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새 행정학 6정판, 제6판

새 행정학 6정판, 제6판 (63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이종수, 저 윤영진, 저
서명 / 저자사항
새 행정학 / 이종수, 윤영진 외 공저
판사항
6정판, 제6판
발행사항
서울 :   대영문화사,   2012  
형태사항
641 p. : 도표 ; 25 cm
ISBN
9788976443809
서지주기
참고문헌(p. 611-623)과 색인수록
000 00667namcc2200253 c 4500
001 000045689454
005 20120210094112
007 ta
008 120206s2012 ulkd b 001c kor
020 ▼a 9788976443809 ▼g 9335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51 ▼2 22
085 ▼a 351 ▼2 DDCK
090 ▼a 351 ▼b 2012
245 0 0 ▼a 새 행정학 / ▼d 이종수, ▼e 윤영진 외 공저
246 3 0 ▼a 행정학
250 ▼a 6정판, 제6판
260 ▼a 서울 : ▼b 대영문화사, ▼c 2012
300 ▼a 641 p. : ▼b 도표 ; ▼c 25 cm
504 ▼a 참고문헌(p. 611-623)과 색인수록
700 1 ▼a 이종수, ▼e▼0 AUTH(211009)103776
700 1 ▼a 윤영진, ▼e▼0 AUTH(211009)22253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51 2012 등록번호 11165570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본서는 행정학을 처음 접하는 사람이 행정에 대한 이해를 쉽게 하도록 현상으로서의 행정을 체계적으로 소개한다. 행정의 개념, 구조, 기능, 담당자, 그리고 행정의 환경을 다루었으며, 행정학의 서론적인 내용으로서 행정학의 학문적 성격, 접근방법 등을 논하였다. 또한 행정철학, 행정윤리, 행정통제를 설명하고, 행정이론의 변천을 살펴보았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윤영진(지은이)

서울대학교 경제학과(경제학사)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행정학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행정학 박사) 미국 American University 풀브라이트 객원교수 한국지방재정학회 회장 한국사회서비스학회 회장 대구광역시 재정계획심의위원회 위원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회 위원 디지털 예산회계기획단 자문위원장 기획예산처 재정정책자문위원회 위원 행정자치부 지방자치단체회계기준심의위원회 위원 기획재정부 공공기관운영위원회 위원 함께하는 시민행동 공동대표 좋은예산센터 이사장(현) 계명대학교 교수(현) [주요 저서] 행정개혁실천론(공저, 법문사, 2008) 새행정학(공저, 대영문화사, 2008) 복지재정과 시민참여(공저, 나남, 2007) 행정이론(공저, 대영문화사, 2002)

이종수(지은이)

서울대학교에서 학사, 석사, 박사학위 취득 UC. Berkeley Research Associate 日本 中央大學校 政策文化硏究所 招聘硏究員 한국행정학회 회장 역임 서울행정학회 회장 역임 한국행정사연구회 회장 역임 한국정치학회 이사 행정고시, 사법고시, 외무고시 출제위원 한성대학교 행정학과 명예교수(현) [저서 및 역서] 정부는 공정한가(대영문화사, 2012) 새 행정윤리(대영문화사, 2012) 새 미래의 행정(대영문화사, 2010) 행정학사전(대영문화사, 2009, 개정판) 행정학 외래어사전(한성대학교출판부, 2009) 새행정학(대영문화사, 2012, 6정판) 새인사행정론(대영문화사, 2011, 개정6판) 정부혁신의 미래 비전(한국행정연구원, 2006) 정부혁신의 메커니즘과 전략(대영문화사, 2005) 일본의 행정개혁(도서출판 한울, 2002) 한국행정론(대영문화사, 1998) 지방자치 이렇게 해야 한다(한겨레신문사, 1995) 행정과 가치(법문사, 1988) 외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6정판 머리말 = 3
초판 머리말 = 5
제1편 행정이란 무엇인가?
