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인문학 강의

인문학 강의 (Loan 8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박영식
Title Statement
인문학 강의 / 박영식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철학과현실사,   2011  
Physical Medium
445 p. ; 24 cm
ISBN
9788977757462
General Note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688147
005 20200526133511
007 ta
008 120130s2011 ulk 001c kor
020 ▼a 9788977757462 ▼g 93100
035 ▼a (KERIS)BIB000012584351
040 ▼a 223009 ▼c 223009 ▼d 244002 ▼d 211009
082 0 4 ▼a 001.3 ▼2 23
085 ▼a 001.3 ▼2 DDCK
090 ▼a 001.3 ▼b 2011z25
100 1 ▼a 박영식
245 1 0 ▼a 인문학 강의 / ▼d 박영식
260 ▼a 서울 : ▼b 철학과현실사, ▼c 2011
300 ▼a 445 p. ; ▼c 24 cm
500 ▼a 색인수록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001.3 2011z25 Accession No. 11165516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박영식(지은이)

연세대에서 학사와 석사를 받은 뒤 미국 에머리대에서 철학박사, 고려대에서 명예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연세대 철학교수, 한국철학회장, 한국대학교육협의회장,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 위원장, 정보통신윤리위원회 위원장, 대학윤리위원회 위원장, 연세대 총장, 광운대 총장, 교육부장관 등을 지냈다. 지금은 대한민국학술원 회원, 연세대 명예교수, 광운대 석좌교수, 성숙한 사회가꾸기모임 상임공동대표, 한국장애인ㅁ누화협회 이사, 국민원로회의 위원, 대한민국학술원 부회장으로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머리말: 왜 인문학 강의인가 = 5
제1장 인문학이란 무엇인가 = 15
 1. 왜 인문학인가 = 15
 2. 인문학은 무엇인가 = 27
제2장 인문학의 전개과정 = 41
 1. 왜 인문학의 위기인가 = 41
 2. 인문학의 유형 = 46
 3. 사회와 대학 그리고 인문학 = 65
 4. 인문학 위기의 요인들 = 68
 5. 인문학은 인간학이다 = 79
제3장 역사란 무엇인가 = 85
 1. 사관 = 86
 2. 사실과 역사적 사실 = 87
 3. 역사의 원인 = 88
 4. 개인과 사회 = 90
 5. 사실주의 역사관 = 94
 6. 해석주의 역사관 = 95
 7. 역사에서의 우연 또는 만약 = 107
 8. 역사에서의 진보 = 109
제4장 문학이란 무엇인가 = 112
 1. 문학이란? = 112
 2. 문학의 기원 = 114
 3. 문학의 기능 = 115
 4. 문학사조 = 117
 5. 문학비평 = 120
제5장 철학이란 무엇인가 = 128
 1. 철학은 어떻게 변해 왔나 = 128
 2. 철학이란 무엇인가 = 137
제6장 문명이란 무엇인가 = 149
 1. 문명의 특성들 = 149
 2. 현존하는 6대 문명 = 151
 3. 문명의 접촉 과정 = 155
 4. 보편문명의 환상 = 159
 5. 서구문명에 대한 대응 = 165
제7장 왜 대륙간 문명의 차이인가 = 168
 1. 스페인의 남미 정복 = 168
 2. 르네상스, 유럽의 각성 = 169
 3. 대륙간 지리적 조건의 차이 = 170
 4. 작물화, 가축화 그리고 균 = 173
 5. 사회의 변천 = 176
 6. 기술과 문명의 상관성 = 185
 7. 유라시아 내에서의 문명의 차이 = 192
제8장 유럽중심주의 넘어서기 = 198
 1. 유럽중심주의란? = 198
 2. 유럽중심주의의 발동 = 201
 3. 역사는 객관적인 것인가 = 202
 4. 유럽중심주의의 근원 = 206
 5. 유럽중심주의의 이론적 미화 = 217
 6. 유럽중심주의의 쇠퇴 = 227
 7. 유럽중심주의가 과장하거나 은폐한 사례들 = 230
제9장 노동의 역사 = 238
 1. 노동의 분업 = 238
 2. 노동 개념의 변화 = 241
 3. 산업혁명과 노동 = 242
 4. 기계화, 자동화와 노동 = 245
 5. 정보화와 노동 = 247
 6. 노동 축소에 따른 사회현상 = 249
 7. 노동 축소에 대한 대응방안 = 253
제10장 정의란 무엇인가 = 259
 1. 정의의 여신 디케 = 260
 2. 플라톤에서의 정의 = 260
 3. 아리스토텔레스에서의 국가와 정의 = 268
 4. 존 롤즈의 분배적 정의 = 274
제11장 마키아벨리의 군주론 = 283
 1. 『군주론』출현의 배경 = 284
 2. 군주의 요건: 유덕에서 유능으로 = 286
 3. 이기적 인간성 = 286
 4. 군주의 실제적 지침들 = 287
제12장 홉스의 국가론 = 290
 1. 자연상태 = 291
 2. 국가 = 293
 3. 통치권 = 294
제13장 세계화의 바람과 덫 = 297
 1. 세계화라는 용어 = 297
 2. 세계화의 바람을 일으킨 것들 = 300
 3. 세계화의 덫 = 304
제14장 마르크스: 계급 없는 사회 = 311
 1. 변증법적 유물론 = 315
 2. 경제적 결정론 = 321
 3. 자본주의 비판 = 323
 4. 자본주의의 몰락 = 327
 5. 계급 없는 사회 = 331
제15장 니체: 초인의 철학 = 337
 1. 쇼펜하우어의 영향 = 338
 2. 신은 죽었다 = 340
 3. 예술의 탄생: 아폴론과 디오니소스 = 342
 4. 주인도덕과 노예도덕 = 344
 5. 권력의지 = 347
 6. 가치의 전도 = 351
 7. 초인 = 353
 8. 영겁회귀 = 356
제16장 해석학: 이해의 철학 = 358
 1. 이해와 설명 = 358
 2. 헤르메노이틱의 어원 = 359
 3. 해석학의 시발 = 360
 4. 슈라이어마허: 일반 해석학 = 361
 5. 딜타이: 해석학의 개척자 = 363
 6. 가다머: 철학적 해석학 = 368
제17장 대학의 이념과 역사 = 375
 1. 플라톤의 아카데미아 = 375
 2. 중세의 대학 = 377
 3. 근대의 대학 = 380
 4. 현대의 대학 = 382
제18장 윤리의 이해 = 390
 1. 칸트의 도덕철학 = 390
 2. 윤리는 어떻게 변하는가 = 395
제19장 처세훈으로서의 철학 = 408
 1. 키니코스학파: 무쇼유의 행복 = 409
 2. 에피쿠로스학파: 쾌락의 역설 = 411
 3. 스토아팍파: 부동심 = 412
 4. 회의학파: 판단중지 = 414
 5. 신플라톤주의 = 416
제20장 정보통신윤리의 과제 = 418
 1. 윤리, 사회윤리, 메타윤리 = 418
 2. 정보사회의 특징 = 421
 3. 정보통신윤리의 과제 = 426
찾아보기 = 431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