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591namcc2200217 c 4500 | |
001 | 000045689644 | |
005 | 20120211203946 | |
007 | ta | |
008 | 120207s2011 ulkac b 000c kor | |
020 | ▼a 9788996685517 ▼g 1359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641.56743 ▼2 22 |
085 | ▼a 641.5674 ▼2 DDCK | |
090 | ▼a 641.5674 ▼b 2011z1 | |
100 | 0 | ▼a 일운 ▼0 AUTH(211009)138467 |
245 | 2 0 | ▼a (불영이 감춘) 스님의 비밀레시피 / ▼d 일운 글 |
260 | ▼a 서울 : ▼b 담앤북스, ▼c 2011 | |
300 | ▼a 267 p. : ▼b 천연색삽화, 초상화 ; ▼c 25 cm | |
504 | ▼a 참고문헌 수록 |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641.5674 2011z1 | Accession No. 11165618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천 년 역사를 가진 불영사에서 오랫동안 내려오던 스님들의 음식관.건강관.가치관을 담은 책이다. 건강요리법을 좀 더 쉽게 일반인에게 알리기 위하여 펴낸 책으로 요리법만이 담겨 있는 것이 아니다. 재료 하나하나의 특징과 건강 상식은 물론이고 불영사에서 실제 일어나는 재미있는 절집 이야기와 음식 이야기가 맛깔스럽게 담겨, 읽는 이들은 레시피만이 아니라 맛있는 이야기도 함께 읽게 된다.
또한, 불영사에서는 건강음식을 좀 더 친절하게 알리기 위하여 매년 가을에 사찰음식축제를 여는데 올해 10월, 제3회를 맞는다. 오신채를 사용하지 않은 108가지의 음식을 불영사를 찾는 사람들에게 무료로 제공하며 이에 맞춰 산사음악회도 펼친다. 한 술 밥에 눈이 즐겁고, 한 술 밥에 입이 즐겁고, 한 술 밥에 성품이 온화해지는 음식, 바로 불영사 사찰음식이다.
천축산 품에 들어 천 년 세월을 이어온 불영사에서
오랫동안 전해져 내려오는 스님들의 건강 식단을 공개합니다.
한 술 밥에 눈이 즐겁고, 한 술 밥에 입이 즐겁고,
한 술 밥에 성품이 온화해지는 음식.
건강에 좋고, 질병이 치료되고,
과격한 성격이 변화되어 인생관이 바뀌는 음식.
불영사 사찰음식!
혹시 경북 울진 불영사를 아시는지요? 지금이야 길이 좋아졌다지만 불영사계곡은 예부터 깊기로 유명한 골짝 아니던가요. 그곳 천축산 품에 들어 오랜 세월 수행해 온 비구니스님들의 처소 불영사에는 누대 이어져 내려오는 음식문화가 있습니다. 불가에서 금하는 오신채를 사용하지 않는 것은 물론이고 눈과 입이 즐겁고 건강과 성품을 살리는 음식이 그것인데, 이번에 불영사에서 별식일지, 채공일지, 공양주일지를 공개하여 사찰음식 책을 내었습니다. 바로 『불영이 감춘 스님의 비밀 레시피』입니다.
불영사는 옛 밥냄새를 간직한 사찰입니다. 아직 가마솥에 밥을 짓고 국을 끓이고, 채공간에서는 야채를 씻고 다듬고, 절 너른 텃밭에는 콩이며 감자며 고추며 배추며 옥수수와 토란을 직접 심어 거둡니다. 그렇게 가꾼 야채와 직접 담근 장(醬)과 양념으로 만드는 음식을 어디에 비하겠습니까.
훌륭한 음식이라는 것이 꼭 비싼 재료를 쓴 음식을 말하는 것은 아닐 것입니다. 사찰음식이 비록 입에 맛은 없지만 건강에 좋고, 몸에 맞는 자연음식으로 질병이 치료되고, 과격한 성격이 변화되어 인생관이 바뀌고, 욕심과 성냄과 어리석음이 변화하여 성품이 바뀐다면, 이야말로 훌륭한 음식이라 할 것입니다.
이에 천 년 역사를 가진 불영사에서 오랫동안 내려오던 스님들의 음식관ㆍ건강관ㆍ가치관을 담은 책 『불영이 감춘 스님의 비밀 레시피』를 펴내었는데, 건강요리법을 좀 더 쉽게 일반인에게 알리기 위하여 펴낸 이 책에는 요리법만이 담겨 있는 것이 아닙니다. 재료 하나하나의 특징과 건강 상식은 물론이고 불영사에서 실제 일어나는 재미있는 절집 이야기와 음식 이야기가 맛깔스럽게 담겨, 읽는 이들은 레시피만이 아니라 맛있는 이야기도 함께 읽게 됩니다.