 제1장 행정이란 무엇인가? = 21
  제1절 행정과 행정학 = 22
   1. 행정의 개념 = 22
   2. 행정과 경영 = 24
   3. 행정학을 왜 공부하는가? = 27
  제2절 정부와 행정 = 29
   1. 정부의 개념과 형태 = 29
   2. 정부관: 정부의 범위에 대한 견해 = 30
   3. 정부의 구조 = 35
   4. 정부의 역할과 기능 = 41
  제3절 행정의 담당자 = 47
   1. 공무원의 분류 = 47
   2. 공무원 정원의 증가 추이 = 50
 제2장 행정과 환경의 관계 = 54
  제1절 복합적인 행정의 환경 = 55
   1. 복잡하고 복합적인 사회 = 55
   2. 행정의 공간ㆍ조직적 그리고 사회권력 환경 = 56
   3. 행정의 사회문화적 환경 = 60
  제2절 행정과 정치 = 67
   1. 행정과 정치의 관계 = 68
   2. 행정부와 입법부 및 정당의 관계 = 71
   3. 우리나라 행정의 현실 정치적 맥락 = 75
  제3절 행정과 법 = 79
   1. 행정의 헌법적 기초 = 79
   2. 행정과 법의 관계 = 80
   3. 행정부와 사법부의 관계 = 81
   4. 행정부와 헌법재판소의 관계 = 82
  제4절 행정과 경제 = 84
   1. 행정과 경제의 관계 = 84
   2. 정부와 시장 및 네트워크의 관계 = 87
  제5절 행정과 시민사회 = 90
   1. 시민사회의 등장 배경과 특징 = 90
   2. 시민사회조직으로서 비정부조직 = 93
   3. 행정과 시민사회조직의 관계:비정부조직을 중심으로 = 94
 제3장 행정학의 발달 과정과 학문적 성격 = 96
  제1절 행정학의 기원과 발달 과정 = 97
   1. 독일 행정학의 기원과 발달 과정 = 97
   2. 프랑스 행정학의 형성과 발달 과정 = 99
   3. 영국 행정학의 형성과 발달 과정 = 100
   4. 미국 행정학의 형성과 발달 과정 = 102
   5. 한국 행정학의 전개 과정 = 116
  제2절 행정학의 학문적 성격 = 118
   1. 사회과학으로서 행정학 = 118
   2. 행정학의 전문직업적 성격 = 123
   3. 행정학의 기술성과 과학성 = 124
   4. 행정학의 보편성과 특수성 = 127
   5. 행정학의 가치판단과 가치중립성 = 129
 제4장 행정학의 주요 접근방법들 = 131
  제1절 전통적 행정학 접근 = 132
   1. 역사적 접근방법 = 132
   2. 법률적ㆍ제도론적 접근방법 = 132
   3. 생태론적 접근방법 = 134
   4. 행태론적 접근방법 = 134
   5. 후기행태주의 = 136
   6. 체제적 접근방법 = 137
  제2절 정부혁신을 위한 주요 접근 = 138
   1. 공공선택론 = 138
   2. 신제도론적 접근방법 = 140
   3. 신공공관리론 = 142
   4. 뉴 거버넌스론 = 145
  제3절 비판행정학의 접근 = 148
   1. 현상학적 접근방법 = 148
   2. 포스트모더니티이론 = 149
   3. 신공공서비스이론 = 150
  제4절 행정환경의 복합성에 따른 다양한 접근 = 152
   1. 딜레마이론 = 152
   2. 시차이론 = 152
   3. 사회적 자본 = 153
   4. 다문화주의 = 154
제2편 무엇을 위한 행정인가?
 제5장 행정이 추구하는 가치 = 159
  제1절 행정가치의 유형 = 160
   1. 행정가치의 분류 = 160
   2. 본질적 행정가치 = 161
   3. 수단적 행정가치 = 168
  제2절 행정가치의 구현 = 174
   1. 관료제를 통한 행정가치의 구현 = 174
   2. 행정가치의 갈등과 극복 = 175
 제6장 행정윤리와 행정통제 = 180
  제1절 윤리적 정부와 행정통제 그리고 행정책임 = 181
   1. 윤리적 정부와 신뢰 적자 = 181
   2. 행정통제와 책임 = 182
  제2절 행정윤리와 공무원 부패 그리고 윤리 확보 = 184
   1. 행정윤리의 의의 = 184
   2. 공무원 부패의 접근방법과 유형 = 187
   3. 부패 방지와 국가경쟁력 = 191
   4. 행정윤리의 확보 방안 = 192
  제3절 행정통제의 유형과 통제력 향상 방안 = 196
   1. 행정통제의 유형 구분 = 196
   2. 외부통제 = 197
   3. 내부통제 = 200
   4. 행정통제의 한계 = 202
