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지능형 서비스로봇 산업의 현황분석과 전망 : 韓ㆍ日 서비스로봇산업 비교 분석

지능형 서비스로봇 산업의 현황분석과 전망 : 韓ㆍ日 서비스로봇산업 비교 분석 (2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단체저자명
데이코산업연구소
서명 / 저자사항
지능형 서비스로봇 산업의 현황분석과 전망 : 韓ㆍ日 서비스로봇산업 비교 분석 / 데이코산업연구소 [편]
발행사항
서울 :   데이코산업연구소,   2008  
형태사항
xiv, 276 p. : 삽화 ; 30 cm
ISBN
9788993294002
000 00653camcc2200205 c 4500
001 000045688423
005 20120201145919
007 ta
008 080902s2008 ulka 000c kor
020 ▼a 9788993294002 ▼g 93060
035 ▼a (KERIS)BIB000011389280
040 ▼a 243009 ▼c 243009 ▼d 211009
082 0 4 ▼a 338.47629892 ▼2 22
085 ▼a 338.47629892 ▼2 DDCK
090 ▼a 338.47629892 ▼b 2008
110 1 ▼a 데이코산업연구소
245 1 0 ▼a 지능형 서비스로봇 산업의 현황분석과 전망 : ▼b 韓ㆍ日 서비스로봇산업 비교 분석 / ▼d 데이코산업연구소 [편]
260 ▼a 서울 : ▼b 데이코산업연구소, ▼c 2008
300 ▼a xiv, 276 p. : ▼b 삽화 ; ▼c 30 cm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의학도서관/보존서고4/ 청구기호 338.47629892 2008 등록번호 131042522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10-27 예약 예약가능 R 서비스 M

컨텐츠정보

책소개

국내 로봇산업의 시장동향과 관련업체들의 마케팅전략, 제품동향, 기술동향, 특허동향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세계 로봇시장의 28%의 점유율을 나타내며, 세계 1위의 기술강국으로 평가받는 일본 로봇산업을 면밀히 조사, 분석하여 국내 로봇산업의 종사자 및 관계자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이해를 돕는다.

로봇산업은 성장잠재력이 매우 큰 유망산업이다. 산업자원부는 2020년 세계 로봇시장의 규모를 약 1조4천억달러로 추정하고 있으며 이에 로봇산업을 ‘10대 차세대 성장동력 산업’의 한붕야로 선정하고 다양한 관련 정책을 추진중에 있다. 로봇산업은 기계, 제어, 전기/전자 등이 융합된 기술의 종합산업이라 할 수 있으며, IT(정보통신), BT(생명공학), NT(초정밀원자세계) 등 첨단산업의 핵심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기반산업이기고 하다.
로봇산업은 크게 산업용 로봇과 서비스 로봇으로 구분되며 국내 산업용로봇 생산규모는 약 63조원 정도로 추산되고 있으며 이에 비하여 서비스용로봇의 생산규모는 약 4조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산업용로봇 분야는 현대중공업, 두산인프라코아, 삼성전자, 두산메카텍 등 대기업이 시장을 리드하면서 최근 업체들의 사업다각화를 통하여 정기간의 침체기를 다소 벗어나고 있는 실정이며, 이에 반하여 서비스 로봇은 대부분 벤처기업을 중심으로 개발 및 생산이 이뤄지고 있어 사업 규모가 영세할 뿐만아니라 기술 및 투자 여력도 부족한 현실이며 겨우 청소로봇 부분만 작은 시장을 형성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책은 국내 로봇산업의 시장동향과 관련업체들의 마케팅전략, 제품동향, 기술동향, 특허동향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또한 세계 로봇시장의 28%의 점유율을 나타내며, 세계 1위의 기술강국으로 평가받고 있는 일본 로봇산업을 면밀히 조사, 분석하여 국내 로봇산업의 종사자 및 관계자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이해를 돕고자 한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데이코산업연구소(지은이)