또한 불영사에서는 건강음식을 좀 더 친절하게 알리기 위하여 매년 가을에 사찰음식축제를 여는데 올해 10월, 제3회를 맞습니다. 오신채를 사용하지 않은 108가지의 음식을 불영사를 찾는 사람들에게 무료로 제공하며 이에 맞춰 산사음악회를 펼칩니다. 한 술 밥에 눈이 즐겁고, 한 술 밥에 입이 즐겁고, 한 술 밥에 성품이 온화해지는 음식, 바로 불영사 사찰음식입니다. 올해 가을에는 꼭 한번 불영사를 들러 직접 맛보시기 바랍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일운(지은이)
일운 스님은 1969년 경북 청도 운문사로 출가한 뒤 대만 유학을 마치고 1991년 첩첩산중의 울진 불영사로 들어가 자연과 함께 살아가고 있다. 안거철이면 여러 스님들과 정진하고 산철에는 사찰음식대축제, 산사음악회, 울진군 청소년 백일장 등을 열며 지역사회와 호흡하고 있다. 2013년에는 심전문화복지회관을 열어 문화와 복지 사업에도 힘쓰고 있다. 2011년 만일결사회를 결성해 매일 아침 1만 5천여 명에게 마음 편지를 보내 소통하고 있다. 마음 편지는 일상에서 일어나는 크고 작은 일들에 마음 빼앗기는 것을 경책하며 ‘산은 늘 푸르고, 물은 늘 흐른다’는 법어를 담아내고 있다. 또 우리의 인생은 생각하는 대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항상 긍정적으로 살아갈 것을 당부하는 따스함이 깃들어있다. 산사에서 정진하면서 얻은 깨달음의 진언들은 우리가 어디로 가야 하는가를 친절하게 일러주고, 때로는 죽비가 되어 세상을 향해 꾸짖는 준엄함도 서려 있다. 만일결사회 회원들의 회비는 인도, 네팔, 태국, 미얀마, 캄보디아, 북한 등 제3세계 어린이 구호사업에 쓰인다. 누구나 명상하면서 쉴 수 있는 힐링공간인 <불영사 국제명상원 線善禪>의 건립을 추진중이며 국제명상원 완공 이후 ‘참마음 찾기 운동’을 실시할 예정이다. 나눔을 실천하는 일운 스님의 일상과 지혜를 조명한 KBS 스페셜 <돌고 돌아 봄-불영사에서 나누다>가 2017년 5월 5일 방영되었다. 지은 책으로는 불영사 사찰음식을 소개한 ≪불영이 감춘 스님의 비밀 레시피≫ ≪김치 나무에 핀 행복≫ ≪사찰음식이 좋다≫가 있고 수행 에세이 ≪일운 스님의 속삭임, 심심심≫ ≪산사에 홀로 앉아≫ 등이 있다.