   5. 행정통제력 향상 방안 = 203
제3편 행정의 이론과 실제
 제7장 정책 = 211
  제1절 정책의 의의와 유형 = 212
   1. 정책의 의의 = 212
   2. 정책의 유형 = 215
  제2절 정책환경과 정책과정 = 217
   1. 정치 체제와 정책환경의 의의 = 217
   2. 정책결정요인론 = 218
   3. 정책 과정의 참여자 = 219
  제3절 정책형성 = 225
   1. 정책형성의 의의 = 225
   2. 정책의제의 설정 = 226
   3. 합리적 정책결정 = 229
   4. 다양한 정책결정 방식:정책결정모형 = 235
  제4절 정책집행 = 240
   1. 정책집행의 의의 = 240
   2. 정책집행 연구의 전개 = 241
   3. 정책설계와 집행 수단 = 245
   4. 정책집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247
   5. 정책집행 실패와 정책학습 = 250
  제5절 정책분석평가 = 251
   1. 정책분석의 의의와 절차 = 251
   2. 정책평가의 의의와 유형 = 254
   3. 정책평가의 절차 = 256
   4. 정책평가의 논리와 방법 = 258
   5. 정책평가의 쟁점 = 261
   6. 정책평가의 한계와 과제 = 265
  제6절 우리나라의 정책평가제도 = 268
   1. 정부업무 성과관리 및 평가제도 = 268
   2. 정부업무평가 = 269
   3. 평가 결과의 환류 및 활용 = 273
 제8장 조직 = 277
  제1절 지식정보사회와 조직이론 = 278
   1. 조직학의 의의 = 278
   2. 고전적 조직이론 = 279
   3. 신고전적 조직이론 = 282
   4. 현대적 조직이론 = 286
   5. 지식정보사회와 조직이론 = 289
  제2절 조직구조론 = 296
   1. 조직구조의 기본 개념과 요소 = 296
   2. 조직구조의 기본 구성 = 298
   3. 조직구조의 모형들 = 304
   4. 조직구조의 상황 요인 = 311
   5. 정보화와 새로운 조직구조의 탐색 = 316
  제3절 조직행태론 = 320
   1. 개인차 = 320
   2. 동기부여 = 324
   3. 리더십 = 334
   4. 권력과 갈등관리 = 338
   5. 의사전달과 의사결정 = 344
  제4절 이명박 행정부의 정부조직 개편 = 353
   1. 기존 조직에 대한 비판 = 353
   2. 이명박 행정부의 조직개편 방향 = 355
 제9장 인사 = 360
  제1절 인사행정의 기초 = 361
   1. 인사행정의 개념과 과정 = 361
   2. 인사행정의 발달 = 362
   3. 인사행정을 담당하는 기관 = 370
  제2절 공직구조의 형성 = 374
   1. 공직구조 형성의 원칙 = 374
   2. 공직 분류의 체계 = 376
   3. 직위 분류의 방법 = 378
  제3절 임용 = 383
   1. 외부임용(신규채용) = 383
   2. 내부임용 = 388
  제4절 능력 발전 = 393
   1. 경력개발 = 393
   2. 교육훈련 = 394
   3. 공무원 평정제도 = 397
  제5절 동기부여 = 403
   1. 사기 = 403
   2. 보수 = 406
   3. 인적 자원의 활용과 생산성 향상의 수단 = 411
  제6절 공무원의 행동규범과 징계 = 416
   1. 공무원의 충성 = 416
   2. 공무원의 정치적 중립 = 418
   3. 공무원단체 = 419
   4. 신분 보장과 징계 = 423
 제10장 예산 = 428
  제1절 예산 이해의 기초 = 429
   1. 국가재정과 재무행정의 의의 = 429
   2. 예산의 개념과 성격 = 431
   3. 예산의 원칙 = 433
   4. 예산과 관련된 법 = 435
  제2절 예산의 종류와 분류 방법 = 438
   1. 정부 총지출을 구성하는 세 가지의 공공재원 = 438
   2. 다양한 형태의 예산 = 441
   3. 재정정책을 위한 예산제도 = 442
   4. 예산 내용의 분류 = 445
  제3절 예산결정이론 = 448
   1. 예산배분에 관한 전통적 접근 = 448
   2. 예산결정과 공공선택론 = 451
   3. 전략적인 계획과 예산의 연계 접근 = 452
  제4절 예산과정 = 453
   1. 예산의 편성 = 454
   2. 예산의 심의 = 456
