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984camcc2200313 c 4500 | |
001 | 000045687738 | |
005 | 20120130114116 | |
007 | ta | |
008 | 120126s2011 ggk b 001c kor | |
020 | ▼a 9788930086110 ▼g 94340 | |
035 | ▼a (KERIS)BIB000012633050 | |
040 | ▼a 222001 ▼c 222001 ▼d 211009 | |
082 | 0 4 | ▼a 321.80951 ▼2 22 |
085 | ▼a 321.80951 ▼2 DDCK | |
090 | ▼a 321.80951 ▼b 2011z1 | |
100 | 1 | ▼a 조영남 ▼g 趙英男 ▼0 AUTH(211009)16916 |
245 | 1 0 | ▼a 중국의 민주주의 : ▼b 공산당의 당내민주 연구 / ▼d 조영남, ▼e 안치영, ▼e 구자선 지음 |
246 | 1 1 | ▼a China's democracy : ▼b the intra-party democracy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
260 | ▼a 파주 : ▼b 나남, ▼c 2011 | |
300 | ▼a 240 p. ; ▼c 23 cm | |
440 | 0 0 | ▼a 나남신서 ; ▼v 1611 |
504 | ▼a 참고문헌(p. 221-229)과 색인수록 | |
700 | 1 | ▼a 안치영 ▼g 安致英, ▼e 저 ▼0 AUTH(211009)53573 |
700 | 1 | ▼a 구자선 ▼g 具滋善, ▼e 저 ▼0 AUTH(211009)141116 |
900 | 1 0 | ▼a Cho, Young Nam, ▼e 저 |
900 | 1 0 | ▼a Ahn, Chi Young, ▼e 저 |
900 | 1 0 | ▼a Koo, Ja Seon, ▼e 저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21.80951 2011z1 | Accession No. 11165506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중국공산당에게 2011년은 창당 90주년이 되는 의미 있는 해이다. 1921년 소수의 지식인이 모여 만든 초라했던 조직이 90년이 지난 현재 8천만 명이 넘는 엘리트 당원을 보유한 세계 최대의 정당으로 발전한 것이다. 동시에 공산당은 사회주의 혁명을 통해 중국을 새로운 국가로 탈바꿈하고, 개혁ㆍ개방 정책을 통해 세계 2위의 경제대국으로 발전시킨 일등 공신이 되었다.
중국공산당은 21세기에 들어 당내민주라는 새로운 자기혁신을 추진하고 있다. 자기혁신이 계속되는 한 공산당은 소련공산당이나 동구 사회주의 국가의 공산당처럼 그렇게 급격하게 붕괴하지 않을 것이다. 다만 당내민주가 얼마나 성공적으로 추진될 수 있을지, 그것이 실제로 공산당과 중국정치를 얼마나 변화시킬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관찰과 분석이 필요하다.
공산당의 당내민주는 본격적으로 추진된 지 10년밖에 되지 않았고, 그래서 대부분의 정책이 현재진행형이기 때문이다. 이처럼 공산당의 당내민주 연구는 향후 공산당과 중국정치의 변화를 이해하는 데 매우 필요하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조영남(지은이)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 2002년부터 현재까지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를 졸업하고 정치학과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중국 베이징대학(北京大學) 현대중국연구센터 객원연구원(1997~1998년), 난카이대학(南開大學) 정치학과 방문학자(2001~2002년), 미국 하버드-옌칭연구소(Harvard-Yenching Institute) 방문학자(2006~2007년)를 역임했다. 연구 성과로는 『중국의 엘리트 정치』(2019년, 민음사), 『덩샤오핑 시대의 중국』(2016년, 민음사) 3부작(『개혁과 개방』, 『파벌과 투쟁』, 『톈안먼 사건』), Local People's Congresses in China(2009년) 등 열다섯 권의 단독 학술서와 많은 학술 논문이 있다. 서울대학교 연구공로상(2007년), 니어(NEAR) 재단 학술상(2008년), 한국정치학회 학술상(저술부문)(2020년)을 수상했다.
안치영(지은이)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정치학과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신대학교 학술원 전임연구원을 거쳐, 2007년부터 인천대학교 중어중국학과에서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개혁 전후 중국의 변화와 중국공산당의 권력구조 변화가 주요 연구 분야이다. 저역서로 『덩샤오핑 시대의 탄생』, 『중국의 민주주의』(공저), 『고뇌하는 중국』(공역) 등이 있고, 논문으로 「모호한 전환점: 중국공산당 11기 3중전회에 대한 재고」, 「중국의 정치엘리트 충원메커니즘과 그 특성」, 「중국의 개혁초기 정치논쟁과 1979년 이론공작회의」, 「중국의 개혁초기 정치논쟁과 사회주의 발전단계론 논쟁」 등이 있다.

Table of Contents
목차 머리말 = 5 제1장 서론 = 15 1. 연구 주제와 의의 = 15 2. 기존 연구 검토 = 19 3. 연구 내용과 책의 구성 = 27 4. 연구 방법과 자료 = 30 제2장 당내민주와 공산당 개혁: 의미ㆍ내용ㆍ시기구분 = 31 1. 당내민주와 공산당 개혁 = 33 2. 당내민주의 의미ㆍ내용ㆍ목적 = 39 3. 당내민주의 시기구분 = 47 제3장 당내민주의 역사와 정책 = 53 1. 마오쩌둥 시기의 당내민주 = 55 2. 공산당 정상화 시기(1978∼1991년) = 61 3. 공산당 제도화 시기(1992∼2001년) = 70 4. 당내민주 본격 추진기(2002년∼현재) = 75 5. 소결: 요약 = 87 제4장 당내민주의 실천 Ⅰ: 중앙 엘리트 정치의 변화 = 91 1. 개혁기 엘리트 정치의 논의 = 96 2. 덩샤오핑 시대: '원로정치'의 지배 = 99 3. 장쩌민 시대: 엘리트 정치의 변화 = 110 4. 후진타오 시대: 엘리트 정치의 발전 = 124 5. 소결: 요약과 전망 = 136 제5장 당내민주의 실천 Ⅱ: 지방 공산당의 변화 = 139 1. 공산당 지방조직의 구성과 운영 = 141 2. 지방의 당내민주 실시 = 156 3. 지방의 당내민주 평가: 의의와 한계 = 181 4. 소결: 요약과 전망 = 189 제6장 결론: 요약ㆍ평가ㆍ전망ㆍ함의 = 191 1. 연구 요약 = 192 2. 당내민주의 평가 = 197 3. 당내민주와 중국의 민주화 전망 = 205 4. 한국에 주는 함의 = 213 참고문헌 = 221 찾아보기(용어) = 231 찾아보기(인명) = 237 저자약력 = 239