Table of Contents
목차 책을 내면서 = 7 기본양념만들기 = 16 불영사의 봄 : 톡톡, 봄꽃 터지는 소리 = 22 밥류 먹버섯물을 이용한 천문동약밥 = 32 아홉 가지 잡곡 가마솥오곡밥 = 34 고려엉겅퀴 곤드레밥 = 35 속병을 없애는 무밥 = 36 긴장을 풀어주는 표고버섯밥 = 37 기억력을 증진시키는 콩나물밥 = 38 감기가 찾아오면 콩나물김치죽(갱죽) = 39 지혜의 대명사 시래기밥 = 40 된장 맛 그대로! 투박한 된장국밥 = 41 야채들의 모임 야채김밥 = 42 다섯 가지 맛 오미자유부초밥 = 43 편안하고 깔끔한 맛 야채김치볶음밥 = 44 만들기 쉬운 김치밥피자 = 45 불영사 백련잎으로 만든 연잎밥 = 46 면류 무즙과의 조화 메밀국수 = 48 고소하고 진한 맛! 콩국수 = 50 더위에 지쳤을 때 더없이 좋은 우무콩냉국 = 51 백련향 머금은 연잎칼국수 = 52 대사활동이 좋아지는 팥칼국수 = 53 향긋하고 구수한 송이칼국수 = 54 여름이 시원해지는 냉면 = 56 새콤달콤한 쫄면 = 58 스님을 웃게 만드는 소면국수 = 59 절에서 만난 영양피자 토마토소스감자피자 = 60 국ㆍ죽류 청정 울진을 대표하는 자연송이호박국 = 62 첩첩산중 천축산의 정기 능이국 = 63 울진 고포돌미역으로 끓인 가마솥미역국 = 64 들기름에 볶은 순두부김치찌개 = 65 사찰에서의 별미 야채짜장 = 66 세계보건기구가 인정한 치매 예방 야채카레 = 67 알칼리성 저칼로리식품 감자옹심이 = 68 된장 한 스푼이 추가된 매생이국 = 69 쌀뜨물을 이용한 박국 = 70 무와 콩나물이 어울리는 모자반국 = 71 속까지 시원한 표고버섯탕국 = 72 피로 개선에 좋은 녹두전찌개 = 73 겨울국의 별미 우거지감자들깨탕국 = 74 모든 죽의 기본 흰죽 = 75 새해를 맞이하며 먹는 팥죽 = 76 의지를 강하게 하는 수삼영양죽 = 77 M-100성분을 가진 흑임자죽 = 78 천연강장제 잣죽 = 79 껍질째 갈아 만드는 녹두죽 = 80 몸을 따뜻하게 하는 단호박들깨죽 = 81 불영사의 여름 : 아름다운 불영지의 맑은 연잎 흔들리다 = 84 겉절이ㆍ샐러드류 매실간장소스에 버무린 마샐러드 = 92 송이깨소스를 곁들인 양상추샐러드 = 93 사과소스에 버무린 야채샐러드 = 94 아일랜드소스와 양배추샐러드 = 95 키위소스와 양배추샐러드 = 96 레몬소스와 오이샐러드 = 97 복숭아간장소스와 토마토야채샐러드 = 98 매실간장소스를 이용한 수박깻잎샐러드 = 99 노란속배추와 어우러진 고구마샐러드 = 100 콩들의 합창 모듬콩샐러드 = 101 천연색소로 물들인 삼색연근지 = 102 달지 않고 시원해야 제맛! 자연송이배추겉절이 = 103 아삭하고 새콤한 미나리무생채 = 104 자꾸 먹으면 반한다 고수(새싹)겉절이 = 105 피부미용에 좋은 더덕오이무침 = 106 섬유질이 풍부한 물미역무침 = 107 간장 양념에 버무린 열무겉절이 = 108 특유의 감칠맛이 뛰어난 매생이무침 = 109 기운이 상승하는 콩나물겨자채 = 110 깔끔하고 정갈한 느타리강회 = 111 산삼에 버금가는 더덕겨자채 = 112 무침ㆍ볶음류 중금속을 해독하는 말린도토리묵볶음 = 114 식이섬유가 풍부한 곤약고추볶음 = 115 약용 가치가 뛰어난 능이버섯볶음 = 116 적체와 어혈을 풀어주는 목이버섯볶음 = 117 향기를 머금은 자연송이볶음 = 118 모양도 이름도 다양한 싸리버섯볶음 = 120 겨울철 영양 공급 묵나물 = 121 비타민의 보물창고 무청나물 = 122 집간장에 버무린 고구마잎나물 = 123 산채의 으뜸 두릅나물 = 124 왕삼이라 불리는 어수리나물 = 125 숙취 해소에 좋은 무나물 = 126 조청 양념으로 버무린 고추양념무침 = 127 상큼하고 깔끔한 노각(늙은오이)무침 ①② = 128 너무 익어버린 김치의 활용 열무김치볶음 = 130 조림ㆍ구이류 경상도 우엉잎조림 = 132 버릴 것이 없는 알감자조림 = 133 달고 부드러운 가을무조림 = 134 감칠맛 나는 표고버섯꽁지조림 = 135 담백하고 부드러운 감자조림 ①② = 136 채식단백질의 보고 