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961camcc2200277 c 4500 | |
001 | 000045688235 | |
005 | 20120207153320 | |
007 | ta | |
008 | 120130s2011 ulka b 001c kor | |
020 | ▼a 9788996746201 ▼g 93900 | |
035 | ▼a (KERIS)BIB000012636846 | |
040 | ▼a 211023 ▼c 211023 ▼d 244002 ▼d 211009 | |
041 | 0 | ▼a kor ▼a jpn |
082 | 0 4 | ▼a 338.372709519 ▼2 22 |
085 | ▼a 338.37270953 ▼2 DDCK | |
090 | ▼a 338.37270953 ▼b 2011 | |
100 | 1 | ▼a 장수호 ▼0 AUTH(211009)140197 |
245 | 1 0 | ▼a 조선시대말 일본의 어업 침탈사 : ▼b 개항에서 1910년까지 일본의 어업 침탈에 관한 연구 / ▼d 장수호 저 |
260 | ▼a 서울 : ▼b 수산경제연구원Books : ▼b 블루&노트, ▼c 2011 | |
300 | ▼a 578 p. : ▼b 삽화 ; ▼c 24 cm | |
440 | 0 0 | ▼a 수산지식나눔시리즈 ; ▼v 1 |
500 | ▼a 부록: 1910년경 일본 입어선의 주요 어업기지 및 기항지 일람표, 입어자에 필요한 각종 서식 | |
504 | ▼a 참고문헌(p. 567-570)과 색인수록 | |
546 | ▼a 본문은 한국어, 일본어가 혼합수록됨 |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38.37270953 2011 | Accession No. 11165518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38.37270953 2011 | Accession No. 11165529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수산지식나눔시리즈' 1권, 개항에서 1910년까지 일본의 어업 침탈에 관한 연구. '개항과 일본인의 입어 허가 및 제도 변화', '합법화 이후의 입어상황', '입어선의 주요 대상 어종', '입어선의 종류와 조업상황', '어획물의 처리와 어시장', '일본의 입어장려책', '정책조합', '동양척식주식회사의 수산이민사업', '포경입어' 등으로 구성되었다.
조선에 대해서 일본은 육지에는 소상인들까지 진출시키는 한편 해상에는 무역이외에 왜구를 방불케 하는 연안 소어민(小魚民)을 통어(通漁)라는 명목으로 일방적인 밀어행위(密漁行爲)를 자행하도록 했다. 그들에 의한 연안민의 피해가 증가하고 원성이 높아지자 일본은 1883년 2월 ‘재조선국일본인민통상장정(在朝鮮國日本人通商章程)’ 체결을 통해 일본인의 밀어행위를 합법적인 입어행위(동 장정 제41관)로 전환했다. 이 합법적인 입어는 국치년에 앞선 한일어업협정으로서, 어업합병을 초래할 정도로 한해(韓海) 수산자원 약탈에 공허했다. 이러한 약탈의 진전은 일제강점기가 시작되는 단계에서 정치적 변화와도 깊은 연관이 있는 중요한 대목이었다. 그러나 그동안의 일반 한국사나 한국 경제사의 연구에서는 이 분야에 대한 학문적 고찰이 완전히 제외되어 있었다. 본인이 국치년 이전 일본어업자들에 의한 한해수산업의 약탈상을 한구의 주체점 관점에서 정리하고자 한 것도 그 때문이었다고 말해둔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장수호(지은이)
경제학 박사 (사)한국수산경영기술연구원 이사장(1995~2011.6), 수산청 중앙수산산학협동위 수산경영 분과위원장(1972~1992), 수산업협동조합중앙회 비상임이사(1979~1982, 1988~1990), 남곡학술상 제정(2006) (사)한국수산경영기술연구원 고문(2016~현재) 부경대학교 명예교수(1995~현재) -주요 논저 ‘수산학총론’(공저, 1964), ‘수산업협동조합경영론’(1964), ‘수산경영학’(1964), ‘수산학개론’(공저, 1980), ‘어촌계에 관한 연구’(1980), ‘경영재무론’(편저, 1986), ‘어민을 위한 수산경영’(1983), ‘어촌과 수산경영’(1987), ‘어장관리’(1994), ‘조선시대말 일본의 어업 침탈사’(2011) 등 다수의 수산경영 논문 및 서적

Table of Contents
목차 발간사 = 5 간행사 = 8 서문 = 11 Ⅰ. 서장 1. 왜구의 침입 = 21 2. 일본의 쇄국과 개항 = 50 3. 메이지 시대의 정한 약사 = 57 Ⅱ. 개항과 일본인의 입어 허가 및 제도 변화 1. 조선의 개항(조일수호조규) = 67 2. 통상장정체결과 입어허가 = 72 3. 미개방 해역의 특별어업면허 = 78 4. 통어장정의 체결 = 86 5. 경기도 연해 금어 해제와 독도 문제 = 93 6. 서해 4도 연해 금어 해제와 어업협정 = 98 7. 어업법 제정 후 한일인의 어업권 취득 = 110 Ⅲ. 합법화 이후의 입어상황 1. 연도별 입어사항(총괄) = 123 2. 해역별 입어사례 = 151 Ⅳ. 입어선의 주요 대상 어종 1. 주요 전업 어업 = 105 2. 기타 어종 어업 = 218 3. 한인 기호 어종 = 233 Ⅴ. 입어선의 종류와 조업상황 1. 입어선의 종류와 규모 = 249 2. 입어선의 영업방식과 조업 사례 = 260 3. 입어자(영업상)의 제문제 = 298 Ⅵ. 어획물의 처리와 어시장 1. 주요 제품의 종류와 제조 방법 = 315 2. 어시장 = 331 Ⅶ. 일본의 입어장려책 1. 국가의 입어장려책 = 357 2. 각 부현의 입어장려책 = 362 3. 어업근거지 = 391 4. 어업근거지 사례 = 395 Ⅷ. 정책조합: 조선해통어조합 및 동 연합회와 조선해수산조합 1. 정채조합의 탄생 과정(조선근해어업조합연합회의 탄생) = 409 2. 조선해통어조합 = 414 3. 조선해수산조합 = 430 Ⅸ. 동양척식주식회사의 수산이민사업 1. 동양척식주회사의 설립과 조직 = 475 2. 동양척식주회사의 수산이민사업과 분쟁 = 487 Ⅹ. 포경입어 1. 일본 재래식 포경업의 입어 = 507 2. 러ㆍ일 양국 포경사에 대한 포경특허 = 513 3. 러ㆍ일의 동해 포경 경합 = 529 4. 동해포경업의 일본 독식 = 542 5. 동양포경주식회사의 기업집중화 = 550 부록 = 555 후기 = 565 참고문헌 = 567 찾아보기 = 5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