국내외 산업 정보를 조사, 분석하여 유망 분야를 발굴하고 관련 기업에 서비스하는 산업 정보 전문 출판 서비스 기업이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Ⅰ. 로봇산업의 개요 = 1
 1. 로봇의 개념 = 3
 2. 로봇의 분류 = 4
 3. 로봇산업의 발전과정 = 5
Ⅱ. 국내 로봇산업의 시장 및 정책동향 = 7
 1. 국내 로봇산업의 업체동향 = 9
  1) 분야별 로봇 업체 현황 = 9
  2) 로봇업체 현황 = 10
   (1) 기업 형태별 = 10
   (2) 매출액 규모별 = 10
   (3) 설립연도별 = 11
   (4) 자본금 규모별 = 12
   (5) 인력 현황 = 13
  3) 연구개발 현황 = 15
   (1) 전체 로봇 관련업체의 연구개발 현황 = 15
   (2) 분야별 로봇업체의 연구개발 현황 = 17
  4) 설비투자 및 제원 조달 현황 = 22
   (1) 전체 로봇산업의 설비투자 및 제원 조달 현황 = 22
   (2) 제조업용 로봇의 설비투자 및 제원 조달 현황 = 24
   (3) 전문서비스용 로봇의 설비투자 및 제원 조달 현황 = 26
   (4) 개인서비스용 로봇의 설비투자 및 제원 조달 현황 = 28
   (5) 네트워크 로봇의 설비투자 및 제원 조달 현황 = 30
   (6) 로봇 부품 및 부분품의 설비투자 및 제원 조달 현황 = 32
 2. 국내 로봇산업 시장동향 = 35
  1) 생산동향 = 35
   (1) 국내 로봇산업 생산 = 35
   (2) 제조업용 로봇산업 생산 = 36
   (3) 전문서비스용 로봇산업 생산 = 37
   (4) 개인서비스용 로봇산업 생산 = 38
   (5) 네트워크 로봇산업 생산 = 40
   (6) 로봇 부품 및 부분품 생산 = 40
  2) 출하동향 = 42
   (1) 국내 로봇산업 출하 = 42
   (2) 제조업용 로봇산업 출하 = 44
   (3) 전문서비스용 로봇산업 출하 = 45
   (4) 개인서비스용 로봇산업 출하 = 46
   (5) 네트워크 로봇산업 생산 = 47
   (6) 로봇 부품 및 부분품 출하 = 48
 3. 국내 로봇산업 정책동향 = 50
  1) 산업자원부 = 51
   (1) 목표 및 추진과제 = 51
   (2) 로봇산업정책 추진방향 = 52
   (3) 로봇산업 세부실천계획 = 54
  2) 정보통신부 = 61
   (1) u-IT 839전략 = 61
   (2) 인천경제자유구역청(IFEZ)과 MOU체결 = 62
   (3) 공공기관 로봇수요 예보제 = 63
Ⅲ. 서비스로봇의 시장/제품/주요업체 현황 = 65
 1. 서비스로봇 분야별 시장/제품동향 = 67
  1) 청소로봇 = 68
   (1) 청소로봇의 시장동향 = 68
   (2) 청소로봇의 제품동향 = 70
   (3) 청소로봇의 가격동향 = 79
   (4) 청소로봇산업의 SWOT분석 = 80
  2) 완구/교육용 로봇 = 83
   (1) 완구/교육용 로봇의 시장동향 = 83
   (2) 완구/교육용 로봇의 제품동향 = 84
  3) 정보서비스 로봇 = 97
   (1) 정보서비스 로봇의 시장동향 = 97
   (2) 정보서비스 로봇의 제품동향 = 97
  4) 안내로봇 로봇 = 100
   (1) 안내 로봇의 제품동향 = 100
  5) 기타 서비스로봇 동향 = 105
   (1) 기타 서비스로봇의 제품동향 = 105
 2. 서비스로봇 주요업체 현황 및 이슈 = 109
Ⅳ. 서비스로봇의 기술 및 특허동향 = 145
 1. 서비스로봇의 핵심기술 동향 = 147
  1) 위치인식 기술 = 147
   (1) 비이콘 = 148
   (2) 거리 측정용 초음파 센서 = 148
   (3) 맵매칭(Map Matching) = 148
  2) 이동기술 = 149
   (1) 바퀴주행 = 149
   (2) 트랙주행 = 149
   (3) 2족보행 = 149
  3) 제어기술 = 151
   (1) 위치제어 = 151
   (2) 힘제어 = 152
  4) 상호작용기술 = 152
   (1) 인식기술 = 152
   (2) 표현기술(감정표현) = 153
