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장 조직의 인간과 환경 = 11
제1절 현대 사회와 조직 = 13
1. 조직의 의미 = 13
2. 현대 조직의 개념 = 14
3. 정부조직의 개념 = 17
제2절 조직이론의 전개 = 19
1. 고전적 조직이론 = 20
2. 신고전적 조직이론 = 35
3. 현대 조직이론 = 42
제3절 공공조직 내의 인간을 보는 관점 = 50
1. 조직 내 인간에 대한 기본적 시각 = 50
2. 인간에 대한 공공조직론적 시각 = 54
제4절 조직의 환경과 목표 = 61
1. 조직의 환경 = 61
2. 조직의 미션과 전략 = 74
3. 조직의 목표 = 81
4. 조직의 미래 환경과 리더십 = 89
제2장 조직의 구조화 = 91
제1절 조직설계 = 93
1. 조직설계의 의의 = 93
2. 조직설계의 두 가지 기본 축 = 95
3. 전통조직과 미래조직의 설계 = 98
제2절 계선조직과 참모조직 = 99
1. 계선조직과 참모조직의 의의 = 99
2. 현대 조직에서 참모의 역할과 기능 = 101
3. 참모조직의 종류 = 102
4. 계선조직과 참모조직의 관계 = 104
5. 계선조직과 참모조직의 갈등 해소 방안 = 105
제3절 집권조직과 분권조직 106
1. 집권조직과 분권조직의 의의 = 106
2. 집권화와 분권화의 장단점 = 107
3. 집권화와 분권화의 촉진 요인 = 108
4. 신중앙집권화 = 109
제4절 관료제조직과 애드호크라시 조직 = 110
1. 관료제조직의 구조적 특징 = 110
2. 애드호크라시 조직의 구조적 특징 = 129
제3장 조직의 동작화 = 151
제1절 조직의 권력과 권위 153
1. 조직에서 권력적 요소 = 153
2. 조직에서 권력 및 권위 = 155
3. 계층제와 권력 및 권위 = 156
4. 분업화와 권력 및 권위 = 157
5. 권력 및 권위의 확보 방법 = 157
제2절 조직의 리더십 = 158
1. 리더십이론의 성립과 배경 = 158
2. 리더와 리더십의 의의 = 158
3. 리더십의 기능과 역할 = 161
4. 리더십이론의 발전 = 161
5. 책임 있는 리더 = 167
제3절 조직의 의사결정 = 169
1. 개인모형 = 170
2. 집단모형 = 175
제4절 조직의 동기이론 = 179
1. 성장이론 = 180
2. 기대이론 = 191
제5절 조직의 문화 = 197
1. 조직문화의 개념 = 197
2. 조직문화와 효과성에 대한 접근 방법 = 199
3. 조직문화 접근법으로서 경쟁가치모형 = 200
4. 조직문화와 조직효과성 = 203
제4장 조직의 평가와 혁신 = 207
제1절 조직의 통제 시스템 = 209
제2절 조직평가와 가치 창조 = 212
1. 조직평가의 개념 = 212
2. 조직평가의 역할과 기능 = 214
3. 조직평가의 일반적 절차 = 215
4. 과정별 조직의 평가 = 217
5. 조직의 가치 창조를 위한 메타평가 = 220
제3절 조직의 성과평가 223
1. 조직 성과의 개념 = 223
2. 성과평가의 목적과 요건 = 225
3. 정부 성과평가제도 = 227
4. 공공기관 경영평가제도 = 230
제4절 조직의 변화관리와 평가 = 232
1. 변화의 의미 = 232
2. 변화관리에 대한 적응 = 233
3. 조직의 변화와 생명 주기 = 234
4. 변화관리의 평가 = 237
5. 조직의 혁신관리와 평가 = 240
제5절 조직의 진단 = 245
제6절 조직평가와 환류 = 247
제5장 정부조직의 진화 = 251
제1절 정부조직의 기초 개념 = 253
1. 정부조직의 의미 = 253
2. 독임제 행정기관 = 257
3. 합의제 행정기관 = 257
4. 행정기관 하부조직 = 259
제2절 큰 정부와 작은 정부 261
1. 큰 정부로의 진화 = 262
2. 작은 정부로의 진화 = 268
제3절 정부조직 진화의 방향 = 272
1. 정부조직의 상업화와 민영화 = 272
2. 준정부조직의 성장 = 276
3. 정부조직 진화의 형태 = 278
참고 문헌 = 296
찾아보기 = 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