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문 = 11
제1장 나르시시즘, 지독한 자기사랑? = 17
하인즈 코헛: "Mr. Psychoanalysis"
자기심리학
나르시서스의 신화
자기애의 현상
나르시시즘에 대한 프로이트의 정신역동적 관점
코헛의 나르시시즘
제2장 내 안의 나, 자기 = 34
셀프
정신분석학에서의 자기개념
주체적 경험으로서의 자기
자기의 핵: 이중축의 자기
내 안의 나: 자기의 구조
제3장 자기의 자기대상 = 49
자기와 대상
자기대상
유아가 자기의 일부분으로 경험하는 엄마(대상)
거울 자기대상
이상화 자기대상
쌍둥이 자기대상
평생 필요로 하는 자기의 자기대상
제4장 자기의 구축 = 69
응집적 자기로의 발달
공감적 반응과 최적의 좌절
변형적 내면화
보상구조
제5장 자기의 결핍: 자기애성 성격장애 = 85
자기구조의 발달결핍으로 인한 자기의 결함
자기의 병리
자기애성 성격장애
DSM의 진단적 이해
유형적 이해
코헛의 자기애성 성격장애
결함이 있는 비극적 자기의 돌봄
제6장 수치심 = 112
자기 의식적 감정
자기대상에 대한 굶주림
자기 결함의 결과
수치심의 방어적 현상들
수치심의 돌봄
제7장 자기애적 격노 = 133
참을 수 없는, 풀리지 않는 화
상처받은 자기의 격노
자기애적 격노의 표현
자해 그리고 자살
격노의 공격성으로부터 성숙한 자기애로의 변형을 위하여
제8장 중독: 자기애성 행동장애 = 152
중독의 현상
진단적 이해
자기애성 장애로서의 중독
자기 결함의 또 다른 표현
중독적 행동 안에서의 자기 결함
중독의 치유와 돌봄
제9장 섭식장애 = 177
섭식장애의 이해
거식증(신경성 식욕부진증)
폭식증(신경성 대식증)
달리 분류되지 않는 섭식장애
정신 역동적 이해
자기의 장애로서의 섭식장애
자기의 결핍
여성의 자기 결핍
섭식장애의 치료와 돌봄
제10장 자기의 치료: 공감 = 217
그저 들어주기만 하여도
대리적 내성
이해
설명과 해석
심리적 산소
제11장 자기의 회복: 자기애적 전이 = 237
누군가 나의 결함을 대신 메워 주기를
전이와 역전이
자기애적 전이/자기대상 전이
자기애적 역전이/자기대상 역전이
보상구조를 통한 회복과 치유
제12장 자기사랑을 위하여: 건강한 나르시시즘 = 253
성숙한 자기애
성숙한 자기대상 경험
건강한 자기사랑의 돌봄을 향하여
현대 자기심리학의 조망
참고문헌 = 2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