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지방자치의 회의진행과 의회관련 규정연구

지방자치의 회의진행과 의회관련 규정연구 (1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권효섭, 감수
서명 / 저자사항
지방자치의 회의진행과 의회관련 규정연구 / 권효섭 감수
발행사항
서울 :   법문북스,   2012  
형태사항
410 p. ; 23 cm
ISBN
9788975352249
일반주기
권말에 관련 법령(헌법, 지방자치법, 지방자치법 시행령 외) 수록  
000 00716namcc2200229 c 4500
001 000045689431
005 20120208203044
007 ta
008 120206s2012 ulk 000c kor
020 ▼a 9788975352249 ▼g 9336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52.14 ▼2 22
085 ▼a 352.14 ▼2 DDCK
090 ▼a 352.14 ▼b 2012
245 0 0 ▼a 지방자치의 회의진행과 의회관련 규정연구 / ▼d 권효섭 감수
246 1 4 ▼a 개정된 지자제 관련 법규에 의한 지방자치의 회의진행과 의회관련 규정연구
260 ▼a 서울 : ▼b 법문북스, ▼c 2012
300 ▼a 410 p. ; ▼c 23 cm
500 ▼a 권말에 관련 법령(헌법, 지방자치법, 지방자치법 시행령 외) 수록
700 1 ▼a 권효섭, ▼e 감수 ▼0 AUTH(211009)82290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52.14 2012 등록번호 11165573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목차

목차 
序論 
제1장 議事法(會議法)의 原則 
 의사법(회의법)에 대하여 
 의사법(회의 규칙)의 원칙 
  1. 회의 공개(會議公開)의 원칙 = 19
  2. 정족수(定足數)의 원칙 = 20
  3. 일의제(一議題)의 원칙 = 21
  4. 발언 자유(發言自由)의 원칙 = 21
  5. 폭력(暴力)의 부정(否定) = 22
  6. 의원 평등(議員平等)의 원칙 = 22
  7. 과반수(過半數ㆍ또는 多數決)의 원칙 = 23
  8. 소수 의견(小數議見)의 존중(尊重) = 24
  9. 일사 부재의(一事不再議)의 원칙 = 24
  10. 회기 불계속(會期不繼續)의 원칙 = 24
제2장 團體와 會議 
 새로이 단체를 만드는 경우의 회의 
  1. 발기인회(發起人會) = 28
  2. 결성대회(結成大會) = 29
 회칙(會則)과 세칙(細則) 
  1. 회칙(會則)[정관(定款)] = 31
  2. 세칙(細則)[부칙(附則)] = 32
  3. 회칙과 세칙의 개정(改正) = 33
 임원(任員ㆍ役員)과 회원(會員) 
  1. 임원(역원)의 종류와 그 임무(任務) = 34
  2. 임원(역원)의 선거(選擧) = 37
  3. 회원(會員) = 40
  4. 대의원(代議員) = 41
 회의의 종류(種類) 
  1. 회의의 규모(規模) = 42
  2. 회의의 종류 = 43
제3장 委員會 
 위원회(委員會)란 무엇인가 
  1. 위원회의 필요성(必要性) = 45
  2. 위원회 설치의 목적(目的) = 45
  3. 총회와의 관계 = 46
 위원회 회부(委員會廻付) 
 위원(委員)의 선출(選出)과 권한(權限)  
  1. 위원(委員)의 선출(選出) = 48
  2. 위원회(委員會)의 권한(權限) = 48
 위원회의 종류(種類) 
  1. 상임 위원회(常任委員會) = 49
  2. 특별 위원회(特別委員會) = 51
  3. 분과회(分科會)와 소위원회(小委員會) = 51
  4. 기타(其他)의 위원회 = 52
 위원회의 보고(報告) 
  1. 보고서(報告書)에 대하여 = 54
  2. 보고서의 심의(審議) = 54
  3. 소수 의견(少數意見)의 보고 = 55
  4. 보고서의 재회부(再廻付ㆍ再付託) = 55
제4장 議會式會議의 一般的形式 
 소집(召集)과 의사 일정(議事日程) 
  1. 소집(召集) = 57
  2. 의사 일정(議事日程) = 58
 회의의 진행 순서(進行順序) 
  1. 정족수 확인(定足數確認)과 개회 선언(開會宣言) = 59
  2. 회의록(의사록) 통과(會議錄通過) = 60
  3. 특별 일정(特別日程) = 62
  4. 의장(회장)의 통고(通告) = 62
  5. 서기ㆍ회계의 보고(報告) = 62
  6. 위원회의 보고(委員會報告) = 63
  7. 지난번 회의에서 심의 미료(審議未了)된 의사(議事) = 64 
  8. 새로운 의사(議事) = 64 
  9. 폐회(閉會) [또는 散會] = 70
 표결(表決)에 관하여 
  1. 표결(체결)이란 무엇인가 = 71
  2. 표결 방법(表決方法) = 71
  3. 표결 때의 주의점(注意點) = 74
  4. 투표(投票)의 계산 방법(計算方法) = 75
  5. 표결 결정수(表決決定數) = 76
 회의록(의사록) 쓰는법 
  1. 기록할 사항(事項) = 78
  2. 기입상(記入上)의 주의점(注意點) = 78
제5장 議長ㆍ會議員이 알아야 할 사항 
 의장이 알아야 할 사항 
  1. 의장의 임무와 필요한 능력 = 80
  2. 의장의 권한(權限)과 주의 사항(注意事項) = 80
 회의원이 알아야 할 사항 
  1. 회의원으로서의 자격(資格) = 85
  2. 발언(發言)의 요령(要領) = 86
제6장 動議 
 동의(動議)란 무엇인가 
 동의의 형식(形式) 
  1. 동의의 분류(分類)와 순위(順位) = 91
   (1) 분류(分類) = 91
   (2) 제출 순위(提出順位) = 93
 2. 여러 가지 동의에 대한 해설(解說) = 95
   (1) 원동의(原動議) [또는 주동의(主動議)ㆍ원안(原案)] = 96
   (2) 보조 동의(補助動議) = 97
   (3) 임시 동의(臨時動議) [또는 부대 동의(附帶動議)] = 108
   (4) 우선 동의(優先動議) [또는 특권 동의(特權動議)] = 120
   (5) 잡동의(雜動議) = 128

관련분야 신착자료

정창수 (2022)
김대현 (2022)
조대엽 (2022)
한국. 인사혁신처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