두부조림 = 138 담백하고 고소한 튀긴두부조림 = 139 혈액순환에 좋은 더덕구이 = 140 100년 소나무의 향기 송이구이 = 141 배즙 양념장에 재운 생표고버섯구이 = 142 피를 잘 통하게 하는 표고버섯두부구이 = 143 불영사의 가을 : 골골마다 드는 아름다운 단풍 = 146 찜ㆍ탕류 한식의 세계화 야채떡볶이 = 152 오장이 편안한 야채호박찜 = 153 샤부샤부 야채옥수수탕 = 154 발효음식의 신비 묵은지통김치찜 = 155 부드럽고 담백한 호박선 = 156 down에서 up 매운떡볶이 = 157 추억이 담긴 누룽지탕수이 = 158 아이들도 좋아하는 표고버섯탕수이 = 159 부담 없이 즐기는 달콤한 당면찜 = 160 담백하고 시원한 두부버섯탕 = 162 속이 편안한 떡버섯탕 = 163 시원한 국물맛 유부주머니탕 = 164 잡채ㆍ별식류 최고의 웰빙음식 손두부 = 166 종합영양 섭취 모듬잡채 = 168 깔끔하고 매콤한 맛 고추잡채 = 169 삼근리 도토리묵ㆍ도토리떡 = 170 화합의 장 구절판 = 172 기분을 온화하게 하는 야채양장피 = 173 최고의 다이어트 식품 우무양념무침 = 174 겨자소스 모듬채쌈말이 = 175 부드러운 맛과 좋은 향 느타리깐풍기 = 176 여름에 먹는 깻잎만두 = 178 추운 겨울날의 별미 야채김치만두 = 179 고소한 별미 수수부꾸미 = 180 천연즙을 이용한 찹쌀부꾸미 = 182 전ㆍ튀김류 덩굴째 굴러온 늙은호박전 = 184 해독의 명약 녹두전 = 185 동삼에 비유되는 무전 = 186 소박하게 맛있는 배추전 = 187 야채와 어우러진 표고버섯전 = 188 독특한 향과 맛! 어수리전 = 189 달고 담백한 애호박전ㆍ감자전 = 190 기분좋은 향긋함 미나리전 = 192 배초향 방아장떡 = 193 고구마를 이용한 식빵롤튀김 = 194 땅 속의 사과 감자튀김 = 195 바삭해서 맛있는 통고추튀김 = 196 바삭하고 고소한 숙주춘권튀김 = 197 장기능 개선의 왕 고구마맛탕 = 198 가을햇살 머금은 감자부각 = 199 염화미소 연잎부각 = 200 봄이 오는 길목에서 생강나무잎부각 = 202 청정바다식품 김부각 = 203 불영사의 겨울 : 세상에서 가장 예쁜 꽃 피어나다 = 206 밑반찬류 미네랄효소가 풍부한 우엉조림 ①② = 214 요오드가 풍부한 김무침 = 215 면역력을 키워주는 복숭아장아찌 ①② = 216 변비 예방에 좋은 미역줄기장아찌 = 218 알칼리성 뿌리채소 야콘장아찌 = 219 입맛을 돋우는 콩잎지 ①② = 220 매운맛이 어우러진 새콤달콤 오이지 = 221 위궤양에 특효 가죽장아찌 ①② = 222 고추씨를 이용한 무짠지 = 224 졸깃하면서 부드러운 양송이간장 = 225 소화제로 좋은 능이지 = 226 비타민C가 풍부한 감장아찌 = 227 항암작용이 뛰어난 곰취장아찌 = 228 향을 즐기자 방아잎장아찌 = 229 몸 안을 소독해 주는 매실장아찌 ①② = 230 톡 쏘는 향 제피잎장아찌 = 232 해풍을 머금은 향 방풍잎장아찌 = 233 부드럽고 깊은 맛 찜된장 ①② = 234 개간밭에서 수확한 콩 콩장조림 ①② = 236 365일 상에 오르는 두부간장 = 237 위장에 좋은 산초간장 = 238 김치류 순박하고 부드러운 박김치ㆍ박물김치 = 240 시원한 보리쌀풀로 만든 콩잎물김치 = 242 천연소화제 겨울동치미 = 243 보리밥과 비빔국수에 어울리는 열무김치 = 244 시원하고 상큼한 열무물김치 = 245 머리를 맑게 하는 상추김치 = 246 깔끔하고 향긋한 송이오이소박이 = 247 아삭아삭 깍두기 = 248 이름도 재미있는 고들빼기김치 = 249 만인이 공감하는 배추김치 = 250 차ㆍ다식류 칼칼한 목에 모과차 = 252 몸을 따뜻하게 하는 쑥진액 = 253 간식과 함께하는 천연잼 쌀조청 = 254 달콤한 과일양갱 = 255 약이 되는 쑥버무리 = 256 600년 은행나무 은행잎차와 열매 = 257 노스님께 배우다 김자반 = 258 남기는 글 = 260 편집후기 = 2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