) 태내의 발달과정 = 38
3) 임산부가 태아에게 미치는 영향 = 39
4) 사회복지 실천과제 = 41
2. 영아기(출생∼2세) = 42
1) 신체와 감각기관의 발달 = 43
2) 인지적 발달 = 47
3) 심리ㆍ사회적 발달 = 51
4) 사회복지 실천과제 = 56
3. 유아기(3∼4세) = 58
1) 신체적 발달 = 59
2) 인지적 발달 = 61
3) 심리ㆍ사회적 발달 = 65
4) 사회복지 실천과제 = 69
CHAPTER 3 아동 전ㆍ후기 = 71
1. 아동 전기(5∼6세) = 71
1) 신체적 발달 = 72
2) 인지적 발달 = 73
3) 심리ㆍ사회적 발달 = 76
4) 사회복지 실천과제 = 80
2. 아동 후기/학령기(만 7∼12세) = 82
1) 신체적 발달 = 83
2) 인지적 발달 = 86
3) 심리ㆍ사회적 발달 = 89
4) 사회복지 실천과제 = 97
CHAPTER 4 청소년기 = 102
1. 청소년 전기(13∼18세) = 102
1) 신체적 발달 = 102
2) 인지적 발달 = 106
3) 심리ㆍ사회적 발달 = 108
4) 사회복지 실천과제 = 113
2. 청소년 후기(19∼24세) = 114
1) 신체적 발달 = 114
2) 인지적 발달 = 115
3) 심리ㆍ사회적 발달 = 116
4) 사회복지 실천과제 = 119
CHAPTER 5 성인기 = 121
1. 성인 초기(25∼39세) = 122
1) 개념 = 122
2) 발달적 특성 = 123
3) 사회복지 실천과제 = 132
2. 성인 중기(40∼60세) = 134
1) 개념 = 134
2) 발달적 특성 = 135
3) 사회복지 실천과제 = 144
CHAPTER 6 노년기 = 147
1. 노년 전기(61∼74세) = 148
1) 개념 = 148
2) 발달적 특성 = 149
3) 사회복지 실천과제 = 158
2. 노년 후기(75세∼) = 159
1) 개념 = 159
2) 발달적 특성 = 160
3) 사회복지 실천과제 = 167
PART Ⅲ 인간행동에 관한 이론
CHAPTER 7 정신분석 이론 = 171
1. 프로이드의 심리성적 발달이론 = 171
1) 기본 개념 = 172
2) 심리성적 발달단계 = 178
3) 사회복지 실천과의 연관성 = 183
2.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 = 184
1) 기본 개념 = 185
2) 심리사회적 발달단계 = 187
3) 사회복지 실천과의 연관성 = 193
3. 아들러의 개인심리이론 = 195
1) 기본 개념 = 195
2) 성격발달에 대한 관점 = 201
3) 사회복지 실천과의 연관성 = 202
4. 융의 분석심리이론 = 204
1) 기본 개념 = 204
2) 성격발달 단계론 = 207
3) 사회복지 실천과의 연관성 = 209
CHAPTER 8 인지행동 이론 = 211
1. 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 = 212
1) 기본 개념 = 213
2) 인지발달 단계 = 215
3) 사회복지 실천과의 연관성 = 223
2. 학습이론 = 225
1) 파블로프의 고전적 조건형성 = 225
2) 스키너의 조작적 조건형성 = 229
3) 반두라의 사회적 학습이론 = 236
CHAPTER 9 인본주의 이론 = 247
1. 매슬로우의 욕구계층 이론 = 248
1) 기본 개념 = 249
2) 자아실현 인간의 특성 = 252
3) 사회복지 실천과의 연관성 = 255
2. 로저스의 인간중심적 접근방법 = 256
1) 기본 개념 = 257
2) 현상학적 이론의 내용 = 260
3) 사회복지 실천과의 연관성 = 263
PART Ⅳ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체계에 따른 이해
CHAPTER 10 사회체계 이론 = 269
1. 기본 개념 = 269
2. 이론내용 = 271
3. 사회복지 실천과의 연관성 = 277
CHAPTER 11 생태학 이론 = 281
1. 브론펜브레너의 인간발달생태학 이론 = 282
1) 기본 개념 = 284
2) 인간발달에 대한 관점 = 295
3) 생태학 관련 연구 = 297
4) 사회복지 실천과의 연관성 = 301
CHAPTER 12 사회환경의 수준 : 가족과 집단 = 308
1. 가족 = 308
1) 가족의 정의 = 309
2) 가족의 기능 = 310
3) 가족의 유형 = 312
4) 사회의 변화와 새로운 가족의 형태 = 314
5) 체계로서 가족의 특성 = 315
2. 집단 = 319
1) 집단의 정의 = 320
2) 집단의 특징 = 321
3) 집단의 목적과 기능 = 322
4) 집단의 유형 = 322
5) 집단역동의 이해 = 326
6) 집단발달 단계 = 328
3. 가족ㆍ집단과 사회복지 실천의 연관성 = 330
CHAPTER 13 사회환경의 수준 : 조직과 지역사회 = 332
1. 조직 = 332
1) 조직의 정의 = 332
2) 조직의 주요개념 = 334
3) 조직의 유형 = 336
4) 조직이론 = 338
5) 조직에 대한 관점 = 340
6) 사회체계로서의 조직 = 341
2. 지역사회 = 342
1) 지역사회의 정의와 개념 = 343
2) 지역사회의 기능 = 344
3) 지역사회의 특성 = 346
4) 지역사회의 유형 = 347
5) 지역사회에 관한 이론적 관점 = 350
6) 지역사회 모델 = 352
3. 조직ㆍ지역사회와 사회복지 실천과의 연관성 = 353
CHAPTER 14 사회환경의 수준 : 문화 = 355
1. 문화 = 355
1) 정의와 개념 = 356
2) 문화와 관련된 개념 = 357
3) 문화의 특성 = 358
4) 문화의 유형 = 360
5) 문화의 기능 = 361
2. 한국문화의 특수성 = 363
3. 문화와 사회복지 실천 = 366
참고문헌 = 3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