  5) 네트워크기술 = 154
  6) 지능기술(추론 및 학습) = 155
   (1) 동작 및 조작계획 기술 = 155
   (2) 작업계획 기술 = 156
   (3) 환경에 대한 추론기술 = 156
   (4) 문제해결 기술 = 156
   (5) 자가학습기술 = 156
 2. 국내 특허동향(지능형로봇 중심) = 157
  1) 기구 기술 분야 = 157
  2) 제어기술 분야 = 158
  3) 감지 및 요소부품 기술 분야 = 159
  4) 인간-로봇 인터페이스 기술 = 159
Ⅴ. 일본 로봇산업의 동향 = 161
 1. 일본 서비스로봇 산업의 시장동향 = 163
 2. 일본 서비스로봇 제품 및 주요업체 동향 = 167
  1) SONY = 167
  2) 혼다기켄공업(本田技硏工業) = 170
   (1) ASIMO = 170
  3) 히타찌(日立製作所) = 172
   (1) EMIEW 2 = 172
   (2) 청소로봇 = 174
  4) 후지쯔(富士通) = 176
   (1) ENON(서비스 로봇) = 176
   (2) HOAP-3(휴머노이드 로봇) = 177
  5) 미쯔비시(三菱重工業) = 179
   (1) 와까마루 = 179
  6) 후지중공업(富士重工業) = 182
   (1) RSF1/RSF2(엘리베이터 연동 청소 로봇) = 182
  7) 마쯔시타(松下電工) = 184
   (1) HOSPI(병원내 자율 운송 로봇) = 184
   (2) SuiPPi(스입피, 옥외용 청소로봇) = 187
  8) 템작크(TMSUK) = 188
   (1) 로봇리아(집보기 로봇) = 193
   (2) 신보(新步, 휴머노이드형 2족 보행로봇) = 194
  9) 지능시스템(知能システム) = 195
   (1) 파로(PARO, 멘탈 위탁 로봇) = 196
  10) JSK(Jouhou System Kougaku, 情報SYSTEM工學硏究室〈東京大學〉) = 197
   (1) HRP2-JSK(휴머노이드 로봇 플랫폼) = 197
   (2) HRP-2W(휴머노이드 로봇 플랫폼) = 199
  11) CYBERDYNE(일본 츠쿠바대학의 벤처기업) = 202
   (1) 로봇 수트 'HAL'(Hybrid Assistive Limb) = 203
 3. 서비스로봇 관련 기술동향 = 204
  1) 기술 로드맵 추출ㆍ정리 = 204
  2) 기술의 분류방법 및 평가 = 206
 4. 로봇 관련 특허동향 = 213
  1) 특허출원 동향 = 213
   (1) 출원국별 출원건수 추이 = 213
   (2) 출원ㆍ등록건수 수지(지역간의 출원ㆍ등록관계) = 214
  2) 기술 분야별 동향 분석 = 216
   (1) 출원인 국적별/기술 분야별 출원동향(대분류) = 216
   (2) 출원인 국적별/기술 분야별 출원동향(중분류) = 217
   (3) 출원인국적별/주요 연구개발 테마별 출원 동향 = 219
  3) 출원인별 출원동향 분석 = 220
 5. 로봇산업 관련 정책동향 = 222
  1) 과학기술 관련 정책 = 222
  2) 경제산업성(經濟産業省)의 로봇정책 = 223
Ⅵ. 로봇특별법 및 로봇산업 관련업체 현황 = 227
 1. 로봇 특별법(지능형 로봇 개발 및 보급 촉진법) - 법률 제9014호 = 229
  1) 요약문 = 229
   (1) 제정이유 = 229
   (2) 주요내용 = 229
   (3) 시행일 = 230
  2) 지능형 로봇 개발 및 보급 촉진법(全文) = 231
   제1장 총칙 = 231
   제2장 지능형 로봇의 개발 등의 기본계획 등 = 231
   제3장 지능형 로봇의 보급 측진 = 233
   제4장 지능형 로봇투자회사 = 235
   제5장 로봇랜드의 조성 등 = 237
   제6장 한국로봇산업진흥원 등 = 241
   제7장 보칙 = 242
   제8장 벌칙 = 242
   부칙 = 243
 2. 로봇산업 관련업체 현황 = 244

관련분야 신착자료

角川アスキー總合硏究所 (2023)
한국맥도날드 (2023)
SK 네트웍스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