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 3
제1장 머리말 = 11
제1절 문제제기 = 11
제2절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 12
제3절 연구의 목적 = 16
제4절 연구의 대상과 방법 = 17
제2장 관료제 권력과 측정모형 = 19
제1절 관료제 권력 = 19
1. 관료제 권력의 의의 = 19
2. 관료제 권력의 원천 = 25
3. 관료제 권력구조 = 40
4. 관료제 권력의 특성 = 42
제2절 선행 연구의 검토 = 44
제3절 측정모형의 재설계 = 53
1. 재설계 모형의 개요 = 53
2. 구성 개념: 자원, 자율성, 네트워크, 잉여력, 잠재력 = 56
3. 측정변수와 측정지표 = 61
제4절 관료제 권력지수 산출 방법 = 82
1. 지수의 개념과 구성 방법 = 82
2. 개별 측정지표의 표준화 = 85
3. 가중치 부여 및 권력지수의 도출 방법 = 86
제3장 정부부처 권력의 측정 결과 = 90
제1절 자원 = 90
1. 인적 자원 = 91
2. 물적 자원 = 101
3. 조직 자원 = 104
4. 법적 자원 = 106
제2절 자율성 = 111
1. 정치적 자율성 = 112
2. 재정적 자율성 = 120
3. 입법적 자율성 = 127
제3절 네트워크 = 132
1. 수직적 네트워크 = 132
2. 수평적 네트워크 = 140
제4절 잉여력 = 145
1. 외부 잉여력 = 146
2. 내부 잉여력 = 157
제5절 잠재력 = 164
1. 특별 권한(공소권, 수사권, 조사권 등)의 정도 = 165
2. 소관 법률의 총 쪽수 = 171
3. 등록 규제의 수 = 173
제6절 결과 요약 = 176
제4장 정부부처의 권력지수 산출 = 178
제1절 가중치 산정 = 178
1. AHP의 유용성과 가중치 산정 방법 = 178
2. AHP 조사설계 및 표본 = 183
3. AHP 조사 결과: 가중치 산출 = 184
제2절 정부부처의 권력지수 산출 = 194
1. 자원 지수 = 194
2. 자율성 지수 = 199
3. 네트워크 지수 = 204
4. 잉여력 지수 = 209
5. 잠재력 지수 = 213
6. 정부부처의 권력지수 = 215
제5장 관료제 권력구조 및 정책적 함의 = 217
제1절 이명박 정부의 관료제 권력구조 분석 = 217
제2절 관료제 권력구조의 정책적 함의 = 223
1. 권력 집중의 위험성 = 223
2. 기획재정부와 '모피아'의 전성 시대 = 227
3. 검찰청의 과도한 권력 = 239
4. 관료제 권력구조 거버넌스의 강화 필요성 = 242
5. 행정개혁의 보완 방향: 관료제 권력구조 거버넌스의 강화 = 247
제6장 맺음말 = 252
제1절 연구의 요약 = 252
제2절 정책적 제언 = 254
부록: AHP 전문가 조사 설문지 = 257
참고 문헌 = 266
찾아보기 = 2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