   3. 예산의 집행 = 458
   4. 결산 = 461
   5. 예산 과정과 회계의 연계 = 462
  제5절 예산 및 회계제도의 개혁 = 464
   1. 예산개혁의 정향 = 464
   2. 프로그램 예산과 정부회계 개혁 = 467
   3. 전통적인 예산제도 개혁 = 471
   4. 결과 지향적 예산개혁:성과주의예산의 부활 = 477
  제6절 재정혁신과 시민 참여 = 480
   1. 국가 예산관리를 위한 4대 혁신 = 480
   2. 중앙예산부서의 사업예산관리 혁신 = 484
   3. 시민들의 예산 참여 = 488
 제11장 전자정부와 지식관리 = 492
  제1절 지식관리 행정 = 493
   1. 지식 패러다임의 등장 = 493
   2. 지식행정의 개념과 성격 = 494
   3. 지식관리와 지식정책 = 495
  제2절 전자정부 = 497
   1. 전자정부의 개념과 유형 = 497
   2. 전자정부의 목표 = 498
   3. 전자정부의 발전 단계 = 500
  제3절 정보행정과 정보행정 시스템 = 501
   1. 정보행정의 담당조직과 인력 = 501
   2. 정보화정책의 범위와 추진 과정 = 502
   3. 전자정부의 정보자원 관리 = 505
   4. 행정 업무의 전자적 처리 = 509
   5. 전자 거버넌스와 전자 민주주의 = 511
   6. 고객관계관리와 정보행정 서비스 = 512
 제12장 지방자치 = 516
  제1절 지방자치의 본질 = 517
   1. 지방자치의 개념 = 517
   2. 지방행정과 지방정부 = 517
   3. 지방자치의 대상과 주요 쟁점 = 519
  제2절 중앙-지방정부 간 관계 = 519
   1. 중앙-지방관계론 = 519
   2. 지방자치단체의 자치권 = 520
   3. 특별지방행정기관 = 523
  제3절 지방자치단체와 지역 주민 = 525
   1. 지방자치단체의 기관구성 = 525
   2. 주민의 참여와 통제 = 528
   3. 자치계층과 행정계층 = 530
  제4절 지방자치단체의 재정 = 534
   1. 지방자치단체의 세입구조 = 534
   2. 지방재정 확충의 기본 쟁점 = 535
   3. 포괄보조를 통한 새로운 정부간 재정 관계 = 538
  제5절 지방자치단체의 자치 역량 강화 = 541
   1. 자치 역량의 의의 = 541
   2. 자치단체의 업무 수행 능력 강화 = 542
   3. 자치단체 간의 협력 강화 = 545
 제13장 공공서비스 = 550
  제1절 공공서비스의 의의와 유형 = 551
   1. 공공서비스의 의의 = 551
   2. 공공서비스 공급의 가치 지향 변화 = 552
   3. 공공서비스의 유형 = 554
  제2절 공공서비스의 공급 방식 = 557
   1. 공공서비스 공급 방식의 유형 = 557
   2. 공공서비스 공급과 민간위탁 = 559
   3. 사회서비스 전달에서의 공급자 방식과 수요자 중심 방식 = 566
  제3절 공공서비스 공급의 혁신 = 569
   1. 일반행정 체제의 혁신 = 569
   2. 책임경영 체제의 강화 = 571
   3. 공동생산 = 573
   4. 사회서비스 전달 혁신으로서 전자 바우처 = 574
  제4절 공공서비스의 성과평가 = 575
   1. 공공서비스 성과의 성격과 체계 = 575
   2. 결과 지향적 구체적 성과평가로 전환 = 576
   3. 성과평가의 제도화 = 577
 제14장 정부혁신과 한국 행정의 과제 = 580
  제1절 정부혁신의 의의와 접근 = 581
   1. 정부혁신의 의의 = 581
   2. 정부혁신을 접근하는 세 가지 이론 = 584
  제2절 행정이론 흐름과 정부 역할의 변화 = 587
   1. 행정이론의 흐름과 지배적 가치의 변화 = 588
   2. 정부 역할의 변화 = 591
  제3절 정부혁신의 비교분석 = 595
   1. 선진 각국의 정부혁신 = 595
   2. 우리나라의 정권별 정부혁신 = 598
  제4절 한국 행정의 과제로서의 정부혁신 = 605
   1. 정부의 범위와 역량: 시장과 정부 = 606
   2. 국가권력의 재배분: 집권과 분권 = 607
   3. 행정의 주체와 객체: 시민과 고객 = 608
   4. 책임 있는 정부 운영: 자율과 책임 = 609
참고 문헌 = 611
찾아보기